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16] 우리말) 잎샘

조회 수 3151 추천 수 7 2011.03.16 09:21:53
'꽃샘'과 '꽃샘추위' 모두 표준말이며, 두 낱말의 뜻풀이를 볼 때 그 쓰임새가 다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소개해 드린 '꽃샘과 꽃샘추위'를 보시고 아래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

좋은 안내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꽃샘'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이미 꽃샘에 추위라는 말이 포함되어서 덧붙여진 것 같습니다.
'꽃샘추위'는 마치 역전앞처럼요.
꽃샘, 잎샘으로 표기함이 좋을 듯합니다.


좋은 댓글 달아주셔서 고맙습니다.
어제 편지에서 잎샘도 같이 소개하면 더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잎샘은 "봄에 잎이 나올 무렵에 갑자기 날씨가 추워짐. 또는 그런 추위"를 뜻해
꽃샘과 거의 같은 뜻입니다.

잎샘과 꽃샘... 참 멋진 낱말 아닌가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이런 칠칠맞은 녀석아!”]

봄비가 내리네요.
다음 주 월요일에 논에서 중요한 일이 있는데,
비가 오니 걱정이네요. 지금이라도 그치면 좋으련만...

오늘은 한 달에 두 번 있는 쉬는 토요일입니다.
덕분에 늘어지게 늦잠자다 11시 쯤 사무실에 나왔죠.

버스를 기다리면서 신문을 읽고 있는데,
예닐곱쯤 되어 보이는 꼬마가
도로에 고인 물에서 발장난을 치고 있더군요.
이를 본 꼬마의 엄마가,
“이런 칠칠맞은 녀석아, 그게 뭐냐? 옷 다 버렸잖아!”
라고 꾸중을 하더군요.
당연한 듯 그 꼬마는 들은 척도 안 하고 계속 발장난을 즐겼지만...

오늘은
‘칠칠맞다’ 이야기 좀 해 볼게요.
본래 ‘칠칠맞다’는 ‘않다’, ‘못하다’ 따위와 함께 쓰여서,
‘칠칠하다’를 속되게 이를 때 씁니다.

‘칠칠하다’는 형용사로,
“일처리가 민첩하고 정확하다”,
“나무, 풀, 머리털 따위가 잘 자라서 알차고 길다.”라는 좋은 의밉니다.
‘검고 칠칠한 머리/숲은 세월이 흐를수록 칠칠하고 무성해졌다.’처럼 쓰죠.

따라서,
품행이나 옷차림, 행동거지 등이 깨끗하거나 얌전하지 않을 때는,
“이런 칠칠맞지 못한 녀석아!”라고 말해야 합니다.
‘칠칠맞다’고 야단을 치는 게 아니라,
‘칠칠맞지 못하다’고 야단을 치는 게 정확하기 때문이죠.

즉,
‘칠칠하다’를 부정의 뜻으로 쓸 때는,
‘칠칠찮다’, ‘칠칠하지 못하다’와 같이 써야 합니다.
그래야 말하려는 의도를 정확하게 표현한 겁니다.

여러분은,
칠칠한 사람이 좋아요,
칠칠하지 않은 사람이 좋아요?

당연히,
일처리가 민첩하고 정확한,
칠칠한 사람이 좋겠죠?

좋은 주말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7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95
1216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641
1215 [2013/01/14] 우리말) 동장군 머니북 2013-01-14 3641
1214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42
1213 [2008/11/13] 우리말) 안간힘[안깐힘] id: moneyplan 2008-11-13 3643
1212 [2013/05/15] 우리말) 스승의 날에 읽어보는 교수의 반성문 머니북 2013-05-15 3643
1211 [2016/08/16] 우리말) 모처럼/어쩌다 머니북 2016-08-17 3643
1210 [2017/10/18] 우리말) 카카오톡 머니북 2017-11-06 3643
1209 [2008/01/16] 우리말) 캐주얼을 우리말로 하면? id: moneyplan 2008-01-16 3645
1208 [2014/02/26] 우리말) 폼과 품 머니북 2014-02-26 3648
1207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649
1206 [2012/05/16] 우리말) 우리말 바로쓰기 머니북 2012-05-16 3649
1205 [2013/08/26] 우리말) 곁땀 머니북 2013-08-26 3650
1204 [2015/06/26] 우리말) 산수갑산은 어디일까? 머니북 2015-06-26 3650
1203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651
1202 [2008/08/07]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밀국수 id: moneyplan 2008-08-07 3651
1201 [2012/07/10] 우리말) 주니 머니북 2012-07-10 3651
1200 [2016/10/10] 우리말) ‘빠르다’와 ‘이르다’ 머니북 2016-11-01 3651
1199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652
1198 [2013/10/25] 우리말) 꿀리다 머니북 2013-10-25 3652
1197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3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