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27] 우리말) 한걸음

조회 수 3466 추천 수 1 2011.05.27 13:59:38
두 발을 번갈아 옮겨 놓는 움직임이 '걸음'입니다.
한 걸음, 두 걸음 처럼 셈씨(수사)와 같이 쓸 때는 띄어 씁니다. 단위로 봐서 띄어 쓰는 거죠.
그러나 '한걸음'이라고 붙여 쓰면 "쉬지 아니하고 내처 걷는 걸음이나 움직임."이라는 뜻이 됩니다.
이렇게 '한 걸음'과 '한걸음'은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참 좋네요. ^^*

세상 일 혼자 다 하는 것도 아닌데 왜 이리 바쁜지 모르겠습니다.
아침에 일터에 나와 이제야 자리에 앉아 봅니다.

하루는 왜 이리 빨리 가고, 일주일은 또 왜 이렇게 잘 가는지 모르겠습니다.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지만, 월요일이라 생각하면 벌써 한걸음에 금요일입니다.
이렇게 바삐 살지만 뭔가 일을 하기는 하는 거겠죠? ^^*

두 발을 번갈아 옮겨 놓는 움직임이 '걸음'입니다.
한 걸음, 두 걸음 처럼 셈씨(수사)와 같이 쓸 때는 띄어 씁니다. 단위로 봐서 띄어 쓰는 거죠.
그러나 '한걸음'이라고 붙여 쓰면 "쉬지 아니하고 내처 걷는 걸음이나 움직임."이라는 뜻이 됩니다.
이렇게 '한 걸음'과 '한걸음'은 다릅니다.

자주 드리는 '한 잔'과 '한잔'도 다릅니다.
오늘 저녁에 한 잔하자고 하면 딱 한 잔 만 마시는 것이고,
오늘 저녁에 한잔하자고 하면 오랜만에 만나 가볍게 마시는 것이고...

'한 판'이라고 하면 피자 한 판 시켜먹는 것이고,
'한판'이라고 하면 "한 번 벌이는 판"으로 '동네에 한판 큰 잔치를 벌였다'처럼 씁니다.

한걸음에 달려온 한 주였고, 순식간에 내달린 5월이었습니다.
나중에 흙보탬할 때 가장 기억에 남는 5월이 되도록 부지런히 삽시다.
오늘도 자주 웃으시면서... ^___^*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담배 피우다]

날씨가 끄물끄물하네요.
오늘은 서울에 좀 다녀오느라 우리말 편지가 좀 늦었습니다.

혹시 담배 피우세요?
저는 조금 전에도 한 대 빨고 왔습니다.

보통 이야기 할 때나, 신문 등에서 보면,
‘담배를 피다’‘불을 피다’‘거드름을 피다’‘바람을 피다’ 따위의 표현을 보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맞춤법에 어긋납니다.
‘담배를 피우다’‘불을 피우다’‘거드름을 피우다’‘바람을 피우다’ 등으로 써야 옳습니다.
‘피다’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입니다.
따라서 ‘담배를 피다’처럼 목적어와 함께 쓰는 것은 문법에 맞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이 ‘담배를 피다’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표준국어대사전이 발간되기 이전에
대부분의 국어사전에서 ‘피다’를 ‘피우다’의 준말로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요즘에 나온 사전은 모두 ‘피다’를 ‘피우다’의 잘못으로 바로잡았습니다.

‘잔이 비다/ 잔을 비우다, 잠이 깨다/ 잠을 깨우다, 날이 새다/ 날을 새우다’ 등도 마찬가지로 갈라서 써야 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여러분도 담배를 ‘피지’ 말고 ‘피워야’합니다.

하긴, 그보다 더 좋은 것은,
아예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죠.

오늘도 기분 좋으시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41
1736 [2014/03/13] 우리말) 점직하다/서머하다 머니북 2014-03-13 3426
1735 [2014/10/02] 우리말) 내일/모레/내일모레 머니북 2014-10-02 3426
1734 [2008/01/18] 우리말) 왜 농촌진흥청이 국가기관으로 있어야 하는가 id: moneyplan 2008-01-21 3427
1733 [2012/06/20] 우리말) 수탉과 수캉아지도 있습니다 머니북 2012-06-20 3427
1732 [2009/11/04] 우리말) 얼다와 얾 id: moneyplan 2009-11-04 3428
1731 [2016/08/04] 우리말) 헤어지다/해어지다 머니북 2016-08-10 3428
1730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428
1729 [2007/10/02] 우리말)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 id: moneyplan 2007-10-02 3429
1728 [2008/02/23] 우리말) 우리말이 아니라 제 이야기입니다 id: moneyplan 2008-02-24 3429
1727 [2008/11/19]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9 3429
1726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3429
1725 [2013/08/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8-07 3429
1724 [2008/03/06] 우리말) 양식이 아니라 서식입니다 id: moneyplan 2008-03-06 3430
1723 [2010/09/06] 우리말) 쉰둥이와 마흔둥이 moneybook 2010-09-06 3430
1722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30
1721 [2008/02/02] 우리말) 뉘누리... id: moneyplan 2008-02-02 3431
1720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431
1719 [2009/11/11] 우리말) 군자삼변 id: moneyplan 2009-11-11 3431
1718 [2013/01/16] 우리말) 야미 머니북 2013-01-17 3431
1717 [2015/05/21] 우리말) 사전에 이런 말도... 머니북 2015-05-26 3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