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11] 우리말) 늘과 늘상

조회 수 3147 추천 수 28 2011.01.11 10:38:40
이 '늘'과 '노상'을 합쳐 '늘상'이라고 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늘상'이라는 어찌씨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보다 기온이 조금 오르겠지만,
여전히 평년기온을 크게 밑돌 거라고 하네요.
늘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아시는 것처럼
"계속하여 언제나"라는 뜻의 어찌씨(부사)가 '늘'입니다.
비슷한 뜻으로
"언제나 변함없이 한 모양으로 줄곧"이라는 뜻을 지닌 어찌씨가 '노상'입니다.

이 '늘'과 '노상'을 합쳐 '늘상'이라고 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늘상'이라는 어찌씨는 없습니다.

겨울이다 보니 늘 추운 것이고, 노상 감기를 달고 살기는 하지만,
'늘상' 춥고 배고픈 것은 아닙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임신부, 임산부]

혹시 담배 피우세요?
저는 조금 전에도 출근하자마자 습관적으로 그 탁한 공기를 목구멍 속으로 꾸역꾸역 밀어 넣고 왔습니다.
끊긴 끊어야 하는데...

담뱃갑에 보면 경고 글이 있습니다.
“흡연은 폐암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며, 특히 임신부와 청소년의 건강에 해롭습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예전과 다른 낱말이 하나 있습니다.
몇 년 전에는 ‘임산부’라고 썼었는데 요즘은 ‘임신부’라고 씁니다.
왜 그렇게 바꿨을까요?

임산부는 임부와 산부를 합친 말로 애를 밴 사람과 애를 갓 낳은 사람을 동시에 일컫는 말입니다.
근데 담뱃갑에 있는 경고 문구는 애 밴 여자가 담배를 피우면 태아에게도 해롭다는 뜻으로 넣은 것이므로,
임부는 해당되지만 산부에게는 해당이 안 되겠죠.
왜냐면, 산부는 이미 애를 낳고 뱃속에 애가 없으니까요.
그래서 몇 년 전부터 ‘임산부’라고 안 쓰고 ‘임신부’라고 씁니다.  

약 사용설명서에도 ‘임산부’와 ‘임신부’를 정확하게 구별해서 씁니다. 당연한 소리지만...

‘임신부’하니까 또 다른 게 생각나네요.
흔히 임신한 사람을 보고,
“홀몸도 아닌데 조심하세요.”라고 말합니다.
근데 여기 홀몸이 잘못 쓰였습니다.

홀몸은 부모형제가 없는 고아나 아직 결혼하지 않은 사람을 말합니다.
즉, ‘홀’은 ‘짝’에 대립해 ‘홀아비’ ‘홀시어미’ 따위로 쓰죠.
“사고로 아내를 잃고 홀몸이 되었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임신한 여자를 보고,
“홀몸도 아닌데...”라고 하면 결혼도 하기 전에 애를 밴 영 거시기한 사람이라는 말이 돼버립니다.  
홀몸과 헷갈리는 말로 ‘홑몸’이 있습니다.
‘홑’은 ‘겹’에 대립하는 말로,
딸린 사람이 없는 혼자의 몸이나, 결혼한 후 아직 아기를 갖지 않는 몸을 말합니다.
따라서, 임신한 사람에게는
“홑몸도 아닌데 조심하세요.”라고 ‘홑몸’을 써야 합니다.

제가 오늘 왜 이렇게 애 밴 사람 이야기를 주절거리며 너스레를 떠느냐면,
ㅋㅋㅋ
실은 제 아내가 둘째를 뱄거든요.
‘임신부’가 되고
‘홑몸이 아닌 상태’가 된 거죠.
이번에는 눈물 콧물 별로 안 흘리고 잘 만들었어요.

(이 편지는 6년전에 쓴 편지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08
1516 [2011/12/21] 우리말) 종군위안부(2) 머니북 2011-12-21 3538
1515 [2008/10/24] 우리말) 아침결 id: moneyplan 2008-10-24 3538
1514 [2017/01/16] 우리말) 굴지 머니북 2017-01-17 3536
1513 [2011/05/13] 우리말) 안전띠 moneybook 2011-05-14 3534
1512 [2008/11/12] 우리말) 한철과 제철 id: moneyplan 2008-11-12 3534
1511 [2017/03/08]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7-03-09 3533
1510 [2012/10/31] 우리말) 되는대로 머니북 2012-10-31 3533
1509 [2009/11/20] 우리말) 두루마리 id: moneyplan 2009-11-20 3533
1508 [2008/09/30] 우리말) 멀다랗다와 머다랗다 id: moneyplan 2008-09-30 3531
1507 [2015/10/21] 우리말) 낯익다와 귀 익다 머니북 2015-10-21 3530
1506 [2015/08/05] 우리말) 밤을 지새우다 머니북 2015-08-05 3530
1505 [2012/06/14] 우리말) 관심은 가지는 게 아니라 두는 것 머니북 2012-06-15 3530
1504 [2013/10/30] 우리말) 신랄하다 머니북 2013-10-30 3530
1503 [2011/12/29]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머니북 2011-12-29 3530
1502 [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id: moneyplan 2010-02-19 3530
1501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529
1500 [2010/04/16] 우리말) 바끄럽다/서머하다 id: moneyplan 2010-04-16 3529
1499 [2013/01/09] 우리말) 중소氣UP! 머니북 2013-01-09 3528
1498 [2012/10/05]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소개 머니북 2012-10-05 3525
1497 [2012/05/08]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머니북 2012-05-08 3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