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는 손子고, 손녀는 손女고,
이를 합쳐서 '손주'라고 하는 새로운 낱말을 인정한 거죠.


안녕하세요.

이번 주는 월요일 하루를 쉬어서 그런지 무척 빨리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벌써 금요일이잖아요. ^^*

요즘 서울로 출근하다 보니 어린이집 다니는 아들을 데려다 주지 못합니다.
평소에는 같은 아파트에 사시는 분이 데려다 주시는데 매주 금요일은 차를 타지 않는 날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아들 녀석을 어린이집에 데려다 줄 사람이 없습니다.
아내가 데려다 준다는 것을 말렸습니다.
아들 혼자 자전거 타고 어린이집 가보도록 그냥 두라고 했죠.
할머니는 손자가 몇 살인데 혼자 가도록하냐고 걱정하시지만, 저는 그냥 혼자 보내라고 했습니다.
이 편지 보내고 집에 전화해보면 혼자 갔는지 아내가 바래다줬는지 알 수 있겠죠.
일곱 살이나 먹었고, 가는 길도 잘 알고, 자전거도 잘 타면 혼자 어린이집 가도 되지 않나요?

'
손자'는 孫子라는 한자말이고 아들의 아들이나 딸의 아들을 뜻합니다.
당연히 '손녀'는 아들의 딸이나 딸의 딸을 뜻하겠죠.
여기에 지난 8 31일 바뀐 규정에 따라 이제는 '손주'도 맞습니다.
'
손주'는 손자와 손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손자는 손子고, 손녀는 손女고,
이를 합쳐서 '손주'라고 하는 새로운 낱말을 인정한 거죠.

오늘만 일하면 내일과 모레는 쉴 수 있습니다.
노는 날을 떠올리시면서 오늘도 자주 웃고 지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오늘도 어제에 이어 '인문학 콘서트 2'에 있는 최준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학과 교수님의 글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김갑수 : 한글의 독창성이나 과학성, 사용상의 편의성 등 여러 가지 장점은 전 세계가 인정하고 있는데, 최 교수께서는 개인적으로 한글의 어떤 점이 정말 우수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최준식 : 제가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한글이 어떤 점에서 훌륭하냐고 물어보면,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이기 때문이라는 대답이 가장 많아요. 그럼, 제가 묻죠. 한글이 왜 과학적이냐. 그러면 모두 입을 다물어요. 이상하지 않아요? 말로는 우리 한글이 훌륭하다,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무자다, 그러면서도 정작 왜 훌륭하고 왜 우수한지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어요. 이게 도대체 웬일입니까?
한글을 ‘아침글자’라고 한다는 군요. 누구나 아침부터 배우면 저녁에 자기 이름 정도는 쓸 수 있다는 것인데, 한글이 그만큼 배우기 쉽다는 얘기겠죠. 게다가 한글은 모음 열 개와 자음 열네 개를 조합해서 11,000가지 이상의 음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해요. 일본어의 300가지음, 중국어의 400가지 음과 비교하면 한글의 음성적 표현 능력은 월등합니다. 얼마나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언어입니까?
그 정도만 해도 대단한데, 세계적인 언어학자들이 정말 정신을 잃을 정도로 놀라는 점은 문자와 발음의 상곽ㄴ관계가 어느 문자보다도 높다는 데 있습니다. 샘슨 교수는 한글이 세계 유링릐 진정한 음소문자라는 점에 주목합니다. 하나의 부호가 하나의 소리만을 대표하는 문자 체계는 전 세계적으로 한글밖에 없어요.
한글의 정교하고 절묘한 구성을 예를 들어볼까요? 한글의 자음, --ㄱㄱ, --ㄷㄷ, --ㅈㅈ, --ㅂㅂ, -ㅅㅅ을 각각 살펴보면 기본 글자에 한두 개 획을 더해서 된소리, 거센소리를 표기합니다. 모양이 비슷하니까, 어떤 소리에서 어떤 자질이 더해졌는지 금세 알 수 있잖아요. 이 체계가 얼마나 고학적인지는 영어와 비교해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 우리말의 ㄷ, ㅌ에 해당하는 영어의 d, t를 보면 둘 사이에 아무런 관련성이 보이지 않잖아요.
제가 자주 드는 예입니다만, 영어의 city를 빨리 발음하면 ‘씨리’이렇게 되잖아요. 이처럼 t l, r은 서로 왔다갔다할 수 있는 소리입니다. 그리고 gentleman을 발음하면 ‘제늘맨’이렇게 되거든요. t n의 영향을 받아서, 혹은 n이 탈락되고 t n으로 바뀌는 거예요. 이렇게 t, n, r, l은 모두 같은 어군에 속하는데, 다른 언어도 그렇지만, 영어에서는 글자와 글자 사이에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어요, 모두 제각각이죠. 그런데 세종대왕은 그런 점까지 고려하셔서 혀끝소리 ㄴ, , ㄷㄷ, , , ㅅㅅ, ㅌ을 같은 그룹에 모아놓으셨어요. 이것을 본 세계적인 언어학자들이 아, 이건 사람이 만든 문자가 아니다, 이건 과학의 정수다, 이렇게 경악하는 거죠.
모음은 더 대단하지 않습니까? 세상에 그 복잡한 모음 체계를 점 하나 작대기 두 개로 다 해결했잖아요. 이런 것을 보고 전 세계인이 세종대왕은 인간이 아니다, 천재 중의 천재라고 말하는 거죠.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 가장 간단하면서도 가장 많은 것을 표현하는 거잖아요. 게다가 한글 체계의 근간에는 하늘, , 사람의 우주적인 철학이 깔렸잖아요. 이런 점에서 한글의 우수성을 전 세계가 인정하는 거죠.
(437~43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2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93
1336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460
1335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460
1334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461
1333 [2008/07/03] 우리말) 메기탕과 매기탕 id: moneyplan 2008-07-03 3461
1332 [2008/07/10] 우리말) 오시면 선물을 드립니다 ^^* id: moneyplan 2008-07-10 3461
1331 [2010/03/19] 우리말) 훈민정음이 세계문화유산? id: moneyplan 2010-03-19 3461
1330 [2012/12/24 우리말) 뜯어보다 머니북 2012-12-24 3463
1329 [2016/02/12] 우리말) 어제그저께 머니북 2016-02-12 3463
1328 [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머니북 2016-11-01 3463
1327 [2011/06/17] 우리말) 나시와 민소매 머니북 2011-06-17 3464
1326 [2017/04/17] 우리말) 달물결 머니북 2017-04-18 3465
1325 [2008/09/18]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왔습니다. ^^* id: moneyplan 2008-09-18 3466
1324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466
1323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467
1322 [2008/02/20] 우리말) 빚쟁이 id: moneyplan 2008-02-20 3467
1321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467
1320 [2011/02/08]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moneybook 2011-02-08 3467
1319 [2016/10/21] 우리말) 받침소리의 혼란 머니북 2016-11-01 3467
1318 [2013/07/08] 우리말) 블랙박스 머니북 2013-07-08 3468
1317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