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172 추천 수 4 2011.04.07 09:47:02
제가 자전거를 탔던 것처럼
하지 않던 운동을 갑자기 하거나 오랫동안 걸어 다리에 힘이 없고 내딛는 것이 가볍지 않은 것을 뜻하는 우리말을 맞히시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어제와 그제는 아들 녀석과 같이 자전거를 타고 일터에 나왔는데
오늘은 비가 와서 차를 탔습니다.
오랜만에 자전거를 탔더니 다리 근육이 지쳤는지 종아리도 아프고...

오늘은 문제를 내겠습니다.
제가 자전거를 탔던 것처럼
하지 않던 운동을 갑자기 하거나 오랫동안 걸어 다리에 힘이 없고 내딛는 것이 가볍지 않은 것을 뜻하는 우리말을 맞히시는 겁니다.

이 낱말을 겹쳐 쓰면
콩고물을 먹을 때처럼 보드랍지만 조금 팍팍하거나 음식이 메지어 타박한 느낌이 있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그 낱말이 뭘까요?

맞히신 분 가운데 세 분을 골라 제가 쓴 '성제훈의 우리말 편지'라는 책을 보내드리겠습니다.
당연히 갈피표도 같이 보내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달갑지 않은 비]

오늘 비가 온다네요.
요즘은 농사가 막 시작되는 철이긴 하지만 비는 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달갑지 않은 비죠.

여기서,
달갑지 ‘않는’ 비가 맞을까요,
달갑지 ‘않은’ 비가 맞을까요?

‘않는’과 ‘않은’,
무척 헷갈리셨죠?
확실하게 가르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앞에 오는 말이 동사이면,
‘은’은 과거,
‘는’은 현재!
이것만 외우시면 됩니다.

“눈도 깜짝거리지 않는 초병”과
“눈도 깜짝거리지 않은 초병”은 뜻이 다릅니다.
초병의 현재 모습이 눈도 깜짝거리지 않으면,
‘않는’을 쓰고,
과거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라면,
‘않은’을 쓰시면 됩니다.

즉,
동사 어간에,
‘은’이 붙으면 과거,
‘는’이 붙으면 현재를 나타냅니다.

동사 뒤에 오는 ‘는’과 ‘은’은 그렇게 구별하고,
형용사 뒤에는 무조건 ‘은’을 쓰시면 됩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딸!”
이 경우에는 ‘은’을 쓰죠.

높지 않은,
깊지 않은,
향기롭지 않은,
맑지 않은...
이런 경우는 모두 ‘않은’을 씁니다.
앞이 형용사이므로...

따라서,
‘달갑지’가 형용사 이므로,
‘달갑지 않은 비’가 맞죠.

아무리 그렇다손 치더라도,
제 딸을 제 눈에 넣을 수 있을까요?
아무래도 많이 아플 것 같은데......
“눈에 넣기에는 너무 큰 딸!”

오늘도 행복하게 지내시고, 많이 웃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12
1476 [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moneybook 2011-03-15 3716
1475 [2011/03/15] 우리말) 꽃샘과 꽃샘추위 moneybook 2011-03-15 3323
1474 [2011/03/16] 우리말) 잎샘 moneybook 2011-03-16 3106
1473 [2011/03/17] 우리말) 방사선과 방사능 moneybook 2011-03-17 3221
1472 [2011/03/18] 우리말) 난임과 불임 moneybook 2011-03-18 3213
1471 [2011/03/21] 우리말) 끼끗하고 조쌀하다 moneybook 2011-03-21 3668
1470 [2011/03/22] 우리말) 뭘로와 뭐로 moneybook 2011-03-22 3272
1469 [2011/03/23] 우리말) 댓글 moneybook 2011-03-23 3155
1468 [2011/03/24] 우리말) 여우비 moneybook 2011-03-24 3655
1467 [2011/03/25] 우리말) 비릊다 moneybook 2011-03-25 3277
1466 [2011/04/04] 우리말) 조비비다 moneybook 2011-04-04 3760
1465 [2011/04/05] 우리말) 기름값 인하 moneybook 2011-04-05 3407
1464 [2011/04/05-2] 우리말) 잔불과 뒷불 moneybook 2011-04-05 3397
1463 [2011/04/06] 우리말) 자글거리다 moneybook 2011-04-06 3774
» [2011/04/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1-04-07 3172
1461 [2011/04/08] 우리말) 파근하다 moneybook 2011-04-08 3937
1460 [2011/04/09]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moneybook 2011-04-09 3764
1459 [2011/04/11] 우리말) 너스레 moneybook 2011-04-12 3337
1458 [2011/04/12] 우리말) 예부터 moneybook 2011-04-12 3661
1457 [2011/04/13]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moneybook 2011-04-13 3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