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근거리다'는 애들이 부모에게 하는 것이나, 남녀 사이에도 쓰지만,
'지분거리다'는 주로 남녀 사이에 쓰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미국에서 IMF 총재가 성폭행 미수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사람의 인격은 자리와는 별로 상관이 없나 봅니다.
어쩌다 그런 말도 안 되는 실수를 했는지 안타깝습니다.

1.
IMF 총재와는 다른 이야기지만,
남자가 여자를 성가실 정도로 자꾸 귀찮게 하는 것을 두고 '추근거리다'고 합니다.
(여자가 남자를 그렇게 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
그러나 이 말은 '지근거리다'가 맞습니다.
그리고 '지근거리다'보다 느낌이 센 낱말이 '치근거리다'입니다.
어린아이가 가게 안에서 장난감을 사 달라고 엄마에게 계속해서 지근거린다,
그 남학생은 같은 반 여학생을 치근거렸다처럼 씁니다.

2.
'지근거리다'보다 조금 더 지저분한 낱말이 '지분거리다'입니다.(제 생각이 그렇습니다. ^^*)
"짓궂은 말이나 행동 따위로 자꾸 남을 귀찮게 하다"는 뜻으로
아내는 딸한테 지분거리는 사내를 경찰에 신고했다처럼 씁니다.
'치근거리다'는 애들이 부모에게 하는 것이나, 남녀 사이에도 쓰지만,
'지분거리다'는 주로 남녀 사이에 쓰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
성 문제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반성할 일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늘 조심하고 삽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퍼센트와 프로]

아침에 뉴스에서 들으니
택시요금이 17.5% 정도 오를 거라고 하네요.
저는 곡차를 좋아해서... 더불어서 택시 타는 것도 즐기는데...

1%, 1/100, 백분율...
여러분은 %를 뭐라고 읽으세요?
17.5%가 오를 거라고 하면 이것을 어떻게 읽어야죠?
퍼센트? 프로?
어떤 게 맞죠?

답은 둘 다 맞습니다.
‘퍼센트’와 ‘프로’는 복수 표준어입니다.

‘퍼센트’는 영어의 ‘percent’에서 온 말이고,
‘프로’는 네덜란드 어 ‘procent’가 변한 말입니다.

‘퍼센트’와 ‘프로’는 모두 잘 쓰는 말이므로,
어느 하나를 비표준어로 하기 어려워
국립국어연구원에서 둘 다 표준어로 인정하였습니다.

그러므로 2%는
‘2퍼센트’로 읽을 수도 있고,
‘2프로’로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오늘 오후에는 다행스럽게도 비가 좀 온다네요.
어제 논에 나가보니 물이 2% 부족하던데...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42
2376 [2007/08/25] 우리말) 새롱대다, 강동거리다, 들마 id: moneyplan 2007-08-27 4195
2375 [2007/08/27] 우리말) 밀월여행 id: moneyplan 2007-08-27 3665
2374 [2007/08/28] 우리말) 길 따라 좁고 길게 만든 꽃밭을 뭐라고 할까요? id: moneyplan 2007-08-28 3971
2373 [2007/08/29] 우리말) 건들건들 id: moneyplan 2007-08-29 3647
2372 [2007/08/30] 우리말) 알토란 id: moneyplan 2007-08-30 4045
2371 [2007/08/30] 우리말) 지킴이와 지키미 id: moneyplan 2007-08-31 8535
2370 [2007/09/01] 우리말)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7-09-03 3462
2369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3571
2368 [2007/09/04] 우리말) 상가, 상갓집, 상가집 id: moneyplan 2007-09-04 10666
2367 [2007/09/05]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 id: moneyplan 2007-09-05 4076
2366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6109
2365 [2007/09/07] 우리말) 내외빈 id: moneyplan 2007-09-07 4076
2364 [2007/09/08]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id: moneyplan 2007-09-10 3511
2363 [2007/09/10] 우리말) 파란하늘 id: moneyplan 2007-09-10 3704
2362 [2007/09/11] 우리말) 서슬이 시퍼렇다 id: moneyplan 2007-09-11 4701
2361 [2007/09/12] 우리말) 선선한 가을입니다 id: moneyplan 2007-09-12 3621
2360 [2007/09/12] 우리말) 섞사귐 id: moneyplan 2007-09-13 3854
2359 [2007/09/13] 우리말) 노란 단풍 id: moneyplan 2007-09-13 4009
2358 [2007/09/14] 우리말) 노래지다와 누레지다 id: moneyplan 2007-09-14 4262
2357 [2007/09/15] 우리말) 우리말 몇 개 id: moneyplan 2007-09-17 4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