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0] 우리말) 책 소개

조회 수 3250 추천 수 30 2010.12.10 12:42:32
사투리라는 틀에 묶여 있는 우리말을 잘 살려 쓰는 '전라도닷컴'이라는 잡지입니다.
전라도를 무대로 사람과 자연, 문화를 소개하는 월간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잡지를 하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투리라는 틀에 묶여 있는 우리말을 잘 살려 쓰는 '전라도닷컴'이라는 잡지입니다.
전라도를 무대로 사람과 자연, 문화를 소개하는 월간지입니다.
어제 받은 12월호에서 몇 가지 따오겠습니다.

정기구독자는 무장 줄어드는데...(6쪽)
(무장 : 점점)
지금은 친구 사귀는 재미가 솔찬하다.(6쪽)
(솔찬하다 : 꽤 많다)
마당 한비짝에 대추나무가...(21쪽)
(한비짝 : 옆)
어물전 그릇은 거개 이러하다.(23쪽)
(거개 : 거의 대부분)
하루에도 몇십 번씩 오르락내리락 하는 이무로운 산(30쪽)
(이무롭다 : 편하다)
홍어 껍질만 긁어모아 살짝 데쳐 눌러냈다는 반찬, 잘깃잘깃 씹히는 맛이 일품이다.(48쪽)
(잘깃잘깃 : 매우 질긴 듯한 느낌)

따옴표 안에 있는 말은 모두 고향에서 들은 말 그대로입니다.
"히묵고자운게 히묵었지. 근디 들키믄 벌금을 낸게 그 놈을 숨킬 궁리를 허는 거여."(27쪽)
"옛날 옛때부텀 그 이름이라 급디다." (29쪽)
"잠 한숨썩 자고 모 숨고 풀 매러 나가고, 모태 앙거서 놀고 이야기하고, 묵을 것도 갖고 나와 노놔묵고, 그렇게 살았제."(30쪽)

사라져가는 문화와 우리말을 지키고자 애쓰는 월간지입니다.

전라도닷컴
062)654-9085, 황풍년 hwpoong@jeonlado.com
www.jeonlado.com

참고로,
저는 이 잡지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그저 제가 보니 좋아서 소개할 뿐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명함 만들기]

안녕하세요.

경남 창원시 사림동에 사시는 허ㅈㅁ 님,
선물이 되돌아 왔네요. 주소를 다시 알려주십시오.

요즘 제 일터는 조직 이름이 바뀌어 명함을 새로 만드는 분이 많으시네요.
제 명함도 새로 만들고 있습니다. ^^*
오늘은 명함에서 흔히 틀리는 것 몇 가지 알아볼게요.

먼저,
이름 쓸 때는 성과 이름을 붙입니다. 성제훈이나 홍길동처럼 씁니다.

다음은 영어 명함입니다.
이것부터 틀렸네요. 영어 명함이 아니라 로마자 명함입니다.
제 이름을 영어로 쓰면 Richard Sung이나 뭐 이런 게 되어야 할 겁니다.
제 이름 성제훈을 Sung Jehun으로 쓰는 것은 영어로 쓰는 게 아니라 로마자로 쓰는 겁니다.
제 영어 이름은 없습니다. ^^*

로마자로 쓸 때
Je Hun Sung
Je Hun, Sung
Je-Hun, Sung
J. H. Sung
J. H., Sung
J-H, Sung
JH, Sung
Sung, Je Hun
Sung, Je-Hun
Sung Je Hun
으로 쓰는 것은 틀립니다.
성이 앞에 오고, 성과 이름을 띄어 쓰되 이름 두 자는 붙여 써야 합니다.
따라서 제 이름 성제훈을 로마자로 쓰면 Sung Jehun이라 써야 바릅니다.

주소를 쓸 때도 조심할 게 있습니다.
수원시를 로마자로 쓰면 Suwon-si라고 씁니다. 행정구역 단위와 이름은 띄어 쓰고 그 앞에 붙임표(-)를 넣습니다.
경기도는 Kyeongkido가 아니라 Gyeonggi-do라고 씁니다.

이런 것은 로마자표기법에 나옵니다.

우리말은 공기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맑은 공기를 마셔야 건강하듯,
깨끗하고 고운 우리말을 써야 제 정신과 넋도 건강해지리라 믿습니다.

우리말과 글을 함부로 쓰기에는 너무 아깝지 않나요?
함부로 쓰지 못하게 관련 규정을 만들어 뒀는데, 왜 그 규정을 무시하고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어문규정에도 문제는 많습니다.
특히나,
맞춤법에는 성과 이름을 붙이게 되어 있지만, 한글학회는 성과 이름을 띄어서 씁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제 이름을 '성제훈'이라 하고, 한글학회에서는 제 이름을 '성 제훈'이라 씁니다.
국립국어원과 한글학회가 이렇게 따로 놀면 우리 같은 사람은 어딜 따라야 하죠?

어문규정에 이상한 규정도 많고, 이해 못할 곳도 있지만,
다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하자는 뜻에서 만들었다면,
관심을 두고 따르는 게 바르지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0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28
1556 [2008/12/22] 우리말) 마음고름 id: moneyplan 2008-12-22 3493
1555 [2009/02/08] 우리말) 월파와 달물결 id: moneyplan 2009-02-09 3493
1554 [2017/04/12] 우리말) 나와바리 머니북 2017-04-12 3493
1553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3493
1552 [2008/11/28] 우리말) 발품과 손품 id: moneyplan 2008-12-01 3494
1551 [2011/04/14] 우리말) 벚꽃 이야기 moneybook 2011-04-14 3494
1550 [2017/07/03] 우리말) 태풍 난마돌 머니북 2017-07-04 3494
1549 [2008/06/27]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id: moneyplan 2008-06-27 3495
1548 [2012/01/19] 우리말) 알뜰 주유소 머니북 2012-01-19 3495
1547 [2012/05/17] 우리말) 마사토 머니북 2012-05-18 3495
1546 [2014/12/05] 우리말) 도 긴 개 긴/도찐개찐(3) 머니북 2014-12-08 3495
1545 [2007/04/25] 우리말) 잘과 잘못 id: moneyplan 2007-04-25 3496
1544 [2007/11/21]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1-21 3496
1543 [2008/01/11] 우리말) ‘감옥’과 ‘죄수’에 대하여 id: moneyplan 2008-01-11 3496
1542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496
1541 [2010/12/21] 우리말) 관용구 moneybook 2010-12-21 3496
1540 [2014/03/11] 우리말) 어이없다 머니북 2014-03-12 3497
1539 [2017/01/10] 우리말) 트롯트와 트롯 머니북 2017-01-10 3497
1538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3498
1537 [2015/07/13] 우리말) 딴전 머니북 2015-07-13 3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