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근거리다'는 애들이 부모에게 하는 것이나, 남녀 사이에도 쓰지만,
'지분거리다'는 주로 남녀 사이에 쓰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미국에서 IMF 총재가 성폭행 미수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사람의 인격은 자리와는 별로 상관이 없나 봅니다.
어쩌다 그런 말도 안 되는 실수를 했는지 안타깝습니다.

1.
IMF 총재와는 다른 이야기지만,
남자가 여자를 성가실 정도로 자꾸 귀찮게 하는 것을 두고 '추근거리다'고 합니다.
(여자가 남자를 그렇게 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
그러나 이 말은 '지근거리다'가 맞습니다.
그리고 '지근거리다'보다 느낌이 센 낱말이 '치근거리다'입니다.
어린아이가 가게 안에서 장난감을 사 달라고 엄마에게 계속해서 지근거린다,
그 남학생은 같은 반 여학생을 치근거렸다처럼 씁니다.

2.
'지근거리다'보다 조금 더 지저분한 낱말이 '지분거리다'입니다.(제 생각이 그렇습니다. ^^*)
"짓궂은 말이나 행동 따위로 자꾸 남을 귀찮게 하다"는 뜻으로
아내는 딸한테 지분거리는 사내를 경찰에 신고했다처럼 씁니다.
'치근거리다'는 애들이 부모에게 하는 것이나, 남녀 사이에도 쓰지만,
'지분거리다'는 주로 남녀 사이에 쓰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
성 문제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반성할 일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늘 조심하고 삽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퍼센트와 프로]

아침에 뉴스에서 들으니
택시요금이 17.5% 정도 오를 거라고 하네요.
저는 곡차를 좋아해서... 더불어서 택시 타는 것도 즐기는데...

1%, 1/100, 백분율...
여러분은 %를 뭐라고 읽으세요?
17.5%가 오를 거라고 하면 이것을 어떻게 읽어야죠?
퍼센트? 프로?
어떤 게 맞죠?

답은 둘 다 맞습니다.
‘퍼센트’와 ‘프로’는 복수 표준어입니다.

‘퍼센트’는 영어의 ‘percent’에서 온 말이고,
‘프로’는 네덜란드 어 ‘procent’가 변한 말입니다.

‘퍼센트’와 ‘프로’는 모두 잘 쓰는 말이므로,
어느 하나를 비표준어로 하기 어려워
국립국어연구원에서 둘 다 표준어로 인정하였습니다.

그러므로 2%는
‘2퍼센트’로 읽을 수도 있고,
‘2프로’로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오늘 오후에는 다행스럽게도 비가 좀 온다네요.
어제 논에 나가보니 물이 2% 부족하던데...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5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22
2376 [2014/10/13] 우리말) 왠/웬 머니북 2014-10-13 4803
2375 [2017/11/01]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머니북 2017-11-06 4800
2374 [2015/06/05] 우리말) 먼지잼/애급과 출애굽기 머니북 2015-06-05 4794
2373 [2007/02/01] 우리말) 명조 --> 바탕, 고딕 --> 돋움 id: moneyplan 2007-02-01 4788
2372 [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머니북 2011-11-30 4784
2371 [2013/11/14] 우리말) 날짜 헤아리기 머니북 2013-11-14 4775
2370 [2007/04/13] 우리말) 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7-04-13 4764
2369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59
»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57
2367 [2011/06/24] 우리말) 휘달리다 머니북 2011-06-24 4754
2366 [2008/02/22] 우리말) 득돌같다와 득달같다 id: moneyplan 2008-02-22 4748
2365 [2006/11/29] 우리말) '메모지'가 아니라 '적바림'입니다 id: moneyplan 2006-11-30 4742
2364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39
2363 [2015/11/25] 우리말) 치르다/치루다 머니북 2015-11-25 4737
2362 [2006/12/26] 우리말) '저축하다'는 뜻의 순우리말은 '여투다'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733
2361 [2011/09/02] 우리말) 간질이다와 간지럽히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2 4726
2360 [2007/01/05] 우리말) 황당/당황/깜짝 놀라다 id: moneyplan 2007-01-05 4719
2359 [2007/01/19] 우리말) 외교부가 하는 꼬라지 하고는... id: moneyplan 2007-01-19 4700
2358 [2009/01/16] 우리말) 한올지다 id: moneyplan 2009-01-16 4689
2357 [2007/08/23] 우리말) 갖바치 내일 모레 id: moneyplan 2007-08-23 4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