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4] 우리말) 좨기

조회 수 3404 추천 수 28 2010.12.14 11:37:14
시장에서 파는 매생이를 보면,
주먹보다 조금 더 크게 덩이로 만들어 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좨기'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KBS뉴스에 매생이가 제철이라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저도 먹고 싶네요. ^^*

요즘은 모든 단위가 그람(g)과 미터(m) 따위로 씁니다.
예전에는 멋진 우리말 단위도 많았습니다.

아마도 매생이는 시장에서 몇 g에 얼마씩 팔 겁니다.
시장에서 파는 매생이를 보면,
주먹보다 조금 더 크게 덩이로 만들어 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좨기'입니다.
사전에는 " 데친 나물이나 반죽한 가루를 둥글넓적하고 조그마하게 만든 덩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고등어는 한 손, 두 손이라고 '손'이라는 단위를 쓰고,
젓가락 한 쌍을 셀 때는 '매'를 씁니다.
술안주로 좋은 오징어는 20마리를 한 축이라고 하죠. ^^*

요즘은 쓰지 않는
'평'이나 '돈'은 사실 우리 고유단위가 아니라 일본 단위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권커니 잣거니]

안녕하세요.

단비가 내리네요.
단비는 "꼭 필요한 때 알맞게 내리는 비"입니다.
우리 경제, 우리 삶에도 단비가 내리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인사로 자리를 옮긴 지 거의 달포 만에 마련한 환송회 자리였습니다.
반가운 얼굴을 마주 보며 권커니 잣거니하다보니 시간가는 줄 모르겠더군요.

술을 남에게 권하면서 자기도 받아 마시며 계속하여 먹는 모양을 뜻할 때
권커니 잣거니라고 합니다.
권커니는 권하거니에서 왔을 것이고,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습니다.
이 말이 조금 바꿔 '권커니 잡거니'라고도 합니다.
뒤에 오는 잡거니는 술잔을 잡다에서 온 것 같습니다.
어쨌든
'권커니 잣거니'와 '권커니 잡거니'는 표준말입니다.

그러나
권커니 작커니, 권커니 자커니, 권커니 잣커니는 바르지 않습니다.

사람이 말을 만들고
그 말을 자주 쓰면 사전에 올라 표준말로 대접을 받습니다.
그러나 자주 쓰는 말이라고 모두 표준말인 것은 아닙니다.
또한, 언제나 표준말만 쓰면서 살 수도 없지 싶습니다.

어제 같은 날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거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비록 쐬주가 표준말은 아니지만...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5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79
1536 [2014/01/28] 우리말) 우리말 속 일본말 머니북 2014-01-28 3545
1535 [2007/04/19] 우리말) 외톨이 id: moneyplan 2007-04-19 3546
1534 [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5-10 3546
1533 [2008/07/24] 우리말) 얄짤없다 id: moneyplan 2008-07-25 3546
1532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546
1531 [2007/08/17] 우리말) 분리수거, 분리배출 id: moneyplan 2007-08-17 3547
1530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547
1529 [2016/08/01] 우리말) 굳이 머니북 2016-08-10 3547
1528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3548
1527 [2008/06/27]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id: moneyplan 2008-06-27 3548
1526 [2009/09/02] 우리말) 제가 실수를 했네요. ^^* id: moneyplan 2009-09-02 3548
1525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548
1524 [2011/05/06]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moneybook 2011-05-06 3548
1523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548
1522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549
1521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550
1520 [2009/02/05]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id: moneyplan 2009-02-05 3550
1519 [2014/02/07] 우리말) 불임이 아니라 난임 머니북 2014-02-10 3550
1518 [2014/09/15] 우리말) 산책과 산보 머니북 2014-09-15 3550
1517 [2015/03/19] 우리말) 사료는 먹이로 머니북 2015-03-19 3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