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1/03] 우리말) 난이도와 난도

조회 수 3394 추천 수 0 2012.01.03 10:16:47

저라면,
난이도나 난도를 쓰지 않고,
어려운 기술이나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기술로 풀어쓰겠습니다.
'난도 높은 기술'보다는
'높은 점수를 딸 수 있는 어려운 기술'이 더 쉽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6:19 SBS뉴스에서 리듬체조 선수 이야기를 하면서
"난도 높은 기술"이라고 했습니다.
출연자는 '난이도'라고 했으나 기자는 '난도'라고 바르게 말했습니다.

난이도(難易度)는 난도와 이도를 합친 낱말입니다.
난도는 어려운 정도이고, 이도는 쉬운 정도라고 할 수 있으니
난이도는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라는 뜻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그렇게 풀이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난이도가 높다는 말이 버젓이 쓰인다는 겁니다.
'쉽고 어려운 정도'가 어떻게 높고 낮을 수 있죠?

난이도는
난이도를 조절하여..., 배점은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달라진다처럼 써야 바릅니다.

더 큰 문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든 보기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 인터넷판 보기에
'체조 따위의 경기에서, 선수가 구사하는 기술의 어려운 정도'라는 보기를 들어놨습니다.

사전에 따르면
기술의 어려운 정도를 난이도라고 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러니 체조 선수가 말한 '난이도 있는 기술'이 말이 되는 것이죠.
이건 사전이 틀렸습니다. 사전을 고쳐야 맞다고 봅니다.
사전에서 이렇게 풀이하고 나니,
고난이도, 고난도, 최고난도, 최난도 따위의 말도 안 되는 낱말이 만들어지는 겁니다.

저라면,
난이도나 난도를 쓰지 않고,
어려운 기술이나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기술로 풀어쓰겠습니다.
'난도 높은 기술'보다는
'높은 점수를 딸 수 있는 어려운 기술'이 더 쉽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기분이 좋은 것 같아요 --> 기분이 참 좋아요]

며칠 전에 '되겠습니다'을 조심해서 쓰자는 편지를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 '되겠습니다'처럼 조심해야 할 말버릇으로
오늘은 '-같다'를 소개해 드릴게요.

'같다'는, 잘 아시는 것처럼,
"크기, 생김새 따위가 서로 다르지 않고 한 모양이다"나,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뜻이 있습니다.

또, '아마 ∼것 같다'처럼 "추측,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내는 말"을 뜻하기도 합니다.
비가 올 것 같다. 연락이 없는 걸 보니 무슨 사고가 난 것 같다처럼 씁니다.
이 말은 추정이나 예상처럼 확실하지 않은 것에만 쓰는 말입니다.

이런 '같다'를 
자기 기분이나 느낌, 생각을 말할 때는 쓰면 안 됩니다.

뭔가 좋은 일이 있는 사람에게 기분을 물으면,
"기분이 좋은 것 같아요"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그런 거죠.
자기 기분을 자기가 말하면서 마치 남의 기분을 예상하거나 추측하는 것처럼 말하면 안 되죠.

재밌는 것 같아요.
즐거운 것 같아요.
기쁜 것 같아요.
좋은 것 같아요... 모두 마찬가집니다.

또, "저는 자라면서 병치레를 자주 했던 것 같아요"처럼,
자기가 겪은 일을 마치 남의 경험처럼 말하는 것도 올바른 말버릇이 아닙니다.

"기분이 좋은 것 같아요"가 아니라, "기분이 참 좋아요."
"저는 자라면서 병치레를 자주 했던 것 같아요"가 아니라, "저는 자라면서 병치레를 자주 했습니다."라고 하면 좋잖아요.

정리하면,
자기 기분이나 느낌, 생각을 말할 때는 '같다'를 쓰시면 안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35
1396 [2010/07/19]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moneybook 2010-07-19 3530
1395 [2013/07/08] 우리말) 블랙박스 머니북 2013-07-08 3530
1394 [2007/08/29] 우리말) 건들건들 id: moneyplan 2007-08-29 3531
1393 [2017/01/11] 우리말) 우리말 사랑 머니북 2017-01-13 3531
1392 [2013/01/08] 우리말) 휴마트 머니북 2013-01-08 3532
1391 [2015/08/10] 우리말) 일소현상? (2) 머니북 2015-08-11 3532
1390 [2012/08/09] 우리말) 석패/완패/숙적 머니북 2012-08-09 3533
1389 [2014/03/12] 우리말) 남의나이 머니북 2014-03-12 3533
1388 [2017/03/31] 우리말) 비탈이 가파라서? 가팔라서? 머니북 2017-04-03 3533
1387 [2009/03/26] 우리말) 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6 3534
1386 [2011/02/08]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moneybook 2011-02-08 3534
1385 [2016/08/22] 우리말) 여튼, 여하튼, 여하간 머니북 2016-08-24 3535
1384 [2010/08/16] 우리말) 약오르다 moneybook 2010-08-16 3536
1383 [2010/09/1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0-09-15 3536
1382 [2011/02/22] 우리말) 개화와 꽃 핌 moneybook 2011-02-22 3536
1381 [2013/11/04] 우리말) 난임과 촌스럽다 머니북 2013-11-04 3536
1380 [2011/10/19] 우리말) 공부 말뿌리 머니북 2011-10-19 3536
1379 [2015/01/02] 우리말) 지루하다/지리하다 머니북 2015-01-02 3536
1378 [2011/01/19] 우리말) 굴레와 멍에 moneybook 2011-01-19 3537
1377 [2014/11/21] 우리말) 발밭다 머니북 2014-11-21 3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