오늘은 오랜만에 책을 한 권 소개하겠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지금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으로 계시는 이윤옥 님이 쓰신 '사쿠라 훈민정음'이라는 책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책을 한 권 소개하겠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지금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으로 계시는 이윤옥 님이 쓰신 '사쿠라 훈민정음'이라는 책입니다.
글쓴이는 꾸준히 우리말 속에 남아 있는 일본말 찌꺼기를 걸러내는 작업을 하고 계십니다.
이 책도 그런 작업의 하나겠죠.
일본말을 제대로 공부하신 분이 우리나라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일본말 찌꺼기를 시원하게 파헤쳐 드립니다.

책에 따르면,
'달인'이라는 말도 일본말에서 왔고,
심지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 달인의 풀이가,
일본말 사전에 있는 풀이와 똑같다고 합니다.
참으로 창피한 일입니다.

그런 것을 조목조목 따져서
역사와 유래가 있는 일본말 찌꺼기, 일상생활 속의 일본말 찌꺼기 이렇게 두 개 장으로 나눠 책을 쓰셨네요.

아직 다 읽지는 못했지만, 저에게 참으로 도움이 많이 되는 책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하고하다와]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여전히 일터에 나와서 일했습니다.
일요일 오전에 식구 모두 마라톤하고 오후에는 다시 일터에 나오니까 딸내미가 한마디 하더군요.
"아빠는 왜 일요일도 회사에 나가?"

해도 해도 끝이 없는 일입니다.
왜 허구헌날 일만 하고 사는지 모르겠습니다. ^^*

오늘은 하고하다와 허구하다를 갈라볼게요.
'하고하다'는 토박이말로 '하고많다'와 같은 뜻으로 "많고 많다"는 뜻입니다.
하고많은 것 중에서 왜 하필이면 썩은 것을 골랐느냐, 남편을 기다리며 이렇게 하고많은 나날을 독수공방으로 보내야 하다니처럼 씁니다.

'허구하다'는 許久하다는 한자말로 "날, 세월 따위가 매우 오래다."는 뜻입니다.
허구한 세월, 허구한 날 팔자 한탄만 한다, 허구한 날 술만 퍼마시고 다녔다처럼 씁니다.

이처럼 두 낱말의 쓰임새가 거의 같습니다.
허구하다의 한자 許久를 우리말로 바꾼 게 하고하다라고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하고많은 사람 가운데 왜 내가 이 고생을 하는지 라고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해 집니다.
그러나 내 딸이 하고많은 사람 가운데 나를 골라서 찾아와 준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뻥 뚫린 듯 시원해 집니다.

허구한 날 이 고생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기에 오늘도 웃으면서 삽시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2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51
1556 [2017/04/12] 우리말) 나와바리 머니북 2017-04-12 3494
1555 [2017/07/03] 우리말) 태풍 난마돌 머니북 2017-07-04 3494
1554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3495
1553 [2011/04/14] 우리말) 벚꽃 이야기 moneybook 2011-04-14 3495
1552 [2007/11/21]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1-21 3496
1551 [2007/12/06] 우리말) 가마리 id: moneyplan 2007-12-06 3496
1550 [2008/06/27]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id: moneyplan 2008-06-27 3496
1549 [2008/11/28] 우리말) 발품과 손품 id: moneyplan 2008-12-01 3496
1548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496
1547 [2012/01/19] 우리말) 알뜰 주유소 머니북 2012-01-19 3496
1546 [2012/05/17] 우리말) 마사토 머니북 2012-05-18 3496
1545 [2007/04/25] 우리말) 잘과 잘못 id: moneyplan 2007-04-25 3497
1544 [2010/12/21] 우리말) 관용구 moneybook 2010-12-21 3497
1543 [2014/03/11] 우리말) 어이없다 머니북 2014-03-12 3497
1542 [2017/01/10] 우리말) 트롯트와 트롯 머니북 2017-01-10 3497
1541 [2009/02/08] 우리말) 월파와 달물결 id: moneyplan 2009-02-09 3498
1540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3499
1539 [2008/01/11] 우리말) ‘감옥’과 ‘죄수’에 대하여 id: moneyplan 2008-01-11 3499
1538 [2010/03/16] 우리말) 등쌀과 눈살 id: moneyplan 2010-03-16 3499
1537 [2010/06/16] 우리말) 허점과 헛점 moneybook 2010-06-16 3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