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08] 우리말) 첫날 밤과 첫날밤

조회 수 3190 추천 수 7 2011.03.08 09:42:34
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으면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지 않으면) 띄어 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띄어쓰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띄어쓰기는 낱말마다 띄어 씁니다.
그리고 9가지 품사도 한 낱말로 봐서 띄어 쓰되, 조사만 붙여 씁니다.

따라서,
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으면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지 않으면) 띄어 씁니다.

보기를 보면,
'첫날'과 '밤'을 쓸 때,
'밤'은 품사가 명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써야 하지만,
'첫날'과 합쳐지면서 복합어로 봐서 사전에 올라 있으므로
'첫날밤'처럼 붙여 써야 바릅니다.

이렇게 복합어로 사전에 오른 때는 뜻이 조금 바뀝니다.
'첫날 밤'은 처음 보내는 밤이지만,
'첫날밤'은 결혼한 신랑과 신부가 처음으로 함께 자는 밤을 뜻하게 됩니다.

가끔 알려 드리는 '한잔'도 그렇습니다.
'한 잔'이라고 하면 딱 한 잔을 뜻하지만,
'한잔'이라고 하면 가볍게 한 차례 마시는 차나 술을 뜻합니다.

그런 말에는
못지않다, 큰코다친다, 가는귀먹다, 보잘것없다, 이제나저제나, 온데가데없다, 안절부절못하다 따위가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오늘 아침 고도원의 아침편지에 보니 아래와 같은 글이 있네요.
참으로 옳으신 말씀이라 여기에 다시 올립니다.




어려운 것은
가끔 한
내 입에서 나와
상대의 귀로 흘러들어 가는 말 한마디가
살아가면서 얼마나 많은 역할을 해내고 있는지를
우리는 항상 새겨야 한다. 말을 내뱉는 것은 쉽고
순식간이지만, 그 말에 대한 책임은 평생토록
가져가야 한다. 말이란게 이토록 어렵고
중요하다. 말이 주는 놀라운 힘을 믿고,
말을 잘하자.


- 고도원의《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중에서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금실 좋은 부부]

어제는 해남에서 오신 손님과 곡차를 한 잔 했습니다.
한 10년 정도 차이 나는 선배님인데,
가족간의 사랑과 화목을 강조하시더군요.
그러면서 부부간의 사랑을 많이 이야기하셨습니다.

오늘은 그 부부간의 사랑에 대해서 좀 말씀드리겠습니다.
나이 어린 제가 사랑 이야기를 꺼낸다는 것은 좀 거시기하고,
저는 그저...

흔히 부부간의 사랑을 이야기할 때
‘금실 좋은 부부’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금실 하면,
금으로 된 실(金絲)을 연상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금실은 금으로 된 실이 아니라,
‘금슬(琴瑟)’에서 나온 한자어입니다.
거문고 금, 비파 슬이죠.
거문고와 비파처럼 잘 어울려 궁합이 딱 맞는 부부를 말합니다.

현행 맞춤법상
‘琴瑟’이 거문고와 비파 자체일 때는 ‘금슬’,
부부간의 사랑은 ‘금실’로 씁니다.

우리글에서,
‘ㅅ, ㅈ, ㅊ’ 다음에 오는 ‘ㅡ’는 ‘ㅣ’로 쉽게 변합니다.
‘금슬’ 대신 ‘금실’을 표준말로 정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여러분도 금실 좋은 부부시죠?
오늘은 퇴근하여 집에 들어가면서
장미꽃 한 송이라도...

오늘도 날씨가 참 좋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3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54
1216 [2012/04/19] 우리말) 사람은 줏대가 있어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19 3403
1215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36
1214 [2012/04/23] 우리말) 너섬둑길 머니북 2012-04-24 3451
1213 [2012/04/24] 우리말) 송춘종 어르신이 방송인에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4-24 3014
1212 [2012/04/25] 우리말) 어제 소개한 글의 바른 답 file 머니북 2012-04-25 3265
1211 [2012/04/26] 우리말) 광화문 안내판 머니북 2012-04-27 3130
1210 [2012/04/27] 우리말) 핼쑥하다와 해쓱하다 머니북 2012-04-27 3540
1209 [2012/04/30] 우리말) 전기요금 머니북 2012-04-30 3336
1208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682
1207 [2012/05/02] 우리말) 너섬둑길과 여의도 머니북 2012-05-02 3263
1206 [2012/05/03] 우리말) 금/줄/선 머니북 2012-05-04 3782
1205 [2012/05/04]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2-05-04 3382
1204 [2012/05/07] 우리말) 너섬둑길과 여의도(2) 머니북 2012-05-07 4212
1203 [2012/05/08]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머니북 2012-05-08 3583
1202 [2012/05/09] 우리말) 보다 머니북 2012-05-09 3701
1201 [2012/05/10] 우리말) 금실과 금슬 머니북 2012-05-10 3465
1200 [2012/05/11]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2-05-11 4335
1199 [2012/05/14] 우리말) 남의나이와 남의눈 머니북 2012-05-14 3592
1198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686
1197 [2012/05/16] 우리말) 우리말 바로쓰기 머니북 2012-05-16 3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