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27] 우리말) 빨간색과 빨강색

조회 수 3421 추천 수 14 2011.01.27 10:00:01
노란색, 파란색이 맞고,
노랑, 파랑이 맞으며,
하양, 하얀색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1.
오늘 아침 7:33에 MBC 화면 아래로 흐르는 자막에서
'KG'이 나왔습니다.
무게 단위는 KG이나 Kg가 아니라 kg입니다.
길이단위도 CM이 아니라 cm이 맞습니다.
리터도 필기체 엘이 아니라 소문자나 대문자 엘(l, L)이 바릅니다.

2.
오늘 아침 EBS에서 7:50쯤에 '빵강머리 앤'을 방송했습니다.
'빨강'은 '빨갛다'에서 온 낱말로 이름씨(명사)입니다.
그냥 '빨강' 자체로 "빨간 빛깔이나 물감"입니다.
거기에 '색'을 덧붙일 까닭이 없습니다.
굳이 '빨강'과 '색'을 함께 써야 한다면,
'빨간색'으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빨간'은 '빨갛다'의 활용형으로 명사와 결합하여 쓸 수 있습니다.  
노랑, 파랑, 하양 따위도 마찬가집니다.
노란색, 파란색이 맞고,
노랑, 파랑이 맞으며,
하양, 하얀색이 맞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적다와 작다]

날씨가 꽤 풀렸죠?

오늘은 조그마한 이야깁니다.
언젠가 무슨 행사가 있었는데,
그 행사에 오신 분이
“생각보다 작네!”
라고 말씀하시더군요.

그분이 하고자 하는 말은,
“평소에 이곳에서 하는 걸로 봐서 사람이 많이 올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적게 왔다.” 겠죠.
그러나 ‘적다’와 ‘작다’를 구별하지 못하신 겁니다.

‘작다’는 ‘크다’의 상대가 되는 말로,
“길이, 넓이, 부피 따위가 비교 대상이나 보통보다 덜하다.”라는 의밉니다.
‘깨알처럼 작은 글씨/키 작은 꽃/작고 조용한 마을/몸집이 작다/체구가 작다/운동장이 작다’처럼 씁니다.

반면,
‘적다’는 ‘많다’의 상대가 되는 말로,
“수효나 분량, 정도가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다.”라는 의미죠.
수입이 적다/경험이 적다/관심이 적다/적지 않은 피해를 입다/복권은 당첨될 확률이 적다 로 씁니다.

따라서 어제 같은 경우 그런 의미로 말하려면,
“생각보다 적네!”라고 말씀하시는 게 맞습니다.

‘적다’와 ‘작다’!
조그마한 녀석들이 가끔 사람을 헷갈리게 합니다.
꼭 구별해서 쓰자고요.
‘적다’와 ‘작다’는 며칠 전에 보내드린,
큰말, 작은말 관계가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9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502
1516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6097
1515 [2012/07/10] 우리말) 주니 머니북 2012-07-10 3572
1514 [2012/07/09] 우리말) 빈소와 분향소 머니북 2012-07-09 3715
1513 [2012/07/06] 우리말) 장대비와 작달비 머니북 2012-07-06 3125
1512 [2012/07/05]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5 3693
1511 [2012/07/0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4 3510
1510 [2012/07/03] 우리말) 천장과 천정(2) 머니북 2012-07-03 3802
1509 [2012/07/02] 우리말) 천장과 천정 머니북 2012-07-02 3485
1508 [2012/06/29] 우리말) 같이 읽고 싶은 글 머니북 2012-06-29 3525
1507 [2012/06/28] 우리말) '안타깝다' 머니북 2012-06-28 3401
1506 [2012/06/27] 우리말) '쿨비즈'는 '시원차림'으로 머니북 2012-06-27 3127
1505 [2012/06/26] 우리말) '폭염'과 '불볕더위' 머니북 2012-06-26 3300
1504 [2012/06/25] 우리말) '엉큼하다'와 '응큼하다' 머니북 2012-06-25 3715
1503 [2012/06/22] 우리말) 암호같은 복지 용어 머니북 2012-06-22 3671
1502 [2012/06/21] 우리말) 노인은 어르신으로 머니북 2012-06-21 3384
1501 [2012/06/20] 우리말) 수탉과 수캉아지도 있습니다 머니북 2012-06-20 3340
1500 [2012/06/19] 우리말) 수키와 머니북 2012-06-19 3400
1499 [2012/06/18] 우리말) 미어지다와 메어지다 머니북 2012-06-18 3838
1498 [2012/06/15] 우리말) 토박이말 살려쓴 이름 머니북 2012-06-15 4856
1497 [2012/06/14] 우리말) 관심은 가지는 게 아니라 두는 것 머니북 2012-06-15 3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