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15] 우리말) 꽃샘과 꽃샘추위

조회 수 3308 추천 수 8 2011.03.15 09:43:09
'꽃샘'과 '꽃샘추위' 모두 표준말이며, 두 낱말의 뜻풀이를 볼 때 그 쓰임새가 다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일본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마음으로 위로를 보내고, 작지만 따뜻한 마음을 담은 정성을 보탤 예정입니다.

오늘 아침 좀 쌀쌀했죠?
꽃이 필 무렵에 날씨가 추워지는 것을 '꽃샘추위'나 '꽃샘'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꽃'은 다 아실 것이고,
'샘'은 남의 처지나 물건을 탐내거나, 자기보다 나은 처지에 있는 사람이나 적수를 미워함, 또는 그런 마음입니다.
따라서 꽃샘이라고 하면,
꽃이 피는 봄을 미워하는 마음이라고 억지로 풀 수 있겠네요.
다 아시는 것처럼
꽃샘은 "이른 봄, 꽃이 필 무렵에 추워짐. 또는 그런 추위"라는 뜻입니다.
같은 뜻으로
'꽃샘추위'는 "이른 봄, 꽃이 필 무렵의 추위"라는 뜻입니다.
'꽃샘'과 '꽃샘추위' 모두 표준말이며, 두 낱말의 뜻풀이를 볼 때 그 쓰임새가 다르지 않습니다.

뉴스에서 보니
일본에 지진이 일어난 곳에 눈발도 날리는 것 같더군요.
하루빨리 안정되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저 오늘 구설수가 끼었다네요 ]

저는 제가 왜 차를 샀는지 모르겠습니다.
만날 이렇게 술 마시고 차 놓고 가면서......
어제도 한 잔 해서 아침에 버스를 타고 출근했습니다.

출근길에 버스 기다리면서 습관적으로 옆에 있는 벼룩시장 신문을 집어들었죠.
술이 덜 깨서 그런지 다른 글은 잘 보이지 않고,
오늘의 운세만 쉽게 보이더군요.

제 띠를 보니,
오늘 구설수가 있다네요.
오늘은 그 구설수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죠.

‘구설수(口舌數)’는
“남에게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을 듣게 될 운수나 신수”를 말하는데요.
주로 운세에서 나오는 말로 ‘구설수가 있다, 구설수가 끼었다’ 따위로 쓰죠.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구설’과 ‘구설수’를 구별해서 써야 한다는 겁니다.
‘구설’은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이고,
‘구설수’는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을 듣게 될 운수”이므로,
‘~ 때문에 구설수에 휘말렸다.’처럼 쓰면 안 되죠.
‘~ 때문에 구설에 휘말렸다.’로 써야죠.

다시 강조하지만,
‘구설수’의 ‘수(數)’가 ‘운수’, ‘신수’를 뜻하므로
‘구설수에 올랐다’는 표현은 맞지 않고,
‘구설에 올랐다(휘말렸다)’고 해야 맞습니다.

그나저나,
오늘 말조심, 몸조심 해야겠습니다.
그래야 ‘구설’에 오르지 않죠.

오늘도 황사가 온다네요. 조심하세요.

보태기)
‘구설에 휘말렸다’보다는,
‘입방아에 올랐다’가 훨씬 좋지 않나요?
‘입방아’의 뜻이
“어떤 사실을 화제로 삼아 이러쿵저러쿵 쓸데없이 입을 놀리는 일.”로
‘구설’과 딱 맞아떨어지지는 않지만,
그래도 ‘구설에 올랐다’나 ‘구설에 휘말렸다’보다는 더 낫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6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626
776 [2012/01/06] 우리말) 차례 상 차리기 머니북 2012-01-06 3295
775 [re] 아침에 드린 편지에 틀린 내용이 있습니다 moneybook 2010-08-08 3295
774 [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moneybook 2010-06-16 3294
773 [2017/06/21]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7-06-22 3293
772 [2013/12/05] 우리말) 얽히고설키다 머니북 2013-12-06 3293
771 [2010/04/14] 우리말) 듯싶다 id: moneyplan 2010-04-14 3293
770 [2014/10/210] 우리말) 비가 그치겠죠? 머니북 2014-10-21 3292
769 [2009/07/29] 우리말) 감기다 id: moneyplan 2009-07-29 3291
768 [2009/03/20] 우리말) 칠 대 일 id: moneyplan 2009-03-23 3290
767 [2009/02/13]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3 3290
766 [2010/10/11] 우리말) 숫자로 살펴보는 우리말 moneybook 2010-10-11 3289
765 [2012/11/19] 우리말) 낙엽과 진 잎 머니북 2012-11-19 3288
764 [2017/07/27] 우리말) 굴레와 멍에 머니북 2017-07-27 3287
763 [2013/01/02] 우리말) 제야 머니북 2013-01-02 3287
762 [2017/02/08] 우리말) 분수와 푼수 머니북 2017-02-09 3286
761 [2014/06/26] 우리말) 탄하다와 탓하다 머니북 2014-06-26 3286
760 [2008/01/31] 우리말) 철들다 id: moneyplan 2008-01-31 3286
759 [2010/05/11] 우리말) 주꾸미 id: moneyplan 2010-05-11 3285
758 [2016/11/07] 우리말) 기분 좋은 전자메일 머니북 2016-11-12 3284
757 [2009/03/03] 우리말) 아뭏튼과 아무튼 id: moneyplan 2009-03-03 3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