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11] 우리말) 너스레

조회 수 3460 추천 수 4 2011.04.12 06:18:04
전통방식으로 술을 만들거나 두부를 만들 때 보면,
큰 그릇 위에 막대기 따위를 걸쳐 놓고 그 막대기 위에 시루 따위를 올려놓아
시루가 빠지거나 바닥에 닿지 않은 채
그 시루에서 술 등이 떨어지도록 만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그렇게 걸쳐놓은 막대기가 '너스레'입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참 좋네요.
아침에 아들 녀석은 자전거를 타고 오고, 저는 그 옆길을 따라 차를 타고 일터에 나왔습니다.
같이 자전거로 나오려고 했는데, 제가 오늘 낮에 차를 쓸 일이 좀 있어서요.

지난주에 애를 낳고 나서 제가 너스레를 좀 많이 떨었나 봅니다.
늦둥이를 자랑하고 싶은 맘도 조금은 있었지만,
우리말 편지가 제 삶에서 일어난 일을 그대로 글로 쓰다 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

오늘은 그 '너스레'를 알아보겠습니다.
전통방식으로 술을 만들거나 두부를 만들 때 보면,
큰 그릇 위에 막대기 따위를 걸쳐 놓고 그 막대기 위에 시루 따위를 올려놓아
시루가 빠지거나 바닥에 닿지 않은 채
그 시루에서 술 등이 떨어지도록 만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그렇게 걸쳐놓은 막대기가 '너스레'입니다.
요즘은 이 너스레를 늘어놓듯이 말을 떠벌린다고 해서
"수다스럽게 떠벌려 늘어놓는 말이나 짓"을 '너스레'라고 합니다.

갑자기 2008년 일이 생각납니다.
제 일터가 없어진다는 보도가 나왔고, 제가 우리말 편지에서 낱말을 소개하면서 제 일터 이야기로 너스레를 좀 떨었더니
많은 분이 제 욕을 하면서 수신거부를 했었던... ^^*

지난 토요일에 오랜만에 저를 소개하는 편지를 보냈습니다.
예전에 보내드린 편지에서도 보셨듯이,
저는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도 아니고,
우리 문화를 지키고자 발 벗고 나서서 뛰는 사람도 아닙니다.
그저 제가 공부한 우리말을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서 우리말 편지를 보낼 뿐입니다.

날씨가 참 맑고 좋습니다.
이 좋은 날씨 만큼 좋은 일이 많이 일어나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차돌배기? 차돌바기? 차돌박이? 차돌빼기?]

다행스럽게도 산불이 잡혀가네요.
타들어가는 나무를 보면 제 마음도 타들어 갑니다.

어제는 청주로 봄나들이(?)를 다녀온 그 탄력으로,
강남에 진출해서 목을 좀 축였습니다.
한 고깃집에서 차돌박이를 시켜놓고 투명한 액체와 씨름을 좀 했죠.

오늘은 그 차돌박이 이야깁니다.

표준어에서 [배기]로 소리가 나는 말은
‘-배기’로 적도록 하고 있습니다.
‘-배기’는 ‘그 나이를 먹은 아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한 살배기, 세 살배기’처럼 쓰죠.

표준어에서 [바기]로 소리가 나는 것은
‘-박이’로 적습니다.
‘-박이’는 ‘박다’의 의미가 살아 있는 경우에 쓰는 것으로,
‘점박이, 덧니박이, 외눈박이, 오이소박이, 붙박이, 장승박이, 토박이’ 따위죠.

끝으로,
[빼기]로 소리 나는 것은 ‘-빼기’로 적습니다.
‘고들빼기, 곱빼기, 코빼기’ 따위죠.
다만,
‘뚝배기, 학배기, 언덕배기’ 이 세 가지는 [-빼기]로 소리 나지만 ‘배기’로 적습니다.

잔소리가 좀 길었네요.
정리하면,
우리말에서 ‘-박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무엇이 박혀 있는 사람이나 짐승 또는 물건이라는 뜻입니다.
‘박다’의 의미와 밀접하게 관련 있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배기’ 아니면, ‘빼기’입니다.

그럼
고깃집에서
‘소 양지머리뼈의 한복판에 붙은, 희고 단단한 기름진 고기’를 먹고 싶으면,
뭐라고 주문해야죠?
차돌배기? 차돌바기? 차돌박이? 차돌’?
‘흰 기름덩이가 박힌 고기’니까 당연히
‘차돌박이’죠

산불난 곳의 잔불이 잘 정리되어 더는 산불이 없기를 빕니다.
어릴 적에 외웠던 표어가 생각나네요.
꺼진 불도 다시 보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3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39
1476 [2012/05/10] 우리말) 금실과 금슬 머니북 2012-05-10 3539
1475 [2012/05/09] 우리말) 보다 머니북 2012-05-09 3732
1474 [2012/05/08]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머니북 2012-05-08 3618
1473 [2012/05/07] 우리말) 너섬둑길과 여의도(2) 머니북 2012-05-07 4227
1472 [2012/05/04]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2-05-04 3462
1471 [2012/05/03] 우리말) 금/줄/선 머니북 2012-05-04 3817
1470 [2012/05/02] 우리말) 너섬둑길과 여의도 머니북 2012-05-02 3314
1469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712
1468 [2012/04/30] 우리말) 전기요금 머니북 2012-04-30 3401
1467 [2012/04/27] 우리말) 핼쑥하다와 해쓱하다 머니북 2012-04-27 3592
1466 [2012/04/26] 우리말) 광화문 안내판 머니북 2012-04-27 3168
1465 [2012/04/25] 우리말) 어제 소개한 글의 바른 답 file 머니북 2012-04-25 3302
1464 [2012/04/24] 우리말) 송춘종 어르신이 방송인에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4-24 3101
1463 [2012/04/23] 우리말) 너섬둑길 머니북 2012-04-24 3486
1462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79
1461 [2012/04/19] 우리말) 사람은 줏대가 있어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19 3442
1460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3166
1459 [2012/04/17] 우리말) 문해율 머니북 2012-04-17 3549
1458 [2012/04/16] 우리말) 우리말 사랑 나눔 머니북 2012-04-16 3231
1457 [2012/04/13] 우리말) 투표하러 갔다가 황당한(?) 문구를 봤어요 머니북 2012-04-13 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