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27] 우리말) 아웅다웅

조회 수 3683 추천 수 0 2011.10.27 09:50:40

 

오늘은 '아웅다웅'을 소개하겠습니다.
"
대수롭지 아니한 일로 서로 자꾸 다투는 모양"을 뜻하는 어찌씨(부사) '아옹다옹'입니다.
여기에 말맛이 다른, 아옹다옹보다 좀 큰 느낌이 드는 낱말로 '아웅다웅'을 인정했습니다.
누군가 아웅다웅에서 아웅은 고양이 소리이고, 다웅은 강아지 소리에서 왔다고 합니다만, 별로 믿을만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웅다웅'을 소개하겠습니다.
"
대수롭지 아니한 일로 서로 자꾸 다투는 모양"을 뜻하는 어찌씨(부사) '아옹다옹'입니다.
여기에 말맛이 다른, 아옹다옹보다 좀 큰 느낌이 드는 낱말로 '아웅다웅'을 인정했습니다.
누군가 아웅다웅에서 아웅은 고양이 소리이고, 다웅은 강아지 소리에서 왔다고 합니다만, 별로 믿을만하지는 않습니다. ^^*

그러고 보니 ㅇ과 ㄷ은 서로 짝꿍을 이루는 말 같기도 합니다.
아롱다롱, 오손도손, 알록달록, 알쏭달쏭, 엄벙덤벙, 엎치락 뒤치락...

한국 첫 우주인 이소연 씨가 우주에서 지구를 본 소감으로
"
지상에서 아등바등 거리면서 힘들게 살아왔던 생활들이 뉘우쳐졌다".라고 했습니다.

별일도 아닌 것을 두고 아웅다웅 다투기보다
알록달록 물든 단풍을 보고 눈에 기쁨을 선물하는 것은 어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대중요법 >> 대증요법]

저희 집 식탁 위에 꿀에 잰 마늘이 있습니다.
제가 무릎이 좋지 않은 것을 아시고,
어머니께서 대중요법에서 들었다면서 만들어 주신 겁니다.

꿀에 잰 마늘이 무릎에 좋은지 나쁜지는 몰라도,
어머니의 사랑을 날마다 먹으면 건강 걱정은 안 해도 되겠죠?

흔히,
남들이 말하는, 보통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치료 방법을 ‘대중요법’이라고 하는데요.

‘병의 원인을 찾아 없애기 곤란한 상황에서, 겉으로 나타난 병의 증상에 대응하여 처치를 하는 치료법’은
‘대중요법’이 아니라 ‘대증요법(對症療法)’입니다.
열이 높을 때에 얼음주머니를 대거나 해열제를 써서 열을 내리게 하는 따위가 이에 속하죠.

보통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치료 방법이라서 대중(大衆)을 떠올리고,
‘대중요법’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대중요법’이라는 낱말은 없습니다.

마늘 참 맛있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256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8112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565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577
2674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618
2673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633
2672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637
2671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641
2670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651
2669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656
2668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666
2667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667
2666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673
2665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679
2664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683
2663 [2014/06/02] 우리말) 들차다 머니북 2014-06-02 2696
2662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698
2661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699
2660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700
2659 [2015/04/17] 우리말) 피로연 머니북 2015-04-17 2703
2658 [2015/05/01] 우리말) '말아요'라 하지 마요 머니북 2015-05-01 2703
2657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