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22] 우리말) 뼛속과 뱃속

조회 수 5191 추천 수 0 2011.06.22 08:57:24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그 사람 뱃속을 도무지 알 수 없다, 사돈이 논을 사니 뱃속이 편안하지 않다처럼 씁니다.
뼈의 안쪽처럼 배의 안쪽을 뜻할 때는
'
뱃속'이 아니라 '배 속'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 답은 희떱다, 길체, 거미손입니다.
(
희떱다: 실속은 없어도 마음이 넓고 손이 크다.)
(
길체: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자리)
(
거미발: 노리개, 반지, 비녀, 연봉잠 따위의 장신구에 보석이나 진주로 알을 박을 때, 빠지지 않게 물리고 겹쳐 오그리게 된 삐죽삐죽한 부분)
세 분께 선물을 드리고자 주소를 보내달라고 편지를 드렸습니다. ^^*


어제 인터넷에서 보니
개그맨 장동민 씨가 YTN에 나와서 큰 웃음을 줬다고 하네요.
거기서
앵커가 '뼛속까지 개그맨'이라고 해야 할 것을
'
뱃속까지 개그맨'이라고 말했다고 나왔습니다.
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11249

'
뼛속'은 뼈와 속이 합쳐진 말로 "뼈의 속"을 뜻합니다.
뼛속 깊이 후회가 된다처럼 씁니다.

'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그 사람 뱃속을 도무지 알 수 없다, 사돈이 논을 사니 뱃속이 편안하지 않다처럼 씁니다.
뼈의 안쪽처럼 배의 안쪽을 뜻할 때는
'
뱃속'이 아니라 '배 속'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애를 밴 여자는 '배 속'에 애가 있는 것이지, '뱃속'에 애가 있지는 않습니다.

띄어쓰기로도 이렇게 뜻이 달라집니다.
그만큼 띄어쓰기가 어렵기도 하고요.

요즘 뇌물 받아먹은 사람들로 말이 많습니다.
누가 뭐래도 뱃속 편한 게 으뜸이라고 봅니다.
남의 돈으로 뱃속을 채우면 언젠가는 분명히 탈이 날거라 믿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
향년 82]

남부지방은 오늘도 비가 올 거라죠?

어제 뉴스에서 들으니 사우디 국왕이 죽었다고 하더군요.
어느 나라 국왕이 죽든 저는 상관없지만, 그래도 맞춤법은 따져야죠?

뉴스에서 그 국왕의 죽음을 소개하면서,
“향년 82세”라고 하더군요.

향년(享年),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로,
죽을 때의 나이를 말할 때 씁니다. 산사람에게는 쓰지 않습니다.
‘향년 82세를 일기(一期)로 어디 국왕이 별세하다.’처럼 쓰죠.
뉴스에서 ‘향년’이라는 낱말을 참 적절하게 쓴 겁니다.

어떤 경우에는
나이를 말할 때,
‘방년(芳年)’이라는 낱말을 쓰기도 합니다.
‘방년 십팔 세/방년 스물의 꽃다운 나이’처럼 쓰죠.
그러나 이 ‘방년’은
“이십 세 전후의 한창 젊은 꽃다운 여자의 나이”를 의미합니다.
남자에게는 ‘방년’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방년의 방 자가 향기로울 방() 이잖아요.
꽃다운 여자에게서 향기가 나지,
남자에게서는 땀 냄새밖에 더 나겠어요?

얼마 전에 보내드린,
‘재원’도 여자에게만 쓴다고 했죠.
‘방년’도 마찬가집니다. 남자에게는 쓰지 마세요.

,
어제 제가 근무하는 회사에 새로 온 신입사원 세 명을 봤는데,
모두 남자더군요.
‘재원’이라고 해서 기대가 컸었는데...
‘재원’이 아니라 ‘재자(才子)인 것 같더군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3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43
1416 [2011/01/28] 우리말) 행안부와 까도남의 다른점 moneybook 2011-01-28 3515
1415 [2014/01/06] 우리말) 원체 머니북 2014-01-06 3514
1414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513
1413 [2008/06/05] 우리말) 오늘은 망종입니다 id: moneyplan 2008-06-05 3513
1412 [2007/09/10] 우리말) 파란하늘 id: moneyplan 2007-09-10 3513
1411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11
1410 [2010/11/24] 우리말) 금도 moneybook 2010-11-24 3511
1409 [2007/08/20] 우리말) 떨구다와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7-08-20 3511
1408 [2017/02/22] 우리말) 역시 머니북 2017-02-22 3510
1407 [2009/01/1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9 3510
1406 [2007/06/30] 우리말) 계란보다는 달걀을... id: moneyplan 2007-07-02 3509
1405 [2017/08/28] 우리말) 첫째와 첫 번째 머니북 2017-08-31 3508
1404 [2015/12/03] 우리말) 지레/지례 머니북 2015-12-07 3508
1403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2) 머니북 2015-01-09 3508
1402 [2007/08/1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07-08-13 3508
1401 [2016/12/01] 우리말) 붴 머니북 2016-12-05 3507
1400 [2015/04/02] 우리말) 누도와 눈물길 머니북 2015-04-02 3507
1399 [2015/01/02] 우리말) 지루하다/지리하다 머니북 2015-01-02 3507
1398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507
1397 [2007/05/08] 우리말) 튼실, 걀걍걀걍, 발싸심 id: moneyplan 2007-05-08 3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