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27] 우리말) 아웅다웅

조회 수 3748 추천 수 0 2011.10.27 09:50:40

 

오늘은 '아웅다웅'을 소개하겠습니다.
"
대수롭지 아니한 일로 서로 자꾸 다투는 모양"을 뜻하는 어찌씨(부사) '아옹다옹'입니다.
여기에 말맛이 다른, 아옹다옹보다 좀 큰 느낌이 드는 낱말로 '아웅다웅'을 인정했습니다.
누군가 아웅다웅에서 아웅은 고양이 소리이고, 다웅은 강아지 소리에서 왔다고 합니다만, 별로 믿을만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웅다웅'을 소개하겠습니다.
"
대수롭지 아니한 일로 서로 자꾸 다투는 모양"을 뜻하는 어찌씨(부사) '아옹다옹'입니다.
여기에 말맛이 다른, 아옹다옹보다 좀 큰 느낌이 드는 낱말로 '아웅다웅'을 인정했습니다.
누군가 아웅다웅에서 아웅은 고양이 소리이고, 다웅은 강아지 소리에서 왔다고 합니다만, 별로 믿을만하지는 않습니다. ^^*

그러고 보니 ㅇ과 ㄷ은 서로 짝꿍을 이루는 말 같기도 합니다.
아롱다롱, 오손도손, 알록달록, 알쏭달쏭, 엄벙덤벙, 엎치락 뒤치락...

한국 첫 우주인 이소연 씨가 우주에서 지구를 본 소감으로
"
지상에서 아등바등 거리면서 힘들게 살아왔던 생활들이 뉘우쳐졌다".라고 했습니다.

별일도 아닌 것을 두고 아웅다웅 다투기보다
알록달록 물든 단풍을 보고 눈에 기쁨을 선물하는 것은 어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대중요법 >> 대증요법]

저희 집 식탁 위에 꿀에 잰 마늘이 있습니다.
제가 무릎이 좋지 않은 것을 아시고,
어머니께서 대중요법에서 들었다면서 만들어 주신 겁니다.

꿀에 잰 마늘이 무릎에 좋은지 나쁜지는 몰라도,
어머니의 사랑을 날마다 먹으면 건강 걱정은 안 해도 되겠죠?

흔히,
남들이 말하는, 보통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치료 방법을 ‘대중요법’이라고 하는데요.

‘병의 원인을 찾아 없애기 곤란한 상황에서, 겉으로 나타난 병의 증상에 대응하여 처치를 하는 치료법’은
‘대중요법’이 아니라 ‘대증요법(對症療法)’입니다.
열이 높을 때에 얼음주머니를 대거나 해열제를 써서 열을 내리게 하는 따위가 이에 속하죠.

보통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치료 방법이라서 대중(大衆)을 떠올리고,
‘대중요법’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대중요법’이라는 낱말은 없습니다.

마늘 참 맛있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0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04
1336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485
1335 [2009/06/05] 우리말) 어부인이 아니라 그냥 부인입니다. id: moneyplan 2009-06-05 3485
1334 [2010/07/21] 우리말) 후더분한 날씨 moneybook 2010-07-21 3485
1333 [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머니북 2015-01-29 3485
1332 [2016/03/24] 우리말) 구실 머니북 2016-03-25 3485
1331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486
1330 [2011/08/19] 우리말) 공공언어 이대로 둘것인가 2 머니북 2011-08-19 3486
1329 [2014/07/23] 우리말) 무등/목마/목말 머니북 2014-07-23 3486
1328 [2008/07/10] 우리말) 오시면 선물을 드립니다 ^^* id: moneyplan 2008-07-10 3487
1327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487
1326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3488
1325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489
1324 [2014/05/28]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2) 머니북 2014-05-28 3489
1323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489
1322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489
1321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490
1320 [2008/04/29] 우리말) 맑다와 곱다 id: moneyplan 2008-04-29 3490
1319 [2008/07/03] 우리말) 메기탕과 매기탕 id: moneyplan 2008-07-03 3490
1318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490
1317 [2008/02/20] 우리말) 빚쟁이 id: moneyplan 2008-02-20 3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