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04] 우리말) 염전과 소금밭

조회 수 3835 추천 수 4 2011.05.04 09:17:00
소금을 만들고자 바닷물을 끌어들여 논처럼 만든 곳을 염전(鹽田)이라고 합니다.
이 염전은 말 그대로 소금을 만드는 밭이므로 '소금밭'이라고 해도 됩니다.
'염전'과 '소금밭' 모두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두 손 없는 소금장수'가 텔레비전에 소개된 적이 있습니다.
두 손이 없는 1급 장애인이 염전에서 일하면서 15년째 다른 장애인과 혼자 사시는 어르신께 소금을 나눠주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참으로 아름다운 이야기였습니다. 인터뷰하시는 그분의 인상이 어찌나 좋던지요. ^^*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906083)


1. 소금을 만들고자 바닷물을 끌어들여 논처럼 만든 곳을 염전(鹽田)이라고 합니다.
이 염전은 말 그대로 소금을 만드는 밭이므로 '소금밭'이라고 해도 됩니다.
'염전'과 '소금밭' 모두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소금'은 '염'이라 안 하고 '소금'이라고 하는데, '소금밭'은 왜 '염전'이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

2. 소금밭에 보면 짠물을 담아두는 곳이 있습니다. 소금을 만들 바닷물이 빗물에 섞여 묽어지지 않도록 지붕을 만들어 주는데요.
바로 그런 곳을 '해주'라고 합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그 낱말이 들어 있지 않네요.

3. 소금은 2008년까지는 광물이었습니다. 그래서 식당에서는 꽃소금이라고 하는 정제염만 쓸 수 있었습니다. 천일염을 법적으로 식당에서는 쓸 수 없었던 거죠.
제 기억에 2008. 3. 28.에 소금이 식품으로 분류되었습니다.

4.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에서는 주마다 인테러뱅이라는 작은 책자를 만듭니다.
인테러뱅은 1960년대 미국의 한 광고회사가 수사학적 질문을 나타내고자 고안한 부호로 물음표와 느낌표를 하나로 묶은 꼴입니다.
이 책자에서는 농업과 관련된 내용을 농업을 전공하지 않으신 분들이 쉽게 읽으실 수 있도록 글을 풀었으며, 누구든지 전자우편으로 받아보실 수 있고, 누리집에서도 보시거나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주 주제가 소금입니다. 아래 사이트에 가시면 '태양과 바다가 만든 보석, 천일염'이라는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rda.go.kr/board/board.do?mode=list&prgId=itr_interrobang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딸내미 방구]

어젯밤에 곡차를 좀 열심히 마셨더니...
작취미성(昨醉未醒)이네요.

오늘 아침에 밥을 먹는데,
딸내미가 옆에서 ‘뿌웅~~~’하는 소리를 내더군요.
그게 무슨 소리냐고 했더니,
“방!구!”라고 또박또박 말하는데 어찌나 귀여운지...
요즘 막 말을 배우기 시작하거든요.
말을 배우기 시작할 때 잘 가르쳐야 하는데...

오늘은 ‘방구’에 대한 겁니다.

‘음식물이 배 속에서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기어 항문으로 나오는 구린내 나는 무색의 기체’는
‘방구’가 아니라 ‘방귀’입니다.

방구는 강원, 경기, 경남, 전남, 충청지방에서 쓰는 사투립니다.
그런데도 방송이건 일반사람들 대화에서건
‘방귀’보다는 ‘방구’라는 낱말을 더 많이 씁니다.
심지어는 어떤 소설책에도 ‘방구’라고 써져 있더군요.

말 나온 김에 하나만 더 짚으면,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을 ‘냄새’라고 하는데,
이 낱말을 ‘내음’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향 냄새’보다는 ‘고향 내음’이 왠지 더 정감 있잖아요.
그러나 ‘내음’은 경상도 지방에서 쓰는 사투립니다.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은 ‘냄새’지 ‘내음’이 아닙니다.

끝으로 하나만 더
“새나 곤충의 몸 양쪽에 붙어서 날아다니는 데 쓰는 기관”은 ‘날개’지,
‘나래’가 아닙니다.
‘나래’는 강원도 지방에서 쓰는 사투립니다.

‘방구’가 ‘방귀’보다 더 정감 있고,
‘내음’이 ‘냄새’보다 더 어울리며,
‘나래’가 ‘날개’보다 더 잘 날 것 같아도,
표준말은 ‘방귀’, ‘냄새’, ‘날개’입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9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07
1456 [2011/04/25] 우리말) 요금, 값, 삯, 비 moneybook 2011-04-25 3688
1455 [2008/02/25] 우리말) 가장자리 id: moneyplan 2008-02-25 3688
1454 [2007/07/30] 우리말) 담백한 게 아니라 깔끔한 것 입니다 id: moneyplan 2007-07-31 3688
1453 [2012/07/10] 우리말) 주니 머니북 2012-07-10 3687
1452 [2013/08/26] 우리말) 곁땀 머니북 2013-08-26 3686
1451 [2008/05/26]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5-28 3685
1450 [2013/05/09] 우리말) 함함하다 머니북 2013-05-10 3684
1449 [2013/10/25] 우리말) 꿀리다 머니북 2013-10-25 3684
1448 [2009/11/03] 우리말) 누굴 호구로 아나... id: moneyplan 2009-11-03 3684
1447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684
1446 [2013/07/02] 우리말) 눈썹과 눈썰미 머니북 2013-07-02 3682
1445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682
1444 [2007/07/25] 우리말) 공멸은 피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7-25 3682
1443 [2015/03/30] 우리말) 환절기와 간절기 머니북 2015-03-30 3681
1442 [2013/11/05] 우리말) 동거동락 머니북 2013-11-06 3680
1441 [2010/04/07] 우리말) 날름과 낼름 id: moneyplan 2010-04-07 3680
1440 [2013/02/07] 우리말) 햇님과 해님 머니북 2013-02-07 3679
1439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3679
1438 [2008/02/20] 우리말) 빚쟁이 id: moneyplan 2008-02-20 3679
1437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