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끼리 몇만원씩 빌려줄 때가 있습니다.
돈을 빨리 갚아주거나, 내가 명확히 기억하면 상관없겠지만 예전에 가계부 쓰기 전에는 가족끼리이니 천천히 갚게 되고, 서로 얼마를 빌렸는지 빌려줬는지도 기억이 안 날 정도였습니다.
돈 받는 내 입장에서도 정확한 금액을 받는지 개운치 않고 그렇다고, 가족끼리 빨리 갚으라고 재촉하기도 그렇고,  결국 가계부를 쓰고 나니 지인들과의 채무관계 정리가 잘 됩니다.

그리고, 나중에 펀드와 주식투자를 하게 되자, 가계부의 중요성을 훨씬 강하게 느낄 수 있더군요. 펀드를 개설해서 입금한 기록만 놔뒀다가 나중에는 매달 월말과 시장변동이 크게 나타날때마다 평가차익과 평가손실, 수익률을 기록하고 나면 투자성과가 몸에 와닿는 듯 합니다. 뭔가 재테크를 하고 있다는 느낌도 들어 좋고요.

그러다보니 가끔 주말에 몇시간씩 어떻게 하면 자산평가를 정확히 할 수 있을까? 어떤 기록을 추가적으로 하면 좋을까 하며 몰두할 때는 머니플랜에 너무 쏙 빠져있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하튼 35 이전에 가계부를 안 쓰고 살아온 삶은 다 헛산 것 같을 정도로 가계부의 가치를 느꼈기 때문에, 가계부는 꼭 써야 한다고 이 연사 소리높여 외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MBC 경제매거진 M에 머니북이 소개되었습니다. 머니북 2013-01-17 124383
10 네이버 메모를 이용한 가계부 좀 더 편하게 쓰기 [1] 이국한 2014-07-30 26846
9 완전 만족 [1] 츄꼬밍 2015-08-31 19224
8 정말 고맙습니다. ^^ [1] cusco78 2017-02-27 20598
7 벌써 5년이 흘렀네요. [1] ara1169 2018-02-28 22976
6 벌써 15년을 함께~ [1] turby77 2020-12-04 15076
5 3년 결제를 또 하며.. [1] onzeth 2021-02-25 16353
4 14년차에 접어들면서 소회 [3] dhjh1108 2022-01-03 17465
3 항상 감사드립니다. [2] amment 2022-07-20 14140
2 2023년 설날에... [4] mrktpark 2023-01-23 11945
1 27년 사용한 삼성카드와 결별을 해야 하는지... [3] turby77 2023-05-10 10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