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04] 우리말) 염전과 소금밭

조회 수 3737 추천 수 4 2011.05.04 09:17:00
소금을 만들고자 바닷물을 끌어들여 논처럼 만든 곳을 염전(鹽田)이라고 합니다.
이 염전은 말 그대로 소금을 만드는 밭이므로 '소금밭'이라고 해도 됩니다.
'염전'과 '소금밭' 모두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두 손 없는 소금장수'가 텔레비전에 소개된 적이 있습니다.
두 손이 없는 1급 장애인이 염전에서 일하면서 15년째 다른 장애인과 혼자 사시는 어르신께 소금을 나눠주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참으로 아름다운 이야기였습니다. 인터뷰하시는 그분의 인상이 어찌나 좋던지요. ^^*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906083)


1. 소금을 만들고자 바닷물을 끌어들여 논처럼 만든 곳을 염전(鹽田)이라고 합니다.
이 염전은 말 그대로 소금을 만드는 밭이므로 '소금밭'이라고 해도 됩니다.
'염전'과 '소금밭' 모두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소금'은 '염'이라 안 하고 '소금'이라고 하는데, '소금밭'은 왜 '염전'이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

2. 소금밭에 보면 짠물을 담아두는 곳이 있습니다. 소금을 만들 바닷물이 빗물에 섞여 묽어지지 않도록 지붕을 만들어 주는데요.
바로 그런 곳을 '해주'라고 합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그 낱말이 들어 있지 않네요.

3. 소금은 2008년까지는 광물이었습니다. 그래서 식당에서는 꽃소금이라고 하는 정제염만 쓸 수 있었습니다. 천일염을 법적으로 식당에서는 쓸 수 없었던 거죠.
제 기억에 2008. 3. 28.에 소금이 식품으로 분류되었습니다.

4.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에서는 주마다 인테러뱅이라는 작은 책자를 만듭니다.
인테러뱅은 1960년대 미국의 한 광고회사가 수사학적 질문을 나타내고자 고안한 부호로 물음표와 느낌표를 하나로 묶은 꼴입니다.
이 책자에서는 농업과 관련된 내용을 농업을 전공하지 않으신 분들이 쉽게 읽으실 수 있도록 글을 풀었으며, 누구든지 전자우편으로 받아보실 수 있고, 누리집에서도 보시거나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주 주제가 소금입니다. 아래 사이트에 가시면 '태양과 바다가 만든 보석, 천일염'이라는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rda.go.kr/board/board.do?mode=list&prgId=itr_interrobang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딸내미 방구]

어젯밤에 곡차를 좀 열심히 마셨더니...
작취미성(昨醉未醒)이네요.

오늘 아침에 밥을 먹는데,
딸내미가 옆에서 ‘뿌웅~~~’하는 소리를 내더군요.
그게 무슨 소리냐고 했더니,
“방!구!”라고 또박또박 말하는데 어찌나 귀여운지...
요즘 막 말을 배우기 시작하거든요.
말을 배우기 시작할 때 잘 가르쳐야 하는데...

오늘은 ‘방구’에 대한 겁니다.

‘음식물이 배 속에서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기어 항문으로 나오는 구린내 나는 무색의 기체’는
‘방구’가 아니라 ‘방귀’입니다.

방구는 강원, 경기, 경남, 전남, 충청지방에서 쓰는 사투립니다.
그런데도 방송이건 일반사람들 대화에서건
‘방귀’보다는 ‘방구’라는 낱말을 더 많이 씁니다.
심지어는 어떤 소설책에도 ‘방구’라고 써져 있더군요.

말 나온 김에 하나만 더 짚으면,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을 ‘냄새’라고 하는데,
이 낱말을 ‘내음’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향 냄새’보다는 ‘고향 내음’이 왠지 더 정감 있잖아요.
그러나 ‘내음’은 경상도 지방에서 쓰는 사투립니다.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은 ‘냄새’지 ‘내음’이 아닙니다.

끝으로 하나만 더
“새나 곤충의 몸 양쪽에 붙어서 날아다니는 데 쓰는 기관”은 ‘날개’지,
‘나래’가 아닙니다.
‘나래’는 강원도 지방에서 쓰는 사투립니다.

‘방구’가 ‘방귀’보다 더 정감 있고,
‘내음’이 ‘냄새’보다 더 어울리며,
‘나래’가 ‘날개’보다 더 잘 날 것 같아도,
표준말은 ‘방귀’, ‘냄새’, ‘날개’입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3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11
1716 [2014/10/06] 우리말) 얌치 같은 계집애?-성기지 학술위원 머니북 2014-10-06 3716
1715 [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moneybook 2011-03-15 3716
1714 [2008/09/23] 우리말) 일몰보다는 해넘이가... id: moneyplan 2008-09-23 3716
1713 [2008/04/30] 우리말) 팽개치다 id: moneyplan 2008-04-30 3716
1712 [2014/02/05] 우리말) 오뎅과 돈가스 머니북 2014-02-05 3715
1711 [2011/08/11] 우리말) 原乳 머니북 2011-08-11 3715
1710 [2014/05/22] 우리말) '지' 띄어쓰기 머니북 2014-05-22 3714
1709 [2012/02/02] 우리말) '바' 띄어쓰기 머니북 2012-02-02 3714
1708 [2007/07/11] 우리말) 점점 나아지다 id: moneyplan 2007-07-11 3714
1707 [2008/11/04] 우리말) 사춤 id: moneyplan 2008-11-04 3713
1706 [2007/01/24] 우리말) 햇빛, 햇볕, 햇살 id: moneyplan 2007-01-25 3713
1705 [2011/07/05] 우리말) 갈망 머니북 2011-07-05 3712
1704 [2010/05/06] 우리말) 등살과 등쌀 id: moneyplan 2010-05-06 3712
1703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3709
1702 [2015/12/18] 우리말) 문 잠궈? 문 잠가! 머니북 2015-12-21 3709
1701 [2012/10/11] 우리말) 총각 머니북 2012-10-11 3709
1700 [2011/12/28] 우리말) 술값 각출 머니북 2011-12-28 3709
1699 [2007/07/12] 우리말) 격강이 천리라 id: moneyplan 2007-07-12 3709
1698 [2010/08/02] 우리말) 매기단하다 moneybook 2010-08-02 3708
1697 [2012/12/18] 우리말) 카랑카랑한 날씨 머니북 2012-12-18 3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