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조회 수 3743 추천 수 8 2011.03.15 09:42:18
지난주에 멋쩍다를 소개해 드리면서
'멋'이 '적다'로 가를 수 없다면 소리 나는 대로 쓰는 게 바르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멋쩍다, 객쩍다, 겸연쩍다, 맥쩍다 따위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그렇게 쓰는 게
해망쩍다와 행망쩍다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난주에 멋쩍다를 소개해 드리면서
'멋'이 '적다'로 가를 수 없다면 소리 나는 대로 쓰는 게 바르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멋쩍다, 객쩍다, 겸연쩍다, 맥쩍다 따위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그렇게 쓰는 게
해망쩍다와 행망쩍다가 있습니다.

해망쩍다는 그림씨(형용사)로 "영리하지 못하고 아둔하다."는 뜻입니다.
이놈이 해망쩍게 또 어디 구경을 가지 않았나처럼 씁니다.

행망쩍다도 그림씨로 "주의력이 없고 아둔하다."는 뜻입니다.

멋진 말이라 지난주에 다 소개하지 않고 남겨놨습니다. ^^*

내일이 비가 온다는데 오늘부터 날씨가 끄물거리네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반나절은 몇 시간?]

식목일인 어제 큰불이 났습니다.
왜 매년 식목일마다 큰불이 나는지...
식목일을 연목일(燃木日)로 불러야 할 판입니다. 쩝...

어제 난 그 산불로 양양에 있는 낙산사가 불탔는데요.
제가 그곳으로 신혼여행을 갔던 터라.......
가슴이 더 에이네요.

그 낙산사가 불탄 소식을 방송에서 전하면서,
“...때문에 반나절 만에 전소됐습니다.”라는 말을 하더군요.
반나절...
한나절도 아닌 반나절...
도대체 반나절이 몇 시간이기에 반나절 만에 불탔다고 저리 호들갑일까?
분명 짧은 시간에 다 탔음을 강조하는 것 같은데......

반나절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한나절을 알아야 합니다.
한나절은 “하루 낮의 반(半)”입니다.
따라서 시간으로 따지면 하루 낮(12시간)의 반인 6시간이죠.

그 한나절의 반이 반나절이므로
시간으로 따지면,
6시간의 반인 3시간이라는 말이죠.

따라서,
3시간 만에 절이 다 타버렸다는 의미가 됩니다.
실제 몇 시간 동안 탔는지는 모르지만,
짧은 시간에 천년고찰이 다 탔다는 것을 강조하는 데는
아주 적절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처음으로 방송에서 나온 말을 칭찬하네요.

그렇지만 틀린 것도 있습니다.
“...때문에 반나절 만에 전소됐습니다.”에서,
‘전소됐습니다’보다는 ‘전소했습니다’가 더 낫습니다.
명사에 ‘하다’가 붙어서 자동사가 되는 말은 ‘되다’를 붙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 이런 명사에 ‘되다’를 붙여 쓸 때가 많은데
이는 영어의 번역문이 일반화하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오후에는 비가 좀 온다는데,
많이 좀 와서 강원도 불을 끄고,
전국적인 건조주의보도 해제하면 좋겠네요.

지금 오는 비가 저 같은 농사꾼에게는 별로지만...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보태기)
한나절의 반인 반나절과 같은 뜻의 낱말로 ‘한겻’도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1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37
1216 [2012/04/19] 우리말) 사람은 줏대가 있어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19 3403
1215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34
1214 [2012/04/23] 우리말) 너섬둑길 머니북 2012-04-24 3451
1213 [2012/04/24] 우리말) 송춘종 어르신이 방송인에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4-24 3011
1212 [2012/04/25] 우리말) 어제 소개한 글의 바른 답 file 머니북 2012-04-25 3264
1211 [2012/04/26] 우리말) 광화문 안내판 머니북 2012-04-27 3130
1210 [2012/04/27] 우리말) 핼쑥하다와 해쓱하다 머니북 2012-04-27 3540
1209 [2012/04/30] 우리말) 전기요금 머니북 2012-04-30 3333
1208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682
1207 [2012/05/02] 우리말) 너섬둑길과 여의도 머니북 2012-05-02 3261
1206 [2012/05/03] 우리말) 금/줄/선 머니북 2012-05-04 3781
1205 [2012/05/04]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2-05-04 3380
1204 [2012/05/07] 우리말) 너섬둑길과 여의도(2) 머니북 2012-05-07 4211
1203 [2012/05/08]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머니북 2012-05-08 3583
1202 [2012/05/09] 우리말) 보다 머니북 2012-05-09 3700
1201 [2012/05/10] 우리말) 금실과 금슬 머니북 2012-05-10 3463
1200 [2012/05/11]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2-05-11 4335
1199 [2012/05/14] 우리말) 남의나이와 남의눈 머니북 2012-05-14 3592
1198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686
1197 [2012/05/16] 우리말) 우리말 바로쓰기 머니북 2012-05-16 3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