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우리 문학작품에 있는 틀린 말을 골라 바로잡아 책으로 엮은 게 권오운 님의 '우리말 소반다듬이'입니다.
책에 따르면,
'
요리 굴리고 조리 굴려 보아도 뒤틀리거나 어그러지지 않는 반듯한 문장'이 바른 글이라고 합니다.
이런 책을 옆에 두고 우리말을 다듬는 것도 좋은 방법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시험을 보는 날이라 조금 늦게 나왔습니다.
늘 이 시간에 일터에 나올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

어제 낸 문제 답은 ''이 아니라 ''을 쓴다는 겁니다.
'
' 은 망치로 한쪽 끝을 때려서 나무에 구멍을 뚫거나 겉면을 깎고 다듬는 데 쓰는 연장으로
바위를 쪼는 데는 쓸 수 없습니다.
돌에 구멍을 뚫거나 돌을 쪼아서 다듬는, 쇠로 만든 연장은 ''입니다.

이렇게 우리 문학작품에 있는 틀린 말을 골라 바로잡아 책으로 엮은 게 권오운 님의 '우리말 소반다듬이'입니다.
책에 따르면,
'
요리 굴리고 조리 굴려 보아도 뒤틀리거나 어그러지지 않는 반듯한 문장'이 바른 글이라고 합니다.
이런 책을 옆에 두고 우리말을 다듬는 것도 좋은 방법 같습니다.

어제 문제 답을 서른 명 정도 보내셨는데요. 그 가운데 열 분을 골라 시집과 갈피표를 보내드렸습니다.

오늘 아침 한겨레신문에 재밌는 기사가 나서 연결합니다.
묘수, 포석, 자충수, 수읽기, 사활, 돌부처, 입신 따위가 모두 바둑에서 온 낱말이라고 하네요.
http://www.hani.co.kr/arti/sports/baduk/504731.html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쫀쫀하다/존존하다]

새벽부터 갑자기 눈이 오네요.
출근은 잘하셨죠?

출근길 차 속에서 들은 이야긴데요.
나이에 따라 내리는 눈을 보면서 생각하는 게 다르다네요.
10
: 마냥 좋다.
20
: 애인 생각난다.
30
: 출근 걱정한다.
40
: 그냥 꿀꿀하다.
50
: 신경통 도진다.
눈길 조심하세요. ^^*

사람을 만나다 보면,
“저 친구 참 쫀쫀하다”는 생각이 저절로 떠오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한마디로,
소갈머리가 좁고 인색하며 치사한 者(놈 자 자인 거 아시죠?)을 말하죠.
어제 제가 그런 사람을 만났습니다.
헤어진 후로도 한참 동안이나 찜찜하더군요.

‘쫀쫀하다’는 ‘존존하다’의 센말입니다.
‘존존하다’는
베를 짤 때, 천의 짜임새가 고르고 고운 모양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빈틈 없이 잘 짜진 형태를 말하죠.

요즘은,
본래의 뜻으로도 쓰이지만
주로, 아주 작은 일까지도 세세히 신경 써서 손해 안 보게끔 빈틈없고 야무지게 행동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입니다.
더불어서, 소갈머리가 좁고, 인색하며 치사하다는 뜻으로도 쓰이죠.

베는 존존하고, 쫀쫀한 게 좋겠지만,
사람이 너무 쫀쫀하면 재미없겠죠?
아무런 빈틈도 없이 완벽하다면,(내일은 완벽 이야기나 해볼까요? )
인간미가 없어 조금은 싫을것 같은데...
근데 저는 너무 빈틈이 많아요...허점 투성이라서...

빈틈없는 것은 좋지만,
자기 것은 남에게 주지 않으려고 발버둥치면서,
남의 것은 쉽게 가져가려는 사람......
정말 쫀쫀한 者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03
1356 [2011/09/15] 우리말) ~길래와 ~기에 머니북 2011-09-15 5000
1355 [2011/09/16] 우리말) 괴발개발과 개발새발 머니북 2011-09-16 3952
1354 [2011/09/19] 우리말) 날개/나래, 냄새/내음 머니북 2011-09-19 5952
1353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3822
1352 [2011/09/21] 우리말) 한가위에 냈던 문제 머니북 2011-09-22 4056
1351 [2011/09/22] 우리말) 더펄이/곰살갑다/구순하다 머니북 2011-09-22 4884
1350 [2011/10/04] 우리말) 뜨락과 뜰 머니북 2011-10-04 4326
1349 [2011/10/05] 우리말) 먹거리와 먹을거리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5 5062
1348 [2011/10/0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6 6476
1347 [2011/10/07] 우리말) 손자 더하기 손녀는 손주 머니북 2011-10-07 4365
1346 [2011/10/10] 우리말)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0 5542
1345 [2011/10/11] 우리말) ‘넉넉치 않다’가 아니라 ‘넉넉지 않다’가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1 4931
1344 [2011/10/12]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1-10-12 4269
1343 [2011/10/13] 우리말) 연방과 연신 머니북 2011-10-13 4037
1342 [2011/10/14] 우리말) 휭하니와 힁허케 머니북 2011-10-14 5157
1341 [2011/10/17] 우리말) 걸리적거리다와 거치적거리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7 4859
1340 [2011/10/18] 우리말) 끼적거리다와 끄적거리다 머니북 2011-10-18 5366
1339 [2011/10/19] 우리말) 공부 말뿌리 머니북 2011-10-19 3471
1338 [2011/10/20] 우리말) 두루뭉실과 두루뭉술 머니북 2011-10-20 4274
1337 [2011/10/21] 우리말) 일본말 공부 한자 머니북 2011-10-21 3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