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04] 우리말) 잔주름/잗주름

조회 수 5533 추천 수 28 2011.01.04 15:09:48
'잗주름'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얼굴에는 쓰지 않고 "옷 따위에 잡은 잔주름"에만 씁니다.
따라서, 치마허리 부분에 잔주름을 넣다고 해도 되고, 잗주름을 넣다고 해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또 한 살을 먹었습니다.

아침에 세수하다 보니 오늘따라 얼굴에 잔주름이 많이 보이네요.
살다 보면 저절로 생기는 것이지만, 그래도 썩 기분이 좋은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잔주름'은 잘 아시는 것처럼
"잘게 잡힌 주름"입니다.
눈 밑에 잔주름이 잡히다, 치마허리 부분에 잔주름을 넣다처럼 씁니다.
얼굴에도 쓰지만, 옷에도 쓸 수 있습니다.

'잗주름'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얼굴에는 쓰지 않고 "옷 따위에 잡은 잔주름"에만 씁니다.
따라서, 치마허리 부분에 잔주름을 넣다고 해도 되고, 잗주름을 넣다고 해도 됩니다.

얼굴에 쓰는 멋진 말로 '가선'이 있습니다.
눈시울의 주름진 금을 뜻합니다.
가선졌다고 하죠.

나이가 들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게 잔주름이고 가선이라면,
너무 가슴 아파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데요, 대요]

‘김희선 참 예쁘데요’와 ‘김희선 참 예쁘대요’의 차이점.
‘데요’는 내가 경험한 일을 말 할 때 쓰고,
‘대요’는 남의 말을 전할 때 씁니다.

따라서 ‘김희선 참 예쁘데요’는
‘내가 언젠가 김희선을 봤는데 참 예쁘더라’라는 의미고,

‘김희선 참 예쁘대요’는
‘김희선을 만난 내 친구가 그러는데 참 예쁘다고 하더라’라는 뜻입니다.

오늘은 간단해서 좋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8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6
» [2011/01/04] 우리말) 잔주름/잗주름 moneybook 2011-01-04 5533
195 [2006/12/14] 우리말) 어제는 어머니와 함께 점심을 먹었습니다 id: moneyplan 2006-12-14 5541
194 [2006/12/03] 우리말) 선친 잘 계시냐? id: moneyplan 2006-12-04 5585
193 [2006/10/10] 우리말) 밥먹고 삽시다 id: moneyplan 2006-10-10 5586
192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587
191 [2011/10/10] 우리말)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0 5588
190 [2006/12/18] 우리말) 살찌다와 살지다 id: moneyplan 2006-12-18 5605
189 [2006/10/04] 우리말) 즐거운 추석 되세요. -> 아니요. 싫은데요. id: moneyplan 2006-10-08 5608
188 [2006/10/22] 우리말) 심간 편하세요? id: moneyplan 2006-10-23 5620
187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633
186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634
185 [2006/09/21] 우리말) 염치불구하고... id: moneyplan 2006-09-21 5635
184 [2013/03/22] 우리말) 약 머니북 2013-03-25 5656
183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657
182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701
181 [2006/12/12] 우리말) 저는 절대 똥기지 않을 겁니다 id: moneyplan 2006-12-12 5706
180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713
179 [2015/04/13] 우리말) 차출과 착출 머니북 2015-04-13 5718
178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759
177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