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22] 우리말) 못 잊다

조회 수 3393 추천 수 25 2010.12.22 20:25:46
'못잊어'는 '못 잊어'라고 써야 바릅니다.
'못'과 합칠 수 있는 낱말 가운데 못살다, 못되다, 못쓰다는 합성어로 보지만 '못잊다'는 합성어로 보지 않습니다.
따라서 못과 잊다는 떼어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할 일이 너무 많아 헉헉대는 것도 아닌데 왜 이리 일이 많은지 모르겠습니다.
이제야 자리에 좀 앉아 봅니다.

오늘이 22일에 동지입니다.
가는 해를 '못잊어' 괴로워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세월이 가는 것은 왠지 좀 슬프네요. ^^*

'못잊어'는 '못 잊어'라고 써야 바릅니다.
'못'과 합칠 수 있는 낱말 가운데 못살다, 못되다, 못쓰다는 합성어로 보지만 '못잊다'는 합성어로 보지 않습니다.
따라서 못과 잊다는 떼어 써야 바릅니다.

소리도
'못 잊어'는 [모디저]라고 내야 합니다.
합성어로 보고 '못잊어'라고 쓰면 [몬니저]라고 소리내도 되지만,
합성어가 아니므로 '못 잊어'라고 쓰고 [모디저]라고 소리내야 합니다.

올해 한 일을 못 잊으시나요?[모디즈시나요]
너무 괴로워 마시고 보낼 때는 보내주는 게 어떨까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도 여기저기서 터지는 폭탄 제거하느라 이제야 자리에 앉았습니다.
왜 이렇게 사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어제는 오랜만에 10시에 퇴근했습니다. 출근한 날 퇴근한 게 몇 달만인지 모르겠습니다.
그 시간에만 퇴근해도 여유가 있더군요. 무엇보다도 식구들이 아직 안 자고 있잖아요. ^^*
어제는 10시 넘어서 아내와 애들 손잡고 경기 도청 뒤에 있는 팔달산에 올라 안개 낀 화성을 걸었습니다.
바스락거리는 낙엽도 밟고, 나무 뒤에 숨어 "나 잡아 봐라~"라고 장난도 치면서 놀았습니다.
집에 돌아와서는 애들과 밤늦게까지 깔깔거리고 장난치며 놀다 늦게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비록 새벽에 잠들었지만 아침에 상쾌하게 일어났습니다.

저는 기분이 좋아 벌떡 일어났지만 애들은 늦게 자서 그런지 못 일어나더군요.
어쩔 수 없이 애들을 깨워 해롱대는 채 차로 같이 나올 때는 무척 안쓰럽습니다.

'안쓰럽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손아랫사람이나 약자의 딱한 형편이 마음에 언짢고 가엾다."는 뜻입니다.
흔히 안스럽다로 잘못 쓰기도 하지만,
안쓰럽다는 '안 스럽다'가 아닙니다.
'안쓰럽다' 자체가 하나의 낱말입니다.
복스럽다나 우스꽝스럽다처럼 어떤 낱말에 '-스럽다'가 붙은 게 아닙니다.
따라서 '안쓰럽다'고 쓰시는 게 바릅니다.

애들 이야기 쓰다 보니 애들이 보고 싶네요.
오늘도 일찍 들어가서 애들과 놀 수 있기를 빕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5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27
1156 [2007/07/10] 우리말) 금자탑 id: moneyplan 2007-07-10 3627
1155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27
1154 [2007/05/11] 우리말) 아이들이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 id: moneyplan 2007-05-11 3628
1153 [2008/08/06] 우리말) 메밀꽃 id: moneyplan 2008-08-06 3629
1152 [2008/10/07] 우리말) 염치와 얌치 id: moneyplan 2008-10-07 3629
1151 [2016/08/16] 우리말) 모처럼/어쩌다 머니북 2016-08-17 3629
1150 [2008/08/04] 우리말) 답은 터앝입니다 id: moneyplan 2008-08-04 3630
1149 [2010/10/06] 우리말) 조찬 moneybook 2010-10-06 3630
1148 [2011/02/01] 우리말) 온새미로와 라온 moneybook 2011-02-01 3631
1147 [2007/04/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7-04-16 3632
1146 [2009/11/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11-16 3632
1145 [2014/08/07] 우리말) 해까닥과 회까닥 머니북 2014-08-11 3633
1144 [2012/05/16] 우리말) 우리말 바로쓰기 머니북 2012-05-16 3634
1143 [2016/01/21] 우리말) 갑부 머니북 2016-01-21 3634
1142 [2008/02/25] 우리말) 가장자리 id: moneyplan 2008-02-25 3635
1141 [2008/04/24] 우리말) 북돋우다 id: moneyplan 2008-04-24 3636
1140 [2009/11/03] 우리말) 누굴 호구로 아나... id: moneyplan 2009-11-03 3637
1139 [2013/02/07] 우리말) 햇님과 해님 머니북 2013-02-07 3637
1138 [2014/03/20] 우리말) 엊그제 머니북 2014-03-20 3637
1137 [2010/06/30] 우리말) 안과 밖 moneybook 2010-06-30 3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