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가지(접사)로 쓰일 때는
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임"의 뜻을 더할 때입니다.
달님, 별님, 토끼님, 해님처럼 쓰일 때는 '님'이 의존명사가 아닌 접사로 쓰인 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날씨가 참 좋네요. ^^*

지난주에 보내드린 '햇빛, 햇살, 햇볕'에 제 실수가 있었습니다.
''해님'은 고유어+매인이름씨(의존명사)이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라고 썼는데,
여기에 쓰인 '님'은 의존명사가 아니라 접미사가 맞습니다.

'님'이 의존명사로 쓰일 때는
사람의 성이나 이름 다음에 쓰여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로 쓰일 때입니다.
홍길동 님, 길동 님, 홍 님처럼 쓸 때의 '님'이 의존명사입니다.

씨가지(접사)로 쓰일 때는
사람이 아닌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임"의 뜻을 더할 때입니다.
달님, 별님, 토끼님, 해님처럼 쓰일 때는 '님'이 의존명사가 아닌 접사로 쓰인 겁니다.

박승재 님이 바로잡아 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누군가 그러시더군요. 어떤 때는 제 이름을 쓰고 어떤 때는 안 쓰냐고요...
보통 때는 제 이름을 쓰지 않고, 제가 실수한 것을 밝힐 때는 제 이름을 씁니다.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남세스럽다]

아침에 제가 속한 어떤 단체에서 보낸 편지를 받았는데,
맞춤법이 틀린 곳이 한두 곳이 아니더군요.
농업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에 계시는 분들도 이 전자우편을 읽을 거라고 생각하니 얼굴이 화끈거리더군요.
말 그대로 남세스러워서 혼났습니다.
조금만 신경 쓰면 될 텐데...

제 책상에는 늘 국어사전이 있고,
‘국어책’이 있습니다.
그따위 책 읽을 시간에,
논문 한 편 더 보라는 사람도 있지만,
그런 사람치고 맞춤법 제대로 아는 사람 못 봤습니다.
영어도 중요하고, 논문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한글을 모르고서야 어찌 다른 일을 할 수 있겠습니까.
정말 남세스러운 일입니다.

남세스럽다는 말도 그렇습니다.
원형은 ‘남우세스럽다’로,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듯하다.”라는 뜻입니다.

이 말을 ‘남사스럽다’라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마나 남세스럽습니까?

우리말부터 똑바로 알아야 다른 일을 하더라도 할 수 있죠.
그렇지 않아요?

말끝마다 “OOO해 주십시요”라고 쓰고,
“OOO 할께요”라고 쓰며,
“홍 길동”이라고 쓰는 것...
...
몹시 부끄럽고 우세스러운 행동입니다.

이제 곧 장마가 시작된다죠?
늘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8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28
2336 [2007/10/16] 우리말) 발쇠 id: moneyplan 2007-10-16 3269
2335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3764
2334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628
2333 [2007/10/19] 우리말) 구설과 구설수 id: moneyplan 2007-10-19 3698
2332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3489
2331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493
2330 [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id: moneyplan 2007-10-24 4311
2329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622
2328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3349
2327 [2007/10/27]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0-27 3783
2326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846
2325 [2007/10/30]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7-10-30 3449
2324 [2007/10/31] 우리말) 가시버시 id: moneyplan 2007-10-31 3234
2323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4057
2322 [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id: moneyplan 2007-11-02 3808
2321 [2007/11/03] 우리말)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id: moneyplan 2007-11-05 3764
2320 [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id: moneyplan 2007-11-05 3777
2319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3441
2318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153
2317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