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조회 수 4781 추천 수 0 2011.11.30 09:55:01

 

두째와 둘째를 설명하면서,
두째는 순서에 둘째는 개수에 쓴다고 말씀드렸는데,
국립국어원에 물어보니 순서나 개수 모두 둘째라고 쓴다고 합니다.
이것은 제 실수가 아니라 제 잘못이네요.

 


안녕하세요.

가을비가 오네요. 이 비가 그치면 추워질 거라고 합니다.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을 '비거스렁이'라고 합니다.
비가 그치고 난 뒤, 비거스렁이를 하느라고 바람이 몹시 매서웠다처럼 씁니다.

예전에 보낸 편지에 제 잘못이 있었네요.

두째와 둘째를 설명하면서,
두째는 순서에 둘째는 개수에 쓴다고 말씀드렸는데,
국립국어원에 물어보니 순서나 개수 모두 둘째라고 쓴다고 합니다.
이것은 제 실수가 아니라 제 잘못이네요.

몇 분이
우리말 편지를 일주일에 한 번을 보내더라도 꼼꼼하게 살펴 낱말 하나라도 틀리지 않게 보내는 게 중요하다는 말씀을 하십니다.
맞습니다. 틀리면 안 되죠.

그러나 핑계를 좀 대자면,
제가 우리말을 잘 알아서 편지를 보내는 게 아니라 제가 공부하면서 배운 것을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서 보내는 게 우리말 편지라서
가끔은 틀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주일에 한 번을 보내건 한 달에 한 번을 보내건 우리말 편지를 흠 하나 없이 완벽하게 쓸 자신이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처럼 날마다 제가 공부한 것을 보내고자 합니다. ^^*

아래는 두째와 둘째가 다르다는 우리말 편지인데요.
잘못된 글이니 지워주세요.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
두째와 둘째]

안녕하세요.

저는 일이 아무리 힘들어도 집에 있는 애들만 생각하면 모든 피로가 다 풀립니다.
자는 모습을 봐도 귀엽고, 먹는 모습만 봐도 예쁩니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 털은 함함하다고 하는데, 사람이야 오죽하겠습니까. ^^*

지난 주말에는 식구와 같이 속초를 다녀왔습니다.
오랜만에 코에 바람을 넣으니 좋더군요. ^^*
몇 가지 음식을 좀 싸서 가져갔습니다.
김밥도 싸고...
작은 녀석이 김밥을 거푸 두 개나 먹더군요.
그래서 오늘은 두째와 둘째를 알아보겠습니다. ^^*

쉽습니다.
두째는 순서에 쓰고, 둘째는 개수에 씁니다.
내일이 서른두째 내 생일이다처럼 쓰시고,
사과를 둘째나 먹고 있다처럼 씁니다.

자식 자랑한다고 너무 나무라지 마세요.
그래도 저는 제 새끼가 귀엽고 예쁘니까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잊다/잃다]

벌써 새해가 밝은지 열흘이 넘었네요.
작년에 있었던 좋지 않은 기억은 빨리 잊으시고,
올해 새롭게 세운 계획 잘 꾸려가시길 빕니다.
설마, 올해 세운 계획을 벌써 잊지는 않으셨죠?

오늘은,
‘잊어버리다’와 ‘잃어버리다’의 차이를 말씀드릴게요.
글로 쓸 때는 별로 헷갈리지 않는데, 발음할 때는 많은 분이 헷갈리시더군요.

‘잊다’는
“한번 알았던 것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해 내지 못하다.”는 뜻으로,
수학 공식을 잊다/영어 낱말의 철자를 잊다/영화 제목을 잊었다처럼 씁니다.

‘잃다’는
“가졌던 물건이 없어져 그것을 갖지 아니하게 되다.”는 뜻으로,
가방을 잃다/복잡한 시장 거리에서 지갑을 잃었다처럼 씁니다.

기억하기 좋게,
‘잊다’와 ‘잃다’의 구별은,
관련된 물건이 있으면 ‘잃다’고, 물건이 없으면 ‘잊다’입니다.
물건은 잃어버린 것이고, 기억은 잊어버린 것이고...

여기까지는 다 아시죠?

문제는 발음입니다.
물건을 잃었을 때, 잃어버리다의 발음은 [이러버리다]입니다.
기억을 잊었을 때, 잊어버리다의 발음은 [이저버리다]입니다.
발음이 서로 비슷하죠? [이저] [이러]...
그러나 뜻은 앞에서 설명한대로 전혀 다릅니다.

학교에 가서 우산을 [이러]버린 것이고, 시장에서 지갑을 [이러]버린 겁니다.
나쁜 기억을 [이저]버린 것이고, 옛 애인을 [이즌]겁니다.

발음을 조심하시라고 예를 하나 들어볼게요.
‘나는 너를 잊었다.’와 ‘나는 너를 잃었다.’의 차이인데요.

‘나는 너를 잊었다[이젔다].’고 하면, 서로 헤어져 기억에서 지웠다는 의미이고,
‘나는 너를 잃었다[이렀다].’고 하면, 네가 죽어서 저 세상으로 갔다는 말이 됩니다.

발음 하나, 자음 하나 차이로 사람이 죽고 사는 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2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97
2376 [2009/03/16] 우리말) 주야장천 id: moneyplan 2009-03-16 3116
2375 [2009/09/10] 우리말) 마찬가지 id: moneyplan 2009-09-10 3116
2374 [2014/04/10] 우리말) 정부 보도자료 평가단 머니북 2014-04-10 3116
2373 [2015/09/09] 우리말) 여탐과 예탐 머니북 2015-09-11 3116
2372 [2011/01/21] 우리말) 늦장과 늑장 moneybook 2011-01-21 3117
2371 [2016/11/02] 우리말) 속도 단위 머니북 2016-11-02 3117
2370 [2009/12/30] 우리말) 댓글 소개 id: moneyplan 2009-12-30 3118
2369 [2010/11/19] 우리말) 트네기 moneybook 2010-11-19 3118
2368 [2010/03/30] 우리말) 철들다 id: moneyplan 2010-03-30 3119
2367 [2014/12/04] 우리말) 도 긴 개 긴/도찐개찐 머니북 2014-12-04 3119
2366 [2008/11/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8 3120
2365 [2010/09/24] 우리말) 꽤 쌀쌀 moneybook 2010-09-24 3120
2364 [2010/11/16] 우리말) 연패 moneybook 2010-11-17 3120
2363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3120
2362 [2011/03/08] 우리말) 첫날 밤과 첫날밤 moneybook 2011-03-08 3122
2361 [2008/01/07]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08-01-07 3123
2360 [2014/02/21] 우리말) 야로/개염/더펄이 머니북 2014-02-21 3124
2359 [2008/10/23] 우리말) 타래송곳 id: moneyplan 2008-10-23 3125
2358 [2013/12/31] 우리말) 일몰과 해넘이 머니북 2013-12-31 3126
2357 [2010/06/10] 우리말) 책장사와 책장수 moneybook 2010-06-10 3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