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6] 우리말) 웃옷

조회 수 3531 추천 수 26 2010.12.16 10:07:17
웃옷은
남방이나 티셔츠 등 평소 입는 옷 위에 덧입는 외투나 점퍼 따위를 말합니다.
이는 아래의 상대적인 뜻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날씨가 꽤 춥네요. 정말 겨울답습니다.
내일은 서울에 눈도 내린다고 합니다.

이런 날씨에는 두꺼운 옷에 저절로 손이 가죠.
흔히 우리가 외투라고 말하는 옷을 웃옷이라고 하는 게 맞을까요, 윗옷이라고 하는 게 맞을까요?

윗옷은 위에 입는 옷이라는 뜻으로
위와 옷이라는 낱말이 합쳐진 겁니다.
거기에 사이시옷이 들어가서 '윗옷'입니다.
이 윗옷은 아래옷의 상대적인 의미이므로 꼭 아래의 상대적인 의미로만 써야 합니다.

반면,
웃옷은
남방이나 티셔츠 등 평소 입는 옷 위에 덧입는 외투나 점퍼 따위를 말합니다.
이는 아래의 상대적인 뜻이 아닙니다.

옷을 두꺼운 것을 입는 것보다,
여러 겹으로 껴입는 게 더 따뜻하다고 합니다.

추운 겨울 건강하게 잘 즐기시길 빕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주말에 식구와 같이 국립중앙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어떤 분이 '유물 속 가을 이야기'초대권을 보내주셔서 덕분에 잘 다녀왔습니다. 고맙습니다.

박물관에 들어서는데 들머리부터 기분 좋은 푯말이 있더군요.
나들못...
사람이 들고 나는 곳에 있는 못이라는 뜻으로 박물관 들어가는 곳에 있습니다.
참 멋진 이름입니다.
그 밖에도 국립중앙박물관이 우리말을 살리려고 노력하는 게 여러 곳에서 보이더군요.
건물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큰 홀은 '으뜸홀'이라고 하더군요.
으뜸과 hall을 합쳐 '으뜸홀'이라고 했는데, 이 또한 멋진 말로 다가왔습니다.

좀 아쉬운 곳도 있었습니다.
'전남 유물 제 1호'라고 써 놓고, 바로 옆에는 '전남 유물 제6호'라고 썼습니다.
순서를 나타내는 제는 뒷말과 붙여 써야 합니다.
선물을 파는 곳에 가니 갈피표를 책갈피라 해 놓고 팔고 있었으며,
식당 창가에는 '절대앉지마십시요'라고 쓴 게 보였습니다.

소중한 우리 문화를 소개하는 자리에 바른 글로 설명하면 더 없이 좋지 싶습니다.
박물관에 간 김에 '한글 노래의 풍류'라는 전시관도 가 봤습니다.
어떤 분이 보내주신 소중한 초대권으로 좋은 구경 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73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310
876 [2017/08/21] 우리말) 미련 머니북 2017-08-21 3342
875 [2014/08/27] 우리말) 어떻게/어떡해 머니북 2014-08-27 3341
874 [2009/08/17] 우리말) 물때와 통행시간 id: moneyplan 2009-08-17 3341
873 [2016/12/09] 우리말) AI, 우리말에 숙제를 던지다 머니북 2016-12-12 3340
872 [2014/02/12] 우리말) 어제 편지를 읽고 나서 머니북 2014-02-12 3340
871 [2008/04/01] 우리말) 인삿말이 아니라 인사말 id: moneyplan 2008-04-01 3340
870 [2013/01/16] 우리말) 현수막과 횡단막 머니북 2013-01-16 3339
869 [2009/12/29] 우리말) 눈부처 id: moneyplan 2009-12-29 3338
868 [2016/01/22] 우리말) 불빛 비칠 때와 비출 때 머니북 2016-01-22 3337
867 [2012/08/22] 우리말) 어슴푸레/아슴푸레 머니북 2012-08-22 3337
866 [2009/02/03] 우리말) 해사하다 id: moneyplan 2009-02-03 3336
865 [2013/07/30] 우리말) 새벽 머니북 2013-07-31 3335
864 [2010/02/01] 우리말) 다둥이 id: moneyplan 2010-02-01 3335
863 [2009/08/14] 우리말) 불임과 난임 id: moneyplan 2009-08-14 3335
862 [2016/01/04] 우리말) 순우리말 지명 점차 사라져 머니북 2016-01-04 3334
861 [2013/08/27] 우리말) 넘늘이 머니북 2013-08-27 3334
860 [2009/12/21] 우리말) 댓글을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12-21 3334
859 [2008/04/11] 우리말) 하기 마련이다와 하게 마련이다 id: moneyplan 2008-04-13 3332
858 [2007/06/26] 우리말) 판사는 ㄷㄹ지고 ㄷㄸ야합니다 id: moneyplan 2007-06-26 3332
857 [2016/12/13] 우리말) 자치동갑 머니북 2016-12-14 3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