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4] 우리말) 좨기

조회 수 3255 추천 수 28 2010.12.14 11:37:14
시장에서 파는 매생이를 보면,
주먹보다 조금 더 크게 덩이로 만들어 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좨기'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KBS뉴스에 매생이가 제철이라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저도 먹고 싶네요. ^^*

요즘은 모든 단위가 그람(g)과 미터(m) 따위로 씁니다.
예전에는 멋진 우리말 단위도 많았습니다.

아마도 매생이는 시장에서 몇 g에 얼마씩 팔 겁니다.
시장에서 파는 매생이를 보면,
주먹보다 조금 더 크게 덩이로 만들어 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좨기'입니다.
사전에는 " 데친 나물이나 반죽한 가루를 둥글넓적하고 조그마하게 만든 덩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고등어는 한 손, 두 손이라고 '손'이라는 단위를 쓰고,
젓가락 한 쌍을 셀 때는 '매'를 씁니다.
술안주로 좋은 오징어는 20마리를 한 축이라고 하죠. ^^*

요즘은 쓰지 않는
'평'이나 '돈'은 사실 우리 고유단위가 아니라 일본 단위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권커니 잣거니]

안녕하세요.

단비가 내리네요.
단비는 "꼭 필요한 때 알맞게 내리는 비"입니다.
우리 경제, 우리 삶에도 단비가 내리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인사로 자리를 옮긴 지 거의 달포 만에 마련한 환송회 자리였습니다.
반가운 얼굴을 마주 보며 권커니 잣거니하다보니 시간가는 줄 모르겠더군요.

술을 남에게 권하면서 자기도 받아 마시며 계속하여 먹는 모양을 뜻할 때
권커니 잣거니라고 합니다.
권커니는 권하거니에서 왔을 것이고,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습니다.
이 말이 조금 바꿔 '권커니 잡거니'라고도 합니다.
뒤에 오는 잡거니는 술잔을 잡다에서 온 것 같습니다.
어쨌든
'권커니 잣거니'와 '권커니 잡거니'는 표준말입니다.

그러나
권커니 작커니, 권커니 자커니, 권커니 잣커니는 바르지 않습니다.

사람이 말을 만들고
그 말을 자주 쓰면 사전에 올라 표준말로 대접을 받습니다.
그러나 자주 쓰는 말이라고 모두 표준말인 것은 아닙니다.
또한, 언제나 표준말만 쓰면서 살 수도 없지 싶습니다.

어제 같은 날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거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비록 쐬주가 표준말은 아니지만...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8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45
1536 [2012/08/09] 우리말) 석패/완패/숙적 머니북 2012-08-09 3509
1535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79
1534 [2012/08/07] 우리말) 저제 머니북 2012-08-07 3886
1533 [2012/08/06] 우리말) 넓다랗다와 널따랗다 머니북 2012-08-06 7758
1532 [2012/08/03] 우리말) 신기록 갱신과 경신 머니북 2012-08-03 3671
1531 [2012/08/02] 우리말) 올림픽 선수 이름 쓰기 머니북 2012-08-02 3410
1530 [2012/08/01] 우리말) 뭔가 야로가 있는 거 같죠? 머니북 2012-08-01 12818
1529 [2012/07/30] 우리말) 여자 양궁 7연패 머니북 2012-07-30 8572
1528 [2012/07/27] 우리말) 화이팅/파이팅 머니북 2012-07-27 3996
1527 [2012/07/26] 우리말) 바통/배턴/계주봉 머니북 2012-07-26 3756
1526 [2012/07/25] 우리말) 백미러 머니북 2012-07-25 4136
1525 [2012/07/24] 우리말) 아웅다웅과 아옹다옹 머니북 2012-07-24 4090
1524 [2012/07/23] 우리말) 벗어지다와 벗겨지다 머니북 2012-07-23 4396
1523 [2012/07/20] 우리말) 시계 돌아가는 소리 머니북 2012-07-20 3780
1522 [2012/07/19] 우리말) '갓길' 댓글 머니북 2012-07-19 12916
1521 [2012/07/18] 우리말) '다대기'와 '다지기' 머니북 2012-07-18 3754
1520 [2012/07/17] 우리말) '애당초'와 '애시당초' 머니북 2012-07-17 3736
1519 [2012/07/16] 우리말) '당분간'은 '얼마 동안'으로 머니북 2012-07-16 8623
1518 [2012/07/13] 우리말) 연루/관련/버물다 머니북 2012-07-14 3450
1517 [2012/07/12] 우리말) 한글로 된 국회의원 선서문 머니북 2012-07-12 11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