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 겨울

조회 수 3246 추천 수 26 2010.12.15 11:20:37
거의 모든 방송에서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올겨울'은 2010년 1월도 '올겨울'에 들어갑니다. 따라서 '올겨울'이 아니라 '이번 겨울'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무척 춥네요. 글을 쓰는 제 손도 언 것 같습니다. ^^*

어제 보낸 편지에 제 실수가 있었습니다.
g을 '그람'이라고 했는데, 단위 g는 '그람'이 아니라 '그램'이 맞습니다.
죄송합니다.

1.
방송에서 오늘 아침 많이 춥다고 했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찌씨(부사)는 '상당히' 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따라서 많이 추운 게 아니라 무척 춥고, 꽤 춥고, 상당히 추운 겁니다.

2.
거의 모든 방송에서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올겨울'은 2010년 1월도 '올겨울'에 들어갑니다. 따라서 '올겨울'이 아니라 '이번 겨울'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3.
이렇게 추운 날씨를 강추위라고 합니다.
흔히 '强추위'라고 생각하시는데, 순우리말에 '강추위'가 있습니다.
이름씨(명사)로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를 뜻합니다.
한글학회에서 만든 우리말 큰사전에는 '강추위'만 올라 있습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강추위'와 함께 '强추위'도 올라 있습니다.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라는 뜻입니다.

'강추위'는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이고,
'강추위'는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강추위'에 눈이 내려는 게 맞나요 내리지 않는 게 맞나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

안녕하세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인데,
아직도 집에 못 가고 일터에서 남을 일과 싸우고 있습니다.
눈이 감겨와 우리말편지를 쓰면 좀 나을 것 같아서...

어제 편지에서 몇 가지 실수가 있었네요.

1.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라는 월을 보시고,
딱 한 잔만 했냐고 하시는 분이 계시네요.
한잔은 간단하게 한 차례 마시는 술이고,
한 잔은 딱 한 잔이라는 뜻입니다.
저는 어제 '한 잔' 한 게 아니라 '한잔' 했습니다. ^^*

2.
어제 편지 끝머리에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커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라고 했는데,
'권커니 잣커니'가 아니라 '권커니 잣거니'입니다.
앞에서 잘 설명해 놓고 막상 저는 틀렸네요. ^^*

3.
권커니 잣거니를 설명하면서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다고 했는데,
어떤 분이 혹시 '자시거니'에서 온 말이 아니냐는 분이 계시네요.
정확한 말뿌리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왕 편지를 쓴 김에 하나 짚고 갈게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입니다.
이 날은 이용의 '잊혀진 계절'때문에 이름을 탄 것 같습니다.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밤을... 뭐 이런 노래 있잖아요.

이 노래 제목인 잊혀진 계절은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잊다의 입음꼴(피동형)은 잊혀지다가 아니라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차츰 잊혀 갔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문법을 보면,
'잊히다'가 '잊다'의 입음꼴인데,
여기에 부사형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인 '지다'가 한 번 더 합쳐졌기 때문에 이중피동이 됩니다.

쓰다보니 편지가 좀 길어졌네요.
빨리 일 마치고 들어가야 겠네요.

주말 잘 쉬시길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5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82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542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4142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961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956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359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435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735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330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98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924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485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205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360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345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801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321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227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