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30] 우리말) 위아랫물지다

조회 수 3845 추천 수 0 2011.08.30 10:01:41

 

우리말에 '위아랫물지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본래는 물과 기름처럼 두 가지 액체가 서로 섞이지 아니하고 나누어지다는 뜻인데,
지금은 그 뜻이 넓어져서
"
나이나 계급의 차이로 서로 어울리지 아니하다"는 뜻과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아니하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날씨가 무척 더울 것 같습니다.
늦여름 더운 날씨가 사람은 견디기 어려워도 식물에는 보약입니다.
식물 생각하면서 이 더운 날씨를 즐겨보겠습니다. ^^*

저는 예전에 잠시 교직에 몸담은 적이 있어 교육계 뉴스는 꼼꼼히 보는 편입니다.
요즘 서울시 교육감 이야기가 많네요.
진실이 뭔지는 모르지만, 교육감이 돈 문제에 버물린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우리말에 '위아랫물지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본래는 물과 기름처럼 두 가지 액체가 서로 섞이지 아니하고 나누어지다는 뜻인데,
지금은 그 뜻이 넓어져서
"
나이나 계급의 차이로 서로 어울리지 아니하다"는 뜻과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아니하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저는 진보가 뭐고 보수가 뭔지 모르겠지만
애들 가르치는 교육을 두고 진보와 보수가 위아랫물지는 것은 영 꼴사납습니다.
또한
서울시 교육을 책임지는 분의 말씀과 행동이 위아랫물지는 것도 보기에 껄끄럽기는 마찬가지네요.

우리말편지에 좋은 내용을 담고 싶은데...
편지 내용이 맘에 들지 않으시더라도
오늘도 자주 웃으시길 빕니다.
웃으면 복이 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
마딛께/마싣께]

오늘 점심 맛있게 드셨어요?
‘맛있게’를 어떻게 발음하세요?
[
마딛께]? [마싣께]?
둘 가운데 어떤 게 맞을까요?

둘 가운데 하나를 고르려고 너무 힘들어하지 마세요.
둘 다 맞습니다.  이것은 복수 표준어거든요.

오늘 저녁도 [마딛께] 드세요.
저는 오늘 저녁에 부천에 갑니다.
아내가 거기서 한턱 쏜다네요.

주말 잘 쉬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0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64
1976 [2013/04/02] 우리말) 만개 머니북 2013-04-02 3883
1975 [2011/11/10] 우리말) 책 소개(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1-10 3883
1974 [2011/11/07]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 머니북 2011-11-07 3883
1973 [2009/10/16] 우리말) 공공언어는 쉬워야 한다 id: moneyplan 2009-10-19 3883
1972 [2008/03/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3-18 3882
1971 [2008/11/21] 우리말) 훔치다와 닦다 id: moneyplan 2008-11-21 3881
1970 [2008/04/02] 우리말) 축제와 축전, 그리고 잔치 id: moneyplan 2008-04-03 3881
1969 [2007/02/16] 우리말) 겉은 누렇게 익었으나 씨가 여물지 않은 호박은? id: moneyplan 2007-02-20 3879
1968 [2012/08/16] 우리말) 올림픽 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8-18 3877
1967 [2012/12/26 우리말) 년월일 쓰기 머니북 2012-12-26 3876
1966 [2008/08/0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8-01 3876
1965 [2007/01/24] 우리말) 고주망태 id: moneyplan 2007-01-24 3874
1964 [2016/04/06] 우리말) 감치다(2) 머니북 2016-04-06 3873
1963 [2017/03/09] 우리말) '언어에 대하여' 머니북 2017-03-10 3872
1962 [2011/08/17] 우리말) 착하다(2) 머니북 2011-08-17 3872
1961 [2007/11/16] 우리말) 에두르다 id: moneyplan 2007-11-17 3871
1960 [2017/04/13] 우리말) 데구루루 머니북 2017-04-13 3870
1959 [2012/07/03] 우리말) 천장과 천정(2) 머니북 2012-07-03 3869
1958 [2017/08/16] 우리말) 달걀과 계란 머니북 2017-08-18 3868
1957 [2013/07/01] 우리말) 기상과 기후 머니북 2013-07-01 3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