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2/14]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조회 수 6806 추천 수 0 2011.12.14 10:00:59

 

'부치다' '붙이다'가 헷갈리죠?
쉽게 가르는 방법은,
두 면을 딱 붙게 만들다는 뜻이 있으면 '붙이다'를 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정신이 없네요.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부쳐]

이번에 차관급 인사가 있었죠?
그 인사에 즈음하여 어떤 의견을 내는 편지가 많이 오네요.

거지반 'OOO에 부쳐'라는 제목을 달고...

오늘은 '부치다' '붙이다'를 구별해 볼게요.
발음은 [부치다]로 같습니다.

'
부치다'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모자라거나 미치지 못하다. 그 일은 힘에 부친다. 그 일은 이제 기력이 부쳐 할 수 없다.
2.
편지나 물건 따위를 일정한 수단이나 방법을 써서 상대에게로 보내다. 편지를 부치다. 짐을 외국으로 부치다.
3.
어떤 문제를 다른 곳이나 다른 기회로 넘기어 맡기다. 안건을 회의에 부치다.
4.
번철에 기름을 바르고 빈대떡, 저냐, 부꾸미 따위의 음식을 익혀서 만들다.
5.
논밭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다. 부쳐 먹을 내 땅 한 평 없다.
6.
부채 따위를 흔들어서 바람을 일으키다. 부채를 부치다.
7.
어떤 일을 거론하거나 문제 삼지 아니하는 상태에 있게 하다. 회의 내용을 극비에 부치다. 여행 계획을 비밀에 부치다.
주로 이런 뜻으로 쓰는데요.

'부치다'에는,
"
어떤 행사나 특별한 날에 즈음하여 어떤 의견을 나타내다."는 뜻도 있습니다.
주로 글의 제목이나 부제에 많이 쓰는 말로,
한글날에 부쳐, 식목일에 부치는 글처럼 씁니다.

'
붙이다',
'
붙다'의 사동사로,
봉투에 우표를 붙이다. 메모지를 벽에 붙이다. 연탄에 불을 붙이다처럼 씁니다.

'
부치다' '붙이다'가 헷갈리죠?
쉽게 가르는 방법은,
두 면을 딱 붙게 만들다는 뜻이 있으면 '붙이다'를 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디에 붙게 만드는 뜻이 없으면 '부치다'를 쓰고...

따라서,
편지에 우표를 '붙여'서 우체국에서 '부치'는 것이죠.

'OOO
차관 인사에 부쳐',
차관의 인사에 뭘 달라붙게 붙이는 게 아니니까 '부쳐'라고 쓴다고 생각하시면 쉽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7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01
2576 [2017/05/02] 우리말) 순식간 머니북 2017-05-06 3705
2575 [2017/05/01] 우리말) 허점과 헛점 머니북 2017-05-06 3809
2574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566
2573 [2017/04/27] 우리말) 게정/어기대다 머니북 2017-04-27 4349
2572 [2017/04/24] 우리말) 국어를 잘 배우자 머니북 2017-04-24 3563
2571 [2017/04/21] 우리말) 맑순 주세요 머니북 2017-04-22 3623
2570 [2017/04/20]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7-04-21 3451
2569 [2017/04/19] 우리말) 젬뱅이와 손방 머니북 2017-04-21 3927
2568 [2017/04/18] 우리말) 엿먹다 머니북 2017-04-18 3493
2567 [2017/04/17] 우리말) 달물결 머니북 2017-04-18 3585
2566 [2017/04/13] 우리말) 사전 이야기 머니북 2017-04-13 3506
2565 [2017/04/13] 우리말) 데구루루 머니북 2017-04-13 3878
2564 [2017/04/12] 우리말) 나와바리 머니북 2017-04-12 3491
2563 [2017/04/11] 우리말) '그것참'인데, '그거참 머니북 2017-04-11 3805
2562 [2017/04/10] 우리말) 우리글 교양을 높이기 위한 시민강좌 머니북 2017-04-11 3510
2561 [2017/04/07]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7-04-10 3862
2560 [2017/04/06] 우리말) 후리지아 -> 프리지어 머니북 2017-04-06 3229
2559 [2017/04/04] 우리말) 거방지다/걸판지다 머니북 2017-04-05 3465
2558 [2017/04/03] 우리말) 까다롭다/까탈스럽다 머니북 2017-04-04 3438
2557 [2017/03/31] 우리말) 비탈이 가파라서? 가팔라서? 머니북 2017-04-03 3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