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조회 수 3743 추천 수 0 2011.06.13 08:59:41

 

'헐수할수없다'라는 낱말입니다.
그림씨(형용사)로는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다."는 뜻으로
그는 결국 헐수할수없으니까 자기 자식만 데리고 야반도주를 해 버렸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즐거운 월요일입니다.

1.
오늘 아침 7:04 KBS뉴스에서 "빨라야 이번주 주말부터..."라고 했습니다.
빠르다는 속도를 나타낼 때 쓰고,
시기를 나타낼 때는 '이르다'를 써야 바릅니다.
'
일러야 이번 주말부터...'라고 써야 합니다.

2.
요즘 들판에는 모내기가 한창입니다.
지방에 따라서는 이미 모내기가 끝난 곳도 있고요.
저는 요즘 기획실에서 사느라 흙은 만지지 못해 몸이 근질근질합니다. ^^*
우리말에
"
모를 옮겨 심은 지 4~5일쯤 지나서 모가 완전히 뿌리를 내려 파랗게 생기를 띠는 일. 또는 그런 상태."를 뜻하는 낱말이 있습니다.
바로 '사름'인데요.
식물을 옮겨심은 뒤 뿌리가 흙 맛을 보고 제대로 자리를 잡은 것을 뜻합니다.
멋진말이죠? ^^*

3.
멋진 우리말 하나 더 알려 드리겠습니다.
'
헐수할수없다'라는 낱말입니다.
그림씨(형용사)로는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다."는 뜻으로
그는 결국 헐수할수없으니까 자기 자식만 데리고 야반도주를 해 버렸다처럼 씁니다.
어찌씨(부사)로는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이."라는 뜻으로
사정이 그렇게 되자 그는 헐수할수없이 그 일을 포기하고 말았다, 며칠을 굶다가 헐수할수없이 검둥이의 미끼가 됐다처럼 씁니다.

월요일 아침에 직장에 나오는 것이
헐수할수없이 나오는 것이라면 일에 재미도 없고 흥이 나지도 않을 겁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기쁘게 나와야 일이 재밌을 것 같습니다.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좋아서 웃는 게 아니라,
웃으면 좋은 일이 자주 생긴다고 합니다.
오늘도 자주 웃읍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
호도과자]

어제 오후에는 익산에 다녀왔습니다.
장맛비가 그친 후에 내리쬐는 햇살 때문에 무척 후텁지근하더군요.
별 수 없이 휴게소마다 들러 쉬면서 다녀왔죠.

돌아오는 길에도 여기저기 휴게소에 들렀습니다.
한곳에서는 딸내미 좋아하는 호두과자도 사고...

근데 그 과자 상자에 보니,
‘호도과자’라고 인쇄되어 있더군요.

‘호두’는 본래
오랑캐 호() 자와 복숭아나무 도() 자를 쓰는데요.
원래는 ‘호도’였다가 지금은 ‘호두’가 표준어입니다.

우리말에는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어울리는 모음조화 규칙이 있는데,
요즘은 이 규칙이 빠른 속도로 무너지고 있습니다.
모음 ‘ㅗ’가 ‘ㅜ’로 변해버린 거죠.

이에 따라
호도(胡桃)가 호두가 되고,
장고(杖鼓)가 장구가 되며,
자도(紫桃)가 자두가 된 거죠.
이런 경우 혼란을 막기 위해 어느 한 말을 표준어로 정하고 있는데
모두 뒤에 오는 낱말을 표준어로 했습니다.
그래서 호두, 장구, 자두가 표준어 입니다.

어젯밤에 딸내미가 호두를 참 잘 먹더군요.

오늘도 좋은 일 많이 생기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2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44
1436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73
1435 [2007/12/04] 우리말) 사전을 찾아보다 id: moneyplan 2007-12-04 3672
1434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670
1433 [2008/07/22] 우리말) 나지막하다 id: moneyplan 2008-07-22 3670
1432 [2007/06/11] 우리말) 오늘은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6-11 3669
1431 [2017/10/18] 우리말) 카카오톡 머니북 2017-11-06 3668
1430 [2008/04/17]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id: moneyplan 2008-04-18 3668
1429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668
1428 [2013/08/16] 우리말) 책 소개 '오염된 국어사전' 책 소개(2) 머니북 2013-08-19 3667
1427 [2011/08/12] 우리말) 본 지 오래 머니북 2011-08-12 3667
1426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67
1425 [2017/03/29] 우리말) 씨양이질 머니북 2017-03-30 3666
1424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666
1423 [2013/05/15] 우리말) 스승의 날에 읽어보는 교수의 반성문 머니북 2013-05-15 3666
1422 [2013/12/03] 우리말) 채신머리 머니북 2013-12-04 3666
1421 [2016/08/16] 우리말) 모처럼/어쩌다 머니북 2016-08-17 3665
1420 [2012/04/09] 우리말) 낼모레 머니북 2012-04-09 3663
1419 [2008/08/06] 우리말) 메밀꽃 id: moneyplan 2008-08-06 3663
1418 [2013/08/09] 우리말) 공골차다 머니북 2013-08-12 3662
1417 [2012/03/13] 우리말) 애동대동과 중씰 머니북 2012-03-13 3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