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03] 우리말) 착한 몸매?

조회 수 3244 추천 수 30 2010.12.03 10:33:24
오늘은 오랜만에 책을 한 권 소개하겠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지금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으로 계시는 이윤옥 님이 쓰신 '사쿠라 훈민정음'이라는 책입니다.



착하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께 여쭤보고자 편지를 씁니다.

먼저,
'너무'라는 말을 너무 많이 쓰는 것을 편지에서 꼬집은 적이 있습니다.
"우와~~~ 너무 예쁘시네요."라거나,
"우와~~~ 너무 여성스럽네요."라고 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너무'는 부사로,
"일정한 정도나 한계에 지나치다"라는 말이므로,
너무 크다, 너무 늦다, 너무 어렵다, 너무 위험하다, 너무 조용하다처럼 써야 합니다.
따라서,
아리따운 아가씨에게 '너무 예쁘다'라고 하면,
"너는 그 정도로 예쁘면 안 되는데, 네 수준 이상으로 예쁘다."라는 말이 되어 오히려 욕이 된다고 했습니다.
'너무 예쁘다'가 아니라 '참 예쁘다' 또는 '무척 예쁘다'라고 쓰셔야 합니다.
인터넷에서 '너무'를 너무 많이 쓰는 것은 좋은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오늘 여러분께 여쭤볼 것은 '착하다'입니다.
'착하다'는 그림씨(형용사)로
"언행이나 마음씨가 곱고 바르며 상냥하다"는 뜻입니다.
착한 일, 마음씨가 착하고 얼굴이 예쁘다, 사람은 착하게 살아야 복을 받는다처럼 씁니다.

그런데
요즘 인터넷에 보면
'아주 좋다', '예쁘다'와 '싸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착한 고기'라고 하면 싼 고기를 뜻하고, '착한 가격'은 싼값을 뜻합니다.
심지어 '착한 몸매'라고 하면 멋있는 몸매를 뜻합니다.

요즘 인터넷에서 '착하다'가 그런 뜻으로 쓰이고 있는데,
이를 보는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의견을 보내주시면 다음번 편지에서 공유하겠습니다.

주말입니다.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쌀 직불금]

안녕하세요.

어제 댓글을 다신 분이 많으시네요.
왜 그런지 봤더니 '거 밤 한 톨 좀 줘 봐' 답을 맞히시느라 그런 거네요. ^^*

우리말 편지는 하루에 두 편을 보냅니다.
앞에 있는 것은 그날 아침에 쓴 편지이고,
아래에 붙인 편지는 예전, 곧, 3-4년 전에 보낸 편지를 복습 삼아 보내드리는 것입니다.
어제 보낸 거 쌀 한 톨 좀 줘 봐...이것도 3년 전에 보낸 겁니다.

오늘 이야기입니다.
요즘 쌀 직불금으로 나라가 시끄럽네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많이 가지고 부자로 떵떵거리고 사는 것을 뭐랄 수는 없습니다.
비록 배가 아프기는 하지만, 떳떳하게 번 돈이라면 누가 뭐라고 하겠습니까.

그러나
억지로 다른 사람 몫을 뺏거나, 염치없이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거둬들이는 것은 문제입니다.
그런 "염치나 체면을 차리지 않고 재물 따위를 마구 긁어모으는 짓"을 '걸태질'이라고 합니다.
낱말에서 나오는 느낌이 벌써 더럽네요. ^^*
여기서 나온 낱말이
걸터듬다, 걸터먹다, 걸터들이다 따위입니다.
모두 염치나 체면 차리지 못하고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휘몰아 긁어모은다는 뜻입니다.

쌀 직불금 그게 몇 푼이나 된다고 그걸 받아먹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쌀 직불금은 얼마 되지도 않습니다.
비록 농민들에게는 큰돈이지만, 가진 자들에게는 푼돈입니다.
근데 그걸 뺏어 간다고요?
아흔아홉 석 가진 사람이 한 석 가진 사람보고 내놓으라고 한다는 것과 무엇이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그래 봐야 흙으로 돌아갈 때는 너나 나나 똑같이 한 평인데...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다는 것을 왜 모르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알기에는
받는 것보다 주는 게 더 큰 기쁨입니다.
저는 그것을 느낍니다.
그 기쁨을 또 느끼고자 내일은 문제를 내서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62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89
1556 [2012/09/10] 우리말) 차칸남자 머니북 2012-09-10 3827
1555 [2012/09/07] 우리말) 주리팅이 머니북 2012-09-07 4585
1554 [2012/09/06] 우리말) 재킷과 카디건 머니북 2012-09-06 3735
1553 [2012/09/05] 우리말) 돈 이야기 머니북 2012-09-05 3715
1552 [2012/09/04] 우리말) 물보낌 머니북 2012-09-04 7837
1551 [2012/09/03] 우리말) 악매 머니북 2012-09-03 3534
1550 [2012/08/31] 우리말) '제일'과 '가장' 머니북 2012-08-31 3767
1549 [2012/08/30] 우리말) 연배 머니북 2012-08-30 8253
1548 [2012/08/29] 우리말) 날아가다와 날라가다 머니북 2012-08-29 8829
1547 [2012/08/28] 우리말) 초속 40미터 바람 세기 머니북 2012-08-28 13578
1546 [2012/08/27] 우리말) 여지껏/여태껏 머니북 2012-08-27 4867
1545 [2012/08/24]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2-08-27 3714
1544 [2012/08/23] 우리말) 제발 피로회복을 하지 맙시다 머니북 2012-08-23 3834
1543 [2012/08/22] 우리말) 어슴푸레/아슴푸레 머니북 2012-08-22 3325
1542 [2012/08/21] 우리말) 간식과 새참 머니북 2012-08-21 3719
1541 [2012/08/20] 우리말) 자빡 머니북 2012-08-20 3819
1540 [2012/08/16] 우리말) 올림픽 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8-18 3868
1539 [2012/08/14] 우리말) 얼리어답터 머니북 2012-08-14 8740
1538 [2012/08/13] 우리말) 휴대전화를 잃어버렸습니다 머니북 2012-08-13 4145
1537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