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21] 우리말) 일본말 공부 한자

조회 수 3859 추천 수 0 2011.10.21 10:24:34

 

이에 나비나비라는 계정을 쓰시는 어르신이 댓글을 다셨습니다.
勉强이 일본말 사전에 없는 게 아니라 한자가 달라 그런 거라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强자를 쓰지 않고 强에서 오른쪽에 있는 벌래 충 자 위에 입구()가 아닌 사사 사()를 쓴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27
세 때 쿠데타로 정권을 잡아 43년간 독재해온 독재자가 마침내 죽었군요.
그런 독재자도 마지막엔 목숨을 구걸했다고 합니다.
왜 사람들은 죽을 때 입는 옷에 주머니가 없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한 뉘 살면서 내 것을 욕심껏 챙기기보다
남을 돌볼줄 알고 사랑을 나누면서 살면 나중에 다시 돌아갈 때 마음이 편할 거라는 생각을 잘 안 하나 봅니다.

어제와 그제 보낸 편지에서 '공부' 말뿌리를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제가 일본말 사전을 뒤져보니 '勉强'이 나와 있지 않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에 나비나비라는 계정을 쓰시는 어르신이 댓글을 다셨습니다.
勉强이 일본말 사전에 없는 게 아니라 한자가 달라 그런 거라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强자를 쓰지 않고 强에서 오른쪽에 있는 벌래 충 자 위에 입구()가 아닌 사사 사()를 쓴다고 합니다.

조금 전에 누리집 일본말 사전을 찾아보니 그렇게 나오네요.
(http://jpdic.naver.com/entry_jpkr.nhn?entryId=90118)

고맙습니다. 이렇게 하나하나 바로잡아 주시니 우리말이 바르게 서는 것 같습니다.

주말에 비가 조금 온다고 합니다.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저는 주말에 애들과 같이 고향 옆 동네 어르신이 계신다는 요양원에 다녀올 생각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크리스마스트리]

크리스마스트리 만드셨어요?
울산에 있는 롯데 백화점 앞에 ‘초대형 크리스마스 트리를 세웠다’고 난리법석이네요.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게 언젠데 아직도 크리스마스트리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침에 편지에서 말씀드렸듯이,
오늘은 회사에서 일 년 동안 한 일을 평가받는 날인데요.
제 발표순서가 맨 뒤라 긴장도 되고, 다른 일도 손에 안 잡히고...
심심하던 참에 크리스마스 이야기나 좀 해 볼게요.
기독교와 전혀 상관없는 이야깁니다. 괜한 오해 마시길...

얼마 전에 제가 보내드린 편지 중,
‘올해 캐럴 들어보셨어요?’라는 내용이 있었죠?
국어사전에 있는 말이라서 쓰긴 했지만, 문제가 있는 말입니다.

캐럴은 carol로 “크리스마스에 부르는 성탄 축하곡”입니다.
당연히,
크리스마스 송가, 크리스마스 찬가, 크리스마스 축가 등으로 쓰고 말해야 하지 않을까요?

울산 롯데 백화점 앞에 세운 크리스마스트리는 뭐죠?
‘트리’는 tree 아닌가요?
tree
는 나무고...
그럼,
‘크리스마스트리’는 ‘크리스마스 나무’나 ‘성탄목’으로 쓰고 말하면 되지 않을까요?

더 나아가서,
‘크리스마스’는 뭐죠?
예수님이 탄생하신 날 아닌가요?
그게 ‘성탄절’ 아니에요?
(
꼭 예수님뿐만 아니라 성인이 탄생한 날이 성탄절이긴 하지만...
국어사전에는 예수님이 태어나신 날만 성탄절이라고 합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크리스마스트리’는 ‘성탄목’이나 ‘성탄 나무’라고 하면 좋겠고,
‘크리스마스 캐럴’은 ‘성탄 찬가’나 ‘성탄 축가’라고 하면 좋겠고,
‘크리스마스’ 는 ‘성탄절’이라고 쓰고 말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
‘캐럴’이라고 말하고,
‘트리’라고 써야하며,
‘크리스마스’라고 해야만
교양 있는 사람이고, 배운 사람답게 위신이 선다면... 그런다면... 그렇게 쓰는 게 좋겠네요.

그러나
저는 교양이 없어도 좋고,
배우지 못한 사람이라는 소리를 들어도 좋으니,
‘성탄절, 성탄 나무, 성탄 찬가’라고 쓰고 말하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해서 말씀드리지만,
오늘 편지 내용은
기독교와 전혀 상관없는 이야깁니다.
발표시간 기다리기 지루해서 심심풀이로 드린 편지입니다.

보태기)
‘탄신일’이라는 낱말은 틀린 겁니다.
탄신(誕辰)은 “임금이나 성인이 태어난 날”을 말합니다.
그 뒤에 ‘일’을 또 붙일 필요가 없죠.  
‘석가 탄신일’, ‘충무공 탄신일’... 다 틀린 말입니다.

‘탄생일’은 말이 됩니다.
탄생(誕生),
“성인(聖人) 또는 귀인이 태어남을 높여 이르는 말”이므로 뒤에 ‘일’이 와도 되죠.

불교계에서는 오래전부터 ‘석가 탄신일’이나 ‘석가 탄일’ 대신에,
‘부처님 오신 날’로 바꿔 부르고 있습니다.
이번기회에,
‘성탄절’이나 ‘성탄일’도 ‘예수님 오신 날’로 바꾸는 것을 제안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6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76
1356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495
1355 [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머니북 2015-01-29 3494
1354 [2007/12/20] 우리말)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께 별명을 지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7-12-20 3494
1353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494
1352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493
1351 [2008/12/24] 우리말) 내년과 이듬해 id: moneyplan 2008-12-24 3493
1350 [2008/04/29] 우리말) 맑다와 곱다 id: moneyplan 2008-04-29 3493
1349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492
1348 [2011/08/19] 우리말) 공공언어 이대로 둘것인가 2 머니북 2011-08-19 3492
1347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492
1346 [2008/07/10] 우리말) 오시면 선물을 드립니다 ^^* id: moneyplan 2008-07-10 3492
1345 [2014/05/28]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2) 머니북 2014-05-28 3491
1344 [2012/03/13] 우리말) 애동대동과 중씰 머니북 2012-03-13 3491
1343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491
1342 [2013/10/15] 우리말) 여태껏 머니북 2013-10-15 3490
1341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490
1340 [2017/04/17] 우리말) 달물결 머니북 2017-04-18 3489
1339 [2014/07/23] 우리말) 무등/목마/목말 머니북 2014-07-23 3489
1338 [2010/07/21] 우리말) 후더분한 날씨 moneybook 2010-07-21 3489
1337 [2009/06/05] 우리말) 어부인이 아니라 그냥 부인입니다. id: moneyplan 2009-06-05 3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