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2/21] 우리말) 종군위안부(2)

조회 수 3602 추천 수 0 2011.12.21 09:39:29

 

 일본놈들은 ‘종군 위안부’라고 해도 우리는 그런 말을 쓰면 안 된다.”고 말씀하시고 가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눈이 좀 올 것 같다고 하죠? 겨울이니 눈이 내리는 것은 당연합니다. ^^*

어제도 제 실수가 있었네요.
김정일 위원장이 죽은 것인데, 김일성 위원장이 죽었다고 했습니다.
편지를 쓰고 나서 보내기에 앞서 여러 번 읽어보는데도 왜 그걸 못 봤는지 모르겠습니다.
속된말로 정말 돌아버리겠습니다. ^^* 왜 제 눈에는 그게 보이지 않았죠? ^^*

이대로 님이 페이스북에 올리신 글이 있어 옮깁니다.

방금 장신대 나채운(80) 교수께서 오셨는데 “종군 위안부라는 말을 쓰면 안 된다. 종군도 스스로 간 말이 된다. 위안부란 말도 마찬가지 스스로 간 것이 되고 부인이 아니라 소녀를 강제로 끌고 갔다. 더욱이 부인이 아니고 14살 소녀까지도 끌어다가 성 노예로 만들었다. 일본군 강제 소녀징용이라고 말해야 한다. 일본놈들은 ‘종군 위안부’라고 해도 우리는 그런 말을 쓰면 안 된다.”고 말씀하시고 가셨습니다. 저도 몰랐던 일입니다.

이대로 님이 올리신 글을 그대로 옮겼습니다. 고맙습니다.

오늘도 자주 웃으시면서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빠대다/삐대다]

눈이 좀 덜 내리네요.
오전에 넉가래로 실험실 앞에 있는 눈을 좀 치웠습니다.
오랜만에 내린 눈이라 많은 사람이 빠대고 다녀,
발자국이 난 곳은 눈이 굳어서 잘 밀리지 않네요.

'
빠대다'는 말 아시죠?
"
아무 할 일 없이 이리저리 쏘다니다."라는 뜻으로,
일정한 직업 없이 허구한 날 빠대는 것도 못할 노릇이다처럼 씁니다.
발음이 강해서 좀 어색한 감도 있지만, 순 우리말이고 표준어입니다.

'
빠대다'와 발음이 비슷한 '삐대다'도 표준업니다.
"
한군데 오래 눌어붙어서 끈덕지게 굴다."라는 뜻으로,
선배에게 삐대다. 하는 일 없이 남의 집에 오래 삐대고 있을 수도 없었다처럼 씁니다.
마찬가지 순 우리말이자 표준어입니다.

오늘 저녁 퇴근길에 발자국이 없는 눈 위를 빠대보세요.
오랜만에 '뽀드득' 눈 밟는 소리도 들어보시고...
저는 오늘도 사무실에서 삐대다 늦게 들어갈 것 같네요.

퇴근길 조심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02
1176 [2011/11/21] 우리말) 광어 -> 넙치 머니북 2011-11-21 3625
1175 [2013/05/15] 우리말) 스승의 날에 읽어보는 교수의 반성문 머니북 2013-05-15 3625
1174 [2007/10/04] 우리말) 사열했다와 사열 받다 id: moneyplan 2007-10-05 3626
1173 [2012/02/15] 우리말) 노름마치 머니북 2012-02-15 3626
1172 [2012/03/15] 우리말) 싱싱하다와 안슬프다 머니북 2012-03-15 3626
1171 [2010/04/07] 우리말) 날름과 낼름 id: moneyplan 2010-04-07 3627
1170 [2013/10/25] 우리말) 꿀리다 머니북 2013-10-25 3627
1169 [2013/01/14] 우리말) 동장군 머니북 2013-01-14 3627
1168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28
1167 [2008/09/30] 우리말) 멀다랗다와 머다랗다 id: moneyplan 2008-09-30 3628
1166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28
1165 [2013/10/3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10-31 3628
1164 [2013/10/30] 우리말) 신랄하다 머니북 2013-10-30 3628
1163 [2014/01/14] 우리말) 예수남은 머니북 2014-01-14 3629
1162 [2012/02/21] 우리말) 쑥스럽다 머니북 2012-02-21 3629
1161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3630
1160 [2016/08/16] 우리말) 모처럼/어쩌다 머니북 2016-08-17 3631
1159 [2008/08/06] 우리말) 메밀꽃 id: moneyplan 2008-08-06 3632
1158 [2009/02/16] 우리말) 나름대로... id: moneyplan 2009-02-16 3632
1157 [2007/07/10] 우리말) 금자탑 id: moneyplan 2007-07-10 3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