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하면,
그을리는 것은 얼굴이 검게 되는 것이고,
그슬리는 것은 타거나 익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날씨가 무척 더울 거라고 합니다. 당연히 햇볕도 좋겠죠?
햇볕을 쬐는 것은 좋지만, 너무 타지 않도록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너무 타면 잘생긴 얼굴을 남들이 몰라볼까 저어됩니다. ^^*

오늘은 그을린 제 얼굴을 생각하면서
'그을리다'와 '그슬리다'를 갈라보겠습니다.

'그을리다'는
"햇볕이나 연기 따위를 오래 쬐어 검게 되다"는 뜻인 '그을다'의 피동형입니다.
그는 해수욕장에 다녀왔는지 얼굴이 새까맣게 그을렸다,
들판 곳곳에는 까맣게 그을린 농부들이...처럼 씁니다.

'그슬리다'는
"불에 겉만 약간 타게 하다"는 뜻의 '그슬다'의 피동형입니다.
촛불에 머리카락이 그슬리다처럼 씁니다.

정리하면,
그을리는 것은 얼굴이 검게 되는 것이고,
그슬리는 것은 타거나 익는 것입니다.

따라서
오늘처럼 좋은 햇볕에 제 얼굴이 '그슬렸다'고 하면,
제 얼굴을 불에다 태워서 먹기 좋게 만들었다는 끔찍한 말이 되어버립니다.
이 잘생긴 얼굴을 그렇게 하면 안 되겠죠?
제 얼굴은 그슬린 게 아니라 그을린 겁니다.

구릿빛 얼굴도 좋지만
너무 그을리다 보면 그슬릴 수 있으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

고맙습니다.


보태기)
1.
'그을다'에 '-은'이 연결되면 'ㄹ'이 탈락하여 '그은'이 됩니다.
따라서 '그은 제 얼굴을 남들이 몰라볼까...'처럼 씁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병충해가 많이 발생]

어제 논에 나갔더니 벌써 새끼치기를 시작했더군요.
실은 어제 아침 뉴스에
“예년보다 빨리 애멸구가 퍼지기 시작해서 병충해가 많이 발생했다”라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나간 거였습니다.
다행히 제 눈앞에 있는 모들은 모두 잘 자라고 있더군요.

방송에서 ‘병충해’와 ‘병해충’을 잘못 갈라 헷갈리게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해충’은 병(균)과 해충을 합친 말입니다.
“예년보다 빨리 병해충이 발생했다”라고 말할 수 있죠.

‘병충해’는 병해와 충해를 합친 말입니다.
“올해는 도열병이 심해 병충해가 컸다”라고 말할 수 있죠.

‘병충해’와 ‘병해충’을 같이 써 보면,
“올해는 병해충이 많이 발생해서 병충해가 클 것 같다”가 됩니다.

기자들이 이 쉬운 것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기자도 별거 아니죠?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됐습니다.
이번 주도 좋은 일 많이 만드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7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94
1256 [2015/04/06] 우리말) 여미다 머니북 2015-04-06 3554
1255 [2013/07/29]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3-07-29 3554
1254 [2008/12/17] 우리말) 땅보탬 id: moneyplan 2008-12-17 3554
1253 [2015/01/02] 우리말) 지루하다/지리하다 머니북 2015-01-02 3553
1252 [2016/08/22] 우리말) 여튼, 여하튼, 여하간 머니북 2016-08-24 3552
1251 [2013/10/15] 우리말) 여태껏 머니북 2013-10-15 3552
1250 [2008/05/30] 우리말) 무색 치마 id: moneyplan 2008-06-03 3552
1249 [2013/08/08] 우리말) '우편 번호' 띄어쓰기 머니북 2013-08-08 3551
1248 [2011/01/17] 우리말) 많이와 꽤 moneybook 2011-01-17 3551
1247 [2008/03/3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3-31 3551
1246 [2011/01/27] 우리말) 빨간색과 빨강색 moneybook 2011-01-27 3550
1245 [2010/06/08] 우리말) 새퉁이 moneybook 2010-06-08 3549
1244 [2007/11/09]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id: moneyplan 2007-11-09 3548
1243 [2008/06/05] 우리말) 오늘은 망종입니다 id: moneyplan 2008-06-05 3547
1242 [2012/04/27] 우리말) 핼쑥하다와 해쓱하다 머니북 2012-04-27 3546
1241 [2014/06/30] 우리말) 등쌀과 등살 머니북 2014-06-30 3544
1240 [2010/03/19] 우리말) 훈민정음이 세계문화유산? id: moneyplan 2010-03-19 3544
1239 [2007/12/30] 우리말) 내광쓰광 id: moneyplan 2007-12-31 3544
1238 [2013/04/22] 우리말) 보니 -> 천생 머니북 2013-04-22 3543
1237 [2010/03/17] 우리말) 찌푸리다 id: moneyplan 2010-03-17 3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