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6] 우리말) 웃옷

조회 수 3916 추천 수 26 2010.12.16 10:07:17
웃옷은
남방이나 티셔츠 등 평소 입는 옷 위에 덧입는 외투나 점퍼 따위를 말합니다.
이는 아래의 상대적인 뜻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날씨가 꽤 춥네요. 정말 겨울답습니다.
내일은 서울에 눈도 내린다고 합니다.

이런 날씨에는 두꺼운 옷에 저절로 손이 가죠.
흔히 우리가 외투라고 말하는 옷을 웃옷이라고 하는 게 맞을까요, 윗옷이라고 하는 게 맞을까요?

윗옷은 위에 입는 옷이라는 뜻으로
위와 옷이라는 낱말이 합쳐진 겁니다.
거기에 사이시옷이 들어가서 '윗옷'입니다.
이 윗옷은 아래옷의 상대적인 의미이므로 꼭 아래의 상대적인 의미로만 써야 합니다.

반면,
웃옷은
남방이나 티셔츠 등 평소 입는 옷 위에 덧입는 외투나 점퍼 따위를 말합니다.
이는 아래의 상대적인 뜻이 아닙니다.

옷을 두꺼운 것을 입는 것보다,
여러 겹으로 껴입는 게 더 따뜻하다고 합니다.

추운 겨울 건강하게 잘 즐기시길 빕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주말에 식구와 같이 국립중앙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어떤 분이 '유물 속 가을 이야기'초대권을 보내주셔서 덕분에 잘 다녀왔습니다. 고맙습니다.

박물관에 들어서는데 들머리부터 기분 좋은 푯말이 있더군요.
나들못...
사람이 들고 나는 곳에 있는 못이라는 뜻으로 박물관 들어가는 곳에 있습니다.
참 멋진 이름입니다.
그 밖에도 국립중앙박물관이 우리말을 살리려고 노력하는 게 여러 곳에서 보이더군요.
건물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큰 홀은 '으뜸홀'이라고 하더군요.
으뜸과 hall을 합쳐 '으뜸홀'이라고 했는데, 이 또한 멋진 말로 다가왔습니다.

좀 아쉬운 곳도 있었습니다.
'전남 유물 제 1호'라고 써 놓고, 바로 옆에는 '전남 유물 제6호'라고 썼습니다.
순서를 나타내는 제는 뒷말과 붙여 써야 합니다.
선물을 파는 곳에 가니 갈피표를 책갈피라 해 놓고 팔고 있었으며,
식당 창가에는 '절대앉지마십시요'라고 쓴 게 보였습니다.

소중한 우리 문화를 소개하는 자리에 바른 글로 설명하면 더 없이 좋지 싶습니다.
박물관에 간 김에 '한글 노래의 풍류'라는 전시관도 가 봤습니다.
어떤 분이 보내주신 소중한 초대권으로 좋은 구경 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0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25
1256 [2008/09/05] 우리말) 얼만큼과 얼마큼 id: moneyplan 2008-09-05 3686
1255 [2007/12/04] 우리말) 사전을 찾아보다 id: moneyplan 2007-12-04 3687
1254 [2008/04/17]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id: moneyplan 2008-04-18 3687
1253 [2013/08/09] 우리말) 공골차다 머니북 2013-08-12 3687
1252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688
1251 [2013/08/16] 우리말) 책 소개 '오염된 국어사전' 책 소개(2) 머니북 2013-08-19 3688
1250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688
1249 [2013/02/07] 우리말) 햇님과 해님 머니북 2013-02-07 3689
1248 [2015/04/06] 우리말) 여미다 머니북 2015-04-06 3689
1247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90
1246 [2008/07/22] 우리말) 나지막하다 id: moneyplan 2008-07-22 3690
1245 [2012/03/13] 우리말) 애동대동과 중씰 머니북 2012-03-13 3690
1244 [2016/05/25] 우리말) 틀린 한자 몇 개 머니북 2016-05-26 3691
1243 [2010/04/07] 우리말) 날름과 낼름 id: moneyplan 2010-04-07 3692
1242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693
1241 [2008/05/26]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5-28 3694
1240 [2009/11/03] 우리말) 누굴 호구로 아나... id: moneyplan 2009-11-03 3694
1239 [2007/06/11] 우리말) 오늘은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6-11 3695
1238 [2013/05/09] 우리말) 함함하다 머니북 2013-05-10 3695
1237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