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11] 우리말) 후더침

조회 수 3709 추천 수 0 2011.07.11 12:30:39

 

우리말에 '후더침'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거의 낫다가 다시 더친 병이라는 뜻으로
회복기의 환자는 후더침이 생기지 않도록 조리를 잘해야 한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비가 많이 내리네요. 피해 없기를 빕니다.

지난 주말에
2018
년 동계올림픽을 평창으로 이끈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단이 들어왔습니다.
그날 김연아 선수는 오한과 고열로 환영행사에 참석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준비에 너무 힘을 쏟아서 막상 동계올림픽 개최가 평창으로 결정되고 나니 쓰러졌나 봅니다.

우리말에 '후더침'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거의 낫다가 다시 더친 병이라는 뜻으로
회복기의 환자는 후더침이 생기지 않도록 조리를 잘해야 한다처럼 씁니다.

어제 뉴스에서 들으니 김연아 선수가 일요일에는 일어나서 움직였다고 합니다.
아무쪼록 후더침이 없도록 몸 관리 잘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
알아야 면장을 하지]

지난 주말에 오랜만에 고향에 갔었는데요.
저는 고향에 가면 가끔 읍내에 나갑니다.
그냥 이것저것 뭐가 얼마나 변했는지도 궁금하고, 친구들도 볼 겸...

읍내에 가면 면사무소가 있죠.
그 면사무소를 보면 꼭 생각하는 게 있습니다.

바로,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입니다.

이 말은,
옛날에 동네 이장이나 면장이 유식한 사람들 층에 속하기 때문에 생겨난 말이라거나,
면장이 세상사는 이야기를 두루 알고 있어야 지역 주민의 이해와 요구를 적극 수용할 수 있다는 데서 나온 말이 아닙니다.

‘알아야 면장을 하지’에서,
면장은 面長이 아닙니다.
이장, 군수, 면장과는 전혀 상관없는 말입니다.

이 말은, 옛날,
공자가 아들에게
“사람이 공부를 하지 않으면 마치 담장을 마주 대하고 서 있는 것과 같다”라고 하는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
뭘 알아야지
담장()에서 얼굴()을 면()한다는 면면장(免面牆)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다시 말하면,
면장(面牆)하면 아는 게 없음을 일컫는 것이고,
면장(免牆)하면 아는 게 많아, 담장을 마주 대하는 데서 벗어나는 것이죠.

이런 유래를 가진 말이,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인데,
그걸 모르고,
“나는 면장을 할 수 있는데, 누가 시켜줘야 해먹지!”라고 큰소리치면 안 되겠죠?

오늘도 많이 웃는 기분 좋은 하루 보내세요.
혹시 알아요?
많이 웃으시면 누가 면장(面長) 시켜줄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15
1096 [2008/09/03] 우리말) 옥생각과 한글날 id: moneyplan 2008-09-03 3658
1095 [2009/11/17] 우리말) 들러리 id: moneyplan 2009-11-17 3658
1094 [2010/12/28] 우리말) 사뜻하다 moneybook 2010-12-28 3658
1093 [2015/05/15] 우리말) 비비다/부비다 머니북 2015-05-15 3659
1092 [2016/02/01] 우리말) 짝꿍과 맞짱 머니북 2016-02-02 3659
1091 [2007/08/07] 우리말) '노지'가 아니라 '밖', '한데' id: moneyplan 2007-08-07 3661
1090 [2011/04/12] 우리말) 예부터 moneybook 2011-04-12 3661
1089 [2013/04/17] 우리말) 텍스트와 코너 머니북 2013-04-17 3661
1088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662
1087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3663
1086 [2009/10/22] 우리말) 활개 치다와 활개 펴다 id: moneyplan 2009-10-22 3663
1085 [2010/04/15] 우리말) 코털이 세다 id: moneyplan 2010-04-15 3663
1084 [2011/08/08] 우리말) 토씨(조사) '의' 쓰임 머니북 2011-08-08 3663
1083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3663
1082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663
1081 [2017/08/14]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2 머니북 2017-08-16 3663
1080 [2010/07/28] 우리말) 시르죽다 moneybook 2010-07-28 3664
1079 [2013/11/11] 우리말) 영상 머니북 2013-11-11 3664
1078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65
1077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