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가지(접사)로 쓰일 때는
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임"의 뜻을 더할 때입니다.
달님, 별님, 토끼님, 해님처럼 쓰일 때는 '님'이 의존명사가 아닌 접사로 쓰인 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날씨가 참 좋네요. ^^*

지난주에 보내드린 '햇빛, 햇살, 햇볕'에 제 실수가 있었습니다.
''해님'은 고유어+매인이름씨(의존명사)이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라고 썼는데,
여기에 쓰인 '님'은 의존명사가 아니라 접미사가 맞습니다.

'님'이 의존명사로 쓰일 때는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로 쓰일 때입니다.
홍길동 님, 길동 님, 홍 님처럼 쓸 때의 '님'이 의존명사입니다.

씨가지(접사)로 쓰일 때는
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임"의 뜻을 더할 때입니다.
달님, 별님, 토끼님, 해님처럼 쓰일 때는 '님'이 의존명사가 아닌 접사로 쓰인 겁니다.

박승재 님이 바로잡아 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누군가 그러시더군요. 어떤 때는 제 이름을 쓰고 어떤 때는 안 쓰냐고요...
보통 때는 제 이름을 쓰지 않고, 제가 실수한 것을 밝힐 때는 제 이름을 씁니다.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남세스럽다]

아침에 제가 속한 어떤 단체에서 보낸 편지를 받았는데,
맞춤법이 틀린 곳이 한두 곳이 아니더군요.
농업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에 계시는 분들도 이 전자우편을 읽을 거라고 생각하니 얼굴이 화끈거리더군요.
말 그대로 남세스러워서 혼났습니다.
조금만 신경 쓰면 될 텐데...

제 책상에는 늘 국어사전이 있고,
‘국어책’이 있습니다.
그따위 책 읽을 시간에,
논문 한 편 더 보라는 사람도 있지만,
그런 사람치고 맞춤법 제대로 아는 사람 못 봤습니다.
영어도 중요하고, 논문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한글을 모르고서야 어찌 다른 일을 할 수 있겠습니까.
정말 남세스러운 일입니다.

남세스럽다는 말도 그렇습니다.
원형은 ‘남우세스럽다’로,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듯하다.”라는 뜻입니다.

이 말을 ‘남사스럽다’라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마나 남세스럽습니까?

우리말부터 똑바로 알아야 다른 일을 하더라도 할 수 있죠.
그렇지 않아요?

말끝마다 “OOO해 주십시요”라고 쓰고,
“OOO 할께요”라고 쓰며,
“홍 길동”이라고 쓰는 것...
...
몹시 부끄럽고 우세스러운 행동입니다.

이제 곧 장마가 시작된다죠?
늘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6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95
356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4547
355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549
354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552
353 [2012/02/20] 우리말) 탕비실은 준비실로 머니북 2012-02-20 4553
352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555
351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555
350 [2013/09/06] 우리말) 자랑합니다 머니북 2013-09-09 4561
349 [2006/10/09] 우리말) 우리말 훼방꾼? 우리말 헤살꾼! id: moneyplan 2006-10-09 4565
348 [2016/12/26] 우리말) 해넘이와 해맞이 머니북 2016-12-26 4566
347 [2010/01/18] 우리말) 우리는 내일이 없는 민족? id: moneyplan 2010-01-18 4579
346 [2006/12/22] 우리말) 외골수/외곬 id: moneyplan 2006-12-22 4580
345 [2007/02/10] 우리말) 모순과 비각 id: moneyplan 2007-02-12 4580
344 [2017/09/22] 우리말) 가족과 식구 머니북 2017-09-26 4583
343 [2016/09/29] 우리말) 미역국 먹다에는 슬픈 역사가... 머니북 2016-11-01 4586
342 [2007/02/06] 우리말) 내 사랑 현아 씨! id: moneyplan 2007-02-07 4587
341 [2013/07/31] 우리말) 우편번호 읽기 머니북 2013-07-31 4594
340 [2017/09/21] 우리말) '신문 읽기가 너무 힘들어요' 머니북 2017-09-21 4594
339 [2011/11/02] 우리말) 오순도순과 오손도손 머니북 2011-11-02 4595
338 [2016/09/01] 우리말) 곱다/예쁘다/예쁘장하다/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귀엽다 머니북 2016-09-07 4599
337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4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