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5] 우리말) 요금, 값, 삯, 비

조회 수 3701 추천 수 2 2011.04.25 09:58:12
요금, 값, 삯, 비 따위가 섞여 쓰입니다.
'비행기'를 타고 내는 돈은 '비행기 요금'이나 '비행기 삯'이라 하고,
입는 옷을 사고 낸 돈은 '옷값'이라고 하며,
버스나 택시를 타고 내는 돈은 '버스 비', '택시 비'라고 합니다.
전기나 수도를 쓰고 내는 돈은 '전기 요금', '수도 요금'이라고 하며,
사는 집에 내는 돈은 '하숙비'나 '기숙사비'라고 주로 합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애들과 같이 잔디밭에서 공도 차고 같이 차도 씻으면서 재밌게 보냈습니다.

지난주 금요일에는 회사 일로 제주도를 다녀왔습니다.
목요일 저녁에 배를 타고 가서 토요일 오전에 비행기로 돌아왔습니다.

오랜만에 값과 삯을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제주도에 갈 때 배를 타고 갔는데, 그때 낸 돈은 '배 삯'으로 7만 3천 원이었습니다.
'배 값'은 아마도 10억이 넘을 겁니다. 잘은 모르지만요. ^^*

아시는 것처럼
'값'은 "물건을 사고팔 때 주고받는 돈"으로
타고 다니는 배의 가격인 '배 값'은 아마도 10억이 넘지 않을까요?

'삯'은 "어떤 물건이나 시설을 이용하고 주는 돈"으로
저는 지난 금요일 오후에 배를 타고 배 삯으로 7만 3천 원을 낸겁니다.

'값'과 '삯'의 다른 점은 잘 알고 계셨을 겁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좀 다릅니다.

요금, 값, 삯, 비 따위가 섞여 쓰입니다.
'비행기'를 타고 내는 돈은 '비행기 요금'이나 '비행기 삯'이라 하고,
입는 옷을 사고 낸 돈은 '옷값'이라고 하며,
버스나 택시를 타고 내는 돈은 '버스 비', '택시 비'라고 합니다.
전기나 수도를 쓰고 내는 돈은 '전기 요금', '수도 요금'이라고 하며,
사는 집에 내는 돈은 '하숙비'나 '기숙사비'라고 주로 합니다.

사실
요금이나 값, 삯 따위를 칼로 무 베듯 가르기는 어렵습니다.

저는 될 수 있으면 값과 삯을 쓰려고 합니다만, 저도 모르게 요금이나 비가 입에서 튀어나올 때도 있습니다. ^^*

기뻐서 웃는 게 아니라,
자주 웃으면 기쁜 일이 자주 일어난다고 합니다.
이번 주도 자주 웃으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사랑의 열매]

목이 따갑고 슬금슬금 아픈 게 아무래도 감기 초기인 것 같습니다.
지금 아플 때가 아닌데...
더군다나 지금 논에 나가야 하는데... 쩝...
오늘은 좀 다른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국어나 우리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요즘 텔레비전을 보면 가슴에 붉은색 열매를 단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그 ‘사랑의 열매’에 대한 얘기를 좀 하려고 합니다.

초등학교 다닐 때, 요즘 같은 한 해를 마무리할 때쯤이면
학교에서 여러 가지 성금을 가지고 오라고 했었습니다.
그게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도 모르면서 부모님을 졸라 성금을 냈죠.
어떤 때는 그것도 못 내 온종일 칠판 한 귀퉁이에 이름을 남긴 적도 있었고...
나이가 들어 세상물정에 조금씩 눈뜰 때,
그때 내가 냈던 성금 중 일부가 검은돈이 되어 정치자금으로 사용됐다는 더러운 뉴스를 들을 때면 더 없는 분노와 허탈감도 느꼈었고...
그러나 예로부터 어려운 사람들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정 많은 민족의 자손이라서
지금도 텔레비전을 보다가 ARS 모금전화번호를 누르는 게 우리입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지원제도는 엉망이었습니다.
복지시설의 원장이 기부금을 얼마나 잘 모으는가에 따라
복지 시설에 사는 사람들의 복지 수준이 달랐습니다.
그러다 보니 순수한 마음으로 같이 사는 사람들과 서로 자기가 가진 것을 나누며 모든 어려움을 함께하는 성실한 복지 시설은 늘 쪼들리는 생활을 하고,
반대로 정치성향이 강한 원장이 여기저기 밖으로 뛰어 모금을 많이 해 오는 시설에 사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풍족하게 살 수 있었죠.
이런 어긋남 때문에 사회 복지 시설을 돈벌이 수단으로 생각하는 사람들까지 생겨나게 되었고,
염불보다 잿밥에 눈이 먼 일부 복지 시설 원장의 못된 짓이 가끔 방송에서 나오기도 했고요.

그래서 사람들의 이해와 참여를 바탕으로 생활 속의 이웃사랑을 실천하고자 세운 단체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입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1998년 11월 기부문화의 정착 및 확산, 배분사업을 통한 민간복지 발전을 위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법률 제5960호)에 따라 세운 기금 모금과 배분 전문기관이죠.
이제는 내가 가진 소중한 것을 나누고자 하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 만하면 됩니다.
사회복지모금회에서는 복지 시설의 크기나 사는 사람 수를 헤아려
이 기금을 투명하고 공정하며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입니다.
이제는 복지시설 원장이 운영비를 따오려고 여기저기 쫓아다니지 않아도 됩니다.
‘잿밥’에는 신경 끄고, ‘염불’만 잘하면 되는 것이죠

앞에서 말한 사랑의 열매가
바로 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달아주는 것입니다.
나와 가족 그리고 이웃을 상징하는 세 개의 빨간 열매와
이 셋이 함께 모여 만들어가는 초록의 건강한 사회를 뜻한대요.
이런 사회를 만들고자 자신이 가진 소중한 것을 나누는 사람들에게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감사의 표시로 달아주는 이웃사랑의 상징이 바로 사랑의 열맵니다.

날씨가 꽤 추워졌죠?
그냥 이런저런 생각 때문에 적어봤습니다.
잠깐 틈을 내서 주위에 있는 어려운 사람들을 볼 줄 아는 여유도 가져보심이 어떠신지...

젯밥 : 祭제삿밥
잿밥 : 齋불공할 때 부처님 앞에 놓는 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8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95
1156 [2008/08/04] 우리말) 답은 터앝입니다 id: moneyplan 2008-08-04 3733
1155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733
1154 [2011/06/2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06-28 3733
1153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733
1152 [2011/08/10] 우리말) 배럴당 80달러 머니북 2011-08-10 3734
1151 [2008/06/02]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6-03 3735
1150 [2012/05/09] 우리말) 보다 머니북 2012-05-09 3735
1149 [2011/02/16] 우리말) 댓글을 같이 보고자 합니다 moneybook 2011-02-16 3736
1148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736
1147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737
1146 [2012/08/03] 우리말) 신기록 갱신과 경신 머니북 2012-08-03 3737
1145 [2013/08/28] 우리말) 거섶 머니북 2013-08-28 3737
1144 [2008/10/29] 우리말) 아다리 id: moneyplan 2008-10-29 3738
1143 [2010/01/13] 우리말) 뒷담화 id: moneyplan 2010-01-13 3738
1142 [2017/08/14]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2 머니북 2017-08-16 3738
1141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739
1140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741
1139 [2012/10/10] 우리말) '한글의 날'과 '한글날' 머니북 2012-10-10 3741
1138 [2016/08/11] 우리말) 철다툼 머니북 2016-08-17 3741
1137 [2016/12/15] 우리말) 혼밥, 혼술, 혼영, 혼말? 머니북 2016-12-19 3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