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조회 수 4727 추천 수 0 2011.11.30 09:55:01

 

두째와 둘째를 설명하면서,
두째는 순서에 둘째는 개수에 쓴다고 말씀드렸는데,
국립국어원에 물어보니 순서나 개수 모두 둘째라고 쓴다고 합니다.
이것은 제 실수가 아니라 제 잘못이네요.

 


안녕하세요.

가을비가 오네요. 이 비가 그치면 추워질 거라고 합니다.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을 '비거스렁이'라고 합니다.
비가 그치고 난 뒤, 비거스렁이를 하느라고 바람이 몹시 매서웠다처럼 씁니다.

예전에 보낸 편지에 제 잘못이 있었네요.

두째와 둘째를 설명하면서,
두째는 순서에 둘째는 개수에 쓴다고 말씀드렸는데,
국립국어원에 물어보니 순서나 개수 모두 둘째라고 쓴다고 합니다.
이것은 제 실수가 아니라 제 잘못이네요.

몇 분이
우리말 편지를 일주일에 한 번을 보내더라도 꼼꼼하게 살펴 낱말 하나라도 틀리지 않게 보내는 게 중요하다는 말씀을 하십니다.
맞습니다. 틀리면 안 되죠.

그러나 핑계를 좀 대자면,
제가 우리말을 잘 알아서 편지를 보내는 게 아니라 제가 공부하면서 배운 것을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서 보내는 게 우리말 편지라서
가끔은 틀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주일에 한 번을 보내건 한 달에 한 번을 보내건 우리말 편지를 흠 하나 없이 완벽하게 쓸 자신이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처럼 날마다 제가 공부한 것을 보내고자 합니다. ^^*

아래는 두째와 둘째가 다르다는 우리말 편지인데요.
잘못된 글이니 지워주세요.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
두째와 둘째]

안녕하세요.

저는 일이 아무리 힘들어도 집에 있는 애들만 생각하면 모든 피로가 다 풀립니다.
자는 모습을 봐도 귀엽고, 먹는 모습만 봐도 예쁩니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 털은 함함하다고 하는데, 사람이야 오죽하겠습니까. ^^*

지난 주말에는 식구와 같이 속초를 다녀왔습니다.
오랜만에 코에 바람을 넣으니 좋더군요. ^^*
몇 가지 음식을 좀 싸서 가져갔습니다.
김밥도 싸고...
작은 녀석이 김밥을 거푸 두 개나 먹더군요.
그래서 오늘은 두째와 둘째를 알아보겠습니다. ^^*

쉽습니다.
두째는 순서에 쓰고, 둘째는 개수에 씁니다.
내일이 서른두째 내 생일이다처럼 쓰시고,
사과를 둘째나 먹고 있다처럼 씁니다.

자식 자랑한다고 너무 나무라지 마세요.
그래도 저는 제 새끼가 귀엽고 예쁘니까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잊다/잃다]

벌써 새해가 밝은지 열흘이 넘었네요.
작년에 있었던 좋지 않은 기억은 빨리 잊으시고,
올해 새롭게 세운 계획 잘 꾸려가시길 빕니다.
설마, 올해 세운 계획을 벌써 잊지는 않으셨죠?

오늘은,
‘잊어버리다’와 ‘잃어버리다’의 차이를 말씀드릴게요.
글로 쓸 때는 별로 헷갈리지 않는데, 발음할 때는 많은 분이 헷갈리시더군요.

‘잊다’는
“한번 알았던 것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해 내지 못하다.”는 뜻으로,
수학 공식을 잊다/영어 낱말의 철자를 잊다/영화 제목을 잊었다처럼 씁니다.

‘잃다’는
“가졌던 물건이 없어져 그것을 갖지 아니하게 되다.”는 뜻으로,
가방을 잃다/복잡한 시장 거리에서 지갑을 잃었다처럼 씁니다.

기억하기 좋게,
‘잊다’와 ‘잃다’의 구별은,
관련된 물건이 있으면 ‘잃다’고, 물건이 없으면 ‘잊다’입니다.
물건은 잃어버린 것이고, 기억은 잊어버린 것이고...

여기까지는 다 아시죠?

문제는 발음입니다.
물건을 잃었을 때, 잃어버리다의 발음은 [이러버리다]입니다.
기억을 잊었을 때, 잊어버리다의 발음은 [이저버리다]입니다.
발음이 서로 비슷하죠? [이저] [이러]...
그러나 뜻은 앞에서 설명한대로 전혀 다릅니다.

학교에 가서 우산을 [이러]버린 것이고, 시장에서 지갑을 [이러]버린 겁니다.
나쁜 기억을 [이저]버린 것이고, 옛 애인을 [이즌]겁니다.

발음을 조심하시라고 예를 하나 들어볼게요.
‘나는 너를 잊었다.’와 ‘나는 너를 잃었다.’의 차이인데요.

‘나는 너를 잊었다[이젔다].’고 하면, 서로 헤어져 기억에서 지웠다는 의미이고,
‘나는 너를 잃었다[이렀다].’고 하면, 네가 죽어서 저 세상으로 갔다는 말이 됩니다.

발음 하나, 자음 하나 차이로 사람이 죽고 사는 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86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457
2376 [2017/11/22] 우리말) 머니북 2017-11-23 4736
2375 [2006/09/30] 우리말) 웜 비즈? 쿨 비즈? id: moneyplan 2006-09-30 4735
2374 [2013/11/14] 우리말) 날짜 헤아리기 머니북 2013-11-14 4730
» [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머니북 2011-11-30 4727
2372 [2007/02/01] 우리말) 명조 --> 바탕, 고딕 --> 돋움 id: moneyplan 2007-02-01 4724
2371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11
2370 [2017/11/01]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머니북 2017-11-06 4709
2369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08
2368 [2008/02/22] 우리말) 득돌같다와 득달같다 id: moneyplan 2008-02-22 4706
2367 [2007/04/13] 우리말) 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7-04-13 4705
2366 [2011/06/24] 우리말) 휘달리다 머니북 2011-06-24 4699
2365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697
2364 [2015/11/25] 우리말) 치르다/치루다 머니북 2015-11-25 4692
2363 [2006/12/26] 우리말) '저축하다'는 뜻의 순우리말은 '여투다'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678
2362 [2006/11/29] 우리말) '메모지'가 아니라 '적바림'입니다 id: moneyplan 2006-11-30 4675
2361 [2011/09/02] 우리말) 간질이다와 간지럽히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2 4674
2360 [2007/01/05] 우리말) 황당/당황/깜짝 놀라다 id: moneyplan 2007-01-05 4664
2359 [2009/01/16] 우리말) 한올지다 id: moneyplan 2009-01-16 4640
2358 [2007/01/19] 우리말) 외교부가 하는 꼬라지 하고는... id: moneyplan 2007-01-19 4639
2357 [2007/09/11] 우리말) 서슬이 시퍼렇다 id: moneyplan 2007-09-11 4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