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2/02] 우리말) 한글의 우수성

조회 수 4929 추천 수 0 2011.12.02 10:33:34

 

오늘은 우리말과 관련된 사이트 두 곳을 연결합니다.
연속극 '뿌리깊은 나무'에서 보여주는 한글의 우수성을 쓴 경향신문 기사입니다.
다른 하나는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만들어 달자는 이대로 님의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참으로 바쁘게 보낸 한주였습니다. 집에 못 들어간 게 이틀이나 되고...

오늘은 우리말과 관련된 사이트 두 곳을 연결합니다.

연속극 '뿌리깊은 나무'에서 보여주는 한글의 우수성을 쓴 경향신문 기사입니다.
한글, 채윤과 정기준 뿐만 아니라 세계가 놀랐다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112010932544&sec_id=540101

다른 하나는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만들어 달자는 이대로 님의 글입니다.
문화재청장과 문화재위원들에게 묻는다
http://blog.naver.com/idaero47?Redirect=Log&logNo=10125614890

주말 잘 쉬시고,
다음 주에 다시 뵙겠습니다. ^^*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바람만바람만]

오늘은 제 딸내미 이야기 좀 할게요.
이 녀석은 이제 28개월에 접어듭니다.
아직 혼자 어디 나가지는 못하고 저나 아내를 따라서만 밖에 나가는데,
며칠 전에는 동네 어귀에서 혼자 집에 찾아가라고 해 봤습니다.
그러고 나서 저는 멀찌감치 떨어져서 뒤따라갔죠.
이 어린 녀석이 뒤도 안 돌아보고 집을 잘 찾더군요.

이렇게,
“바라보일 만한 정도로 뒤에 멀리 떨어져 따라가는 모양”을 말하는 순 우리말이,
‘바람만바람만’입니다.
바람만바람만 뒤따라가다처럼 쓸 수 있죠.
부모의 사랑이 묻어있는 멋진 말 아닌가요?

어린아이와 관련된 말로,
‘우닐다’도 있습니다.
‘우닐다’는,
“시끄럽게 울다. 또는 그렇게 울고 다니다”는 뜻이고,
‘우닐다’와 발음이 비슷한, ‘부닐다’도 있습니다.
‘부닐다’는,
“가까이 따르면서 붙임성 있게 굴다”는 뜻입니다.

할머니나 할아버지는,
우니는 아이보다 부니는 아이를 더 좋아하겠죠?

그러나 무엇보다 좋은 아이는,
‘도담도담’한 아이일 겁니다.
부사 ‘도담도담’은,
“어린아이가 탈 없이 잘 놀며 자라는 모양.”으로,
우리 아이는 별로 큰 병도 없고 탈도 없이 도담도담 잘 장성하여 벌써 이십 세에 이르렀다처럼 씁니다.

아침부터 도담도담 잘 크는 딸내미가 보고 싶은데,
오늘 하루 어떻게 근무하죠?



보태기)
‘도담도담’은,
“어린아이가 탈 없이 잘 놀며 자라는 모양.”이지만,
‘도담’은,
“야무지고 탐스럽다”는 뜻입니다.
도담한 어깨의 부드러운 곡선이 여인의 옷맵시를 더욱 아름답게 하였다처럼 씁니다.

‘도담도담하다’도 있습니다.
형용사로, (여럿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여럿이 모두 야무지고 탐스럽다.”는 뜻입니다.
형제가 모두 도담도담하게 잘도 생겼다처럼 쓰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4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48
1376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500
1375 [2011/08/17] 우리말) 착하다(2) 머니북 2011-08-17 3847
1374 [2011/08/18] 우리말) '열과'가 뭔지 아세요? 머니북 2011-08-18 3523
1373 [2011/08/19] 우리말) 공공언어 이대로 둘것인가 2 머니북 2011-08-19 3490
1372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525
1371 [2011/08/23] 우리말) '코스모스 만개'와 '살사리꽃 활짝'... 머니북 2011-08-23 4411
1370 [2011/08/24] 우리말) 잘코사니 머니북 2011-08-24 3786
1369 [2011/08/25] 우리말) '일부러'와 '부러' 머니북 2011-08-25 4948
1368 [2011/08/26] 우리말) 충돌과 추돌 머니북 2011-08-26 4813
1367 [2011/08/29] 우리말) 커피 한 잔 머니북 2011-08-29 4143
1366 [2011/08/30] 우리말) 위아랫물지다 머니북 2011-08-30 3801
1365 [2011/08/31] 우리말) 줄거리와 졸가리 머니북 2011-08-31 4586
1364 [2011/09/01] 우리말) 이제는 짜장면도 표준말입니다 머니북 2011-09-02 3733
1363 [2011/09/02] 우리말) 간질이다와 간지럽히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2 4709
1362 [2011/09/05] 우리말) 남사스럽다와 남우세스럽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5 4415
1361 [2011/09/06] 우리말) 만날도 맞고 맨날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6 3500
1360 [2011/09/07] 우리말) 묏자리도 맞고 묫자리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601
1359 [2011/09/08] 우리말) 복사뼈도 맞고 복숭아뼈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793
1358 [2011/09/09] 우리말) 세간도 맞고 세간살이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9 4823
1357 [2011/09/14] 우리말) 허섭스레기도 맞고 허접쓰레기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14 4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