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05] 우리말) 포기하기 십상

조회 수 3373 추천 수 33 2011.01.05 10:48:52
'십상'은,
十常八九에서 온 말입니다.
열 가운데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대부분이거나 거의 틀림없음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하기 쉽다고 해서 '쉽상'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벌써 1월 5일입니다.
시간이 빨리도 흐릅니다. ^^*

새해에 세웠던 계획 가운데 벌써 포기하신 것은 없으신가요?
마음을 다잡지 않으면 포기하기 십상입니다.

뭔가를 하기 아주 쉬운 일이나 상태를 두고
'-하기 쉽상'이라는 말을 씁니다.
그러나 이는 '쉽상'이 아니라 '십상'입니다.

'십상'은,
十常八九에서 온 말입니다.
열 가운데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대부분이거나 거의 틀림없음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하기 쉽다고 해서 '쉽상'이 아닙니다.

새해에 맘먹은 일이 있으시면 포기하지 마시고 꼭 이루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시간, 시각]

제가 근무하는 회사는
관내출장을 1시간 단위로 달 수 있는데,
1시간부터 4시간까지는 출장비로 5천원을 주고,
4시간을 넘어서는 관내출장은 거금 1만원을 줍니다.

쓸데없는 사족을 좀 달아볼게요.
관내 출장 이야기 하면서 ‘1시간부터 4시간까지’라고 했죠.
기차역에 보면 열차도착‘시간’이 아니라 열차도착‘시각’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시각’과 ‘시간’의 차이가 뭔지 아세요?

‘시각’은 시간의 어느 한 점을 의미하고
‘시간’은 어떤 시각에서 다른 시각까지의 사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관내출장은 출장 시작부터 출장 끝까지의 사이이므로 ‘시간’이 맞고,
기차가 도착하는 것은 시간의 한 점 이므로 ‘시각’이 맞죠.
우리는 그냥 뭉퉁거려서 ‘시간’이라고 쓰고 있지만 사실은 엄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의심나시면 지금 국어사전 찾아보세요.

오늘도 행복한 시간과 함께하시길 빕니다.

보태기)
국립국어원에서는 ‘시간’이 ‘시각’의 뜻으로도 사용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3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44
1176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3571
1175 [2015/03/19] 우리말) 사료는 먹이로 머니북 2015-03-19 3570
1174 [2014/11/07]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7 3570
1173 [2010/01/06] 우리말) 몸알리 id: moneyplan 2010-01-06 3570
1172 [2009/03/02] 우리말) 스킨십 id: moneyplan 2009-03-03 3570
1171 [2017/02/03] 우리말) 조류포비아 머니북 2017-02-03 3569
1170 [2016/12/29] 우리말) 올 한 해 읽은 책을 정리했습니다. 머니북 2016-12-29 3569
1169 [2011/05/06]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moneybook 2011-05-06 3569
1168 [2007/08/17] 우리말) 분리수거, 분리배출 id: moneyplan 2007-08-17 3569
1167 [2012/04/04] 우리말) 서식과 자생 머니북 2012-04-04 3568
1166 [2009/09/02] 우리말) 제가 실수를 했네요. ^^* id: moneyplan 2009-09-02 3568
1165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3568
1164 [2007/08/13] 우리말) 고추 이야기 id: moneyplan 2007-08-13 3568
1163 [2007/06/08] 우리말) 버벅거리다 id: moneyplan 2007-06-08 3568
1162 [2015/09/14] 우리말) 꺼메지다와 까매지다 머니북 2015-09-14 3567
1161 [2014/01/28] 우리말) 우리말 속 일본말 머니북 2014-01-28 3567
1160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567
1159 [2007/04/19] 우리말) 외톨이 id: moneyplan 2007-04-19 3567
1158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566
1157 [2014/03/05] 우리말) 잊다와 잃다(2) 머니북 2014-03-06 3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