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22] 우리말) 뼛속과 뱃속

조회 수 5249 추천 수 0 2011.06.22 08:57:24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그 사람 뱃속을 도무지 알 수 없다, 사돈이 논을 사니 뱃속이 편안하지 않다처럼 씁니다.
뼈의 안쪽처럼 배의 안쪽을 뜻할 때는
'
뱃속'이 아니라 '배 속'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 답은 희떱다, 길체, 거미손입니다.
(
희떱다: 실속은 없어도 마음이 넓고 손이 크다.)
(
길체: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자리)
(
거미발: 노리개, 반지, 비녀, 연봉잠 따위의 장신구에 보석이나 진주로 알을 박을 때, 빠지지 않게 물리고 겹쳐 오그리게 된 삐죽삐죽한 부분)
세 분께 선물을 드리고자 주소를 보내달라고 편지를 드렸습니다. ^^*


어제 인터넷에서 보니
개그맨 장동민 씨가 YTN에 나와서 큰 웃음을 줬다고 하네요.
거기서
앵커가 '뼛속까지 개그맨'이라고 해야 할 것을
'
뱃속까지 개그맨'이라고 말했다고 나왔습니다.
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11249

'
뼛속'은 뼈와 속이 합쳐진 말로 "뼈의 속"을 뜻합니다.
뼛속 깊이 후회가 된다처럼 씁니다.

'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그 사람 뱃속을 도무지 알 수 없다, 사돈이 논을 사니 뱃속이 편안하지 않다처럼 씁니다.
뼈의 안쪽처럼 배의 안쪽을 뜻할 때는
'
뱃속'이 아니라 '배 속'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애를 밴 여자는 '배 속'에 애가 있는 것이지, '뱃속'에 애가 있지는 않습니다.

띄어쓰기로도 이렇게 뜻이 달라집니다.
그만큼 띄어쓰기가 어렵기도 하고요.

요즘 뇌물 받아먹은 사람들로 말이 많습니다.
누가 뭐래도 뱃속 편한 게 으뜸이라고 봅니다.
남의 돈으로 뱃속을 채우면 언젠가는 분명히 탈이 날거라 믿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
향년 82]

남부지방은 오늘도 비가 올 거라죠?

어제 뉴스에서 들으니 사우디 국왕이 죽었다고 하더군요.
어느 나라 국왕이 죽든 저는 상관없지만, 그래도 맞춤법은 따져야죠?

뉴스에서 그 국왕의 죽음을 소개하면서,
“향년 82세”라고 하더군요.

향년(享年),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로,
죽을 때의 나이를 말할 때 씁니다. 산사람에게는 쓰지 않습니다.
‘향년 82세를 일기(一期)로 어디 국왕이 별세하다.’처럼 쓰죠.
뉴스에서 ‘향년’이라는 낱말을 참 적절하게 쓴 겁니다.

어떤 경우에는
나이를 말할 때,
‘방년(芳年)’이라는 낱말을 쓰기도 합니다.
‘방년 십팔 세/방년 스물의 꽃다운 나이’처럼 쓰죠.
그러나 이 ‘방년’은
“이십 세 전후의 한창 젊은 꽃다운 여자의 나이”를 의미합니다.
남자에게는 ‘방년’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방년의 방 자가 향기로울 방() 이잖아요.
꽃다운 여자에게서 향기가 나지,
남자에게서는 땀 냄새밖에 더 나겠어요?

얼마 전에 보내드린,
‘재원’도 여자에게만 쓴다고 했죠.
‘방년’도 마찬가집니다. 남자에게는 쓰지 마세요.

,
어제 제가 근무하는 회사에 새로 온 신입사원 세 명을 봤는데,
모두 남자더군요.
‘재원’이라고 해서 기대가 컸었는데...
‘재원’이 아니라 ‘재자(才子)인 것 같더군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8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05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751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75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99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817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831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842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846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57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61
2667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66
2666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69
2665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76
2664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78
2663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86
2662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887
2661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88
2660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889
2659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889
2658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89
2657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