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4] 우리말) 좨기

조회 수 3386 추천 수 28 2010.12.14 11:37:14
시장에서 파는 매생이를 보면,
주먹보다 조금 더 크게 덩이로 만들어 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좨기'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KBS뉴스에 매생이가 제철이라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저도 먹고 싶네요. ^^*

요즘은 모든 단위가 그람(g)과 미터(m) 따위로 씁니다.
예전에는 멋진 우리말 단위도 많았습니다.

아마도 매생이는 시장에서 몇 g에 얼마씩 팔 겁니다.
시장에서 파는 매생이를 보면,
주먹보다 조금 더 크게 덩이로 만들어 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좨기'입니다.
사전에는 " 데친 나물이나 반죽한 가루를 둥글넓적하고 조그마하게 만든 덩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고등어는 한 손, 두 손이라고 '손'이라는 단위를 쓰고,
젓가락 한 쌍을 셀 때는 '매'를 씁니다.
술안주로 좋은 오징어는 20마리를 한 축이라고 하죠. ^^*

요즘은 쓰지 않는
'평'이나 '돈'은 사실 우리 고유단위가 아니라 일본 단위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권커니 잣거니]

안녕하세요.

단비가 내리네요.
단비는 "꼭 필요한 때 알맞게 내리는 비"입니다.
우리 경제, 우리 삶에도 단비가 내리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인사로 자리를 옮긴 지 거의 달포 만에 마련한 환송회 자리였습니다.
반가운 얼굴을 마주 보며 권커니 잣거니하다보니 시간가는 줄 모르겠더군요.

술을 남에게 권하면서 자기도 받아 마시며 계속하여 먹는 모양을 뜻할 때
권커니 잣거니라고 합니다.
권커니는 권하거니에서 왔을 것이고,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습니다.
이 말이 조금 바꿔 '권커니 잡거니'라고도 합니다.
뒤에 오는 잡거니는 술잔을 잡다에서 온 것 같습니다.
어쨌든
'권커니 잣거니'와 '권커니 잡거니'는 표준말입니다.

그러나
권커니 작커니, 권커니 자커니, 권커니 잣커니는 바르지 않습니다.

사람이 말을 만들고
그 말을 자주 쓰면 사전에 올라 표준말로 대접을 받습니다.
그러나 자주 쓰는 말이라고 모두 표준말인 것은 아닙니다.
또한, 언제나 표준말만 쓰면서 살 수도 없지 싶습니다.

어제 같은 날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거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비록 쐬주가 표준말은 아니지만...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9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29
2036 [2009/10/29] 우리말) 야코죽다 id: moneyplan 2009-10-29 3329
2035 [2010/02/22]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id: moneyplan 2010-02-22 3329
2034 [2013/11/20] 우리말) 주의와 주위 머니북 2013-11-20 3329
2033 [2013/09/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9-25 3329
2032 [2008/06/28] 우리말) 그냥 제 아들 이야기입니다 id: moneyplan 2008-06-30 3330
2031 [2012/06/13] 우리말) 맞춤법 설명자료 file 머니북 2012-06-13 3330
2030 [2014/04/01] 우리말) 사랑과 촌스럽다 머니북 2014-04-01 3330
2029 [2013/04/29] 우리말) 어려운 보도자료 머니북 2013-04-29 3331
2028 [2010/08/04] 우리말) 비가 내리네요 moneybook 2010-08-04 3332
2027 [2012/05/22] 우리말) 군에서 따까리, 시다바리 따위 말 안 쓴다 머니북 2012-05-22 3332
2026 [2016/05/30] 우리말) 스크린 도어 -> 안전문 머니북 2016-05-30 3332
2025 [2010/06/18] 우리말) 승리욕과 승부욕 moneybook 2010-06-18 3333
2024 [2010/08/05] 우리말) 물쿠다 moneybook 2010-08-05 3333
2023 [2013/04/12] 우리말) 살지다와 살찌다 머니북 2013-04-12 3333
2022 [2010/09/08] 우리말) 비껴가다 moneybook 2010-09-08 3334
2021 [2015/12/21] 우리말) 예쁘다/이쁘다 머니북 2015-12-21 3334
2020 [2013/11/29] 우리말) 오구탕 머니북 2013-11-29 3335
2019 [2010/11/02] 우리말) 가치와 개비 moneybook 2010-11-02 3336
2018 [2015/06/08] 우리말) 사춤 머니북 2015-06-09 3336
2017 [2010/05/26] 우리말) 로마자 이름을 왜 쓰는가? id: moneyplan 2010-05-26 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