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1/11] 우리말) 지르신다

조회 수 4026 추천 수 0 2012.01.11 11:07:27

"신이나 버선 따위를 뒤축이 발꿈치에 눌리어 밟히게 신다."는 뜻을 지닌 움직씨(동사)는
'지르신다'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
"신이나 버선 따위를 뒤축이 발꿈치에 눌리어 밟히게 신다."는 뜻을 지닌 움직씨(동사)는
'지르신다'입니다.
'자르신다'고 답을 보내신 분도 계셨는데, 표준말은 '지르신다'입니다.
약속대로 바른 답을 보내주신 모든 분께 내일쯤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지난해 말에 어떤 누리집에 우리말 편지가 소개된 적이 있었나 봅니다.
그 뒤로 여러 분이 우리말 편지를 신청하셨고, 서로 추천도 하셨습니다.
그러다 보니 요즘 들어 도대체 누군데 이런 편지를 보내느냐고 따지듯이 물으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
일일이 답장을 해 드리고는 있지만...

저는 우리말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것을 남들과 나누고 싶어 편지를 보내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에서 농업 연구를 하는 연구원이고, 지금은 국무총리실에 파견을 나와 있는 성제훈입니다.
이 편지 맨 밑에 보시면 제 전화번호도 써 놨습니다.

우리말 편지를 받는다고 돈을 내시는 것도 아니고,
제가 편지를 받으시는 분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도 없습니다.
그저 여러분의 정보를 가진 게 있다면 편지를 보내는 이메일 주소와 몇 분의 이름이 다입니다.
저는 그것밖에 모릅니다. 

어제처럼 가끔 문제를 내서 선물을 드리기도 합니다.
'우리말'을 예쁘게 쓴 금도금한 갈피표를 드립니다. 
이 또한 제가 용돈을 모아 만든 것으로 돈 받고 드리는 게 아닙니다.
문제를 맞히신 분께도 드리지만 
갈피표가 꼭 필요하니 좀 보내달라고 편지를 주시는 분께도 보내드립니다. ^^*

우리말 편지를 받으신다고 여러분이 손해 보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니 걱정 마십시오. ^^*

오늘도 자주 웃으시면서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가드라고 >> 가더라고]

오늘도 날씨가 좋겠죠? 
요즘 사무실에 신출내기가 왔다고 이런저런 선임들이 점심을 사 주십니다.
덕분에 점심 때울 걱정은 안 합니다. 

어제도 한 선임이 점심을 사 주셨는데, 다 먹고 일어서 때쯤 되어서,
"자, 다 먹었으면 이제 가드라고"라고 말씀하시더군요.
오랜만에 들어보는 '가드라고'라는 말이었습니다.
탤런트 백일섭 씨가 가끔 쓰는 "아 글씨, 한번 해 보드라고!"가 생각나서 속으로 피식 웃었습니다. 

실은 이 말은 '가드라고'가 아니라 '가더라고'가 맞습니다.
모음 'ㅓ'와 'ㅡ'는 발음이 비슷해서 틀리기 쉬운데요,
과거시제 선어말어미는 '드'가 아니라 '더'입니다. 
'가드라고'가 아니라 '가더라고'가 맞습니다.

오늘은 또 어떤 선임이 점심을 사주실지...


보태기)
1.
"오래전부터 한 직위나 직장 따위에 머물러 있는 사람"을 흔히 '고참(古參, こさん)'이라고 하는데요.
이것은 일본에서 온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선임(자)', '선참(자)'로 바꿔서 쓰도록 권하는 말입니다.

2. 
"방송에 출연하는 연예인"인 talent를,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쓰면,
'탈랜트'가 아니라 '탤런트'입니다.

3. 
선어말어미(先語末語尾)는,
"어말 어미 앞에 나타나는 어미"로,
'-시-', '-옵-' 따위와 같이 높임법에 관한 것과 
'-았-', '-는-', '-더-', '-겠-' 따위와 같이 시상(時相)에 관한 것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8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18
1996 [2007/08/28] 우리말) 길 따라 좁고 길게 만든 꽃밭을 뭐라고 할까요? id: moneyplan 2007-08-28 3935
1995 [2013/06/26] 우리말) 사회복지사, 불임/난임 머니북 2013-06-26 3934
1994 [2013/06/27] 우리말) 희귀난치질환 머니북 2013-06-27 3931
1993 [2013/01/15] 우리말) 사돈 머니북 2013-01-15 3931
1992 [2017/04/19] 우리말) 젬뱅이와 손방 머니북 2017-04-21 3930
1991 [2013/07/11] 우리말) 속앓이 머니북 2013-07-11 3930
1990 [2010/03/23] 우리말) 천세나다 id: moneyplan 2010-03-23 3929
1989 [2007/02/23] 우리말) 경위의 순 우리말은 맹문 id: moneyplan 2007-02-27 3928
1988 [2008/01/15] 우리말) '찝찝해요'의 발음 id: moneyplan 2008-01-15 3927
1987 [2009/09/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9-22 3926
1986 [2012/12/24 우리말) 뜯어보다 머니북 2012-12-24 3925
1985 [2010/05/28] 우리말) 쎄쎄쎄 id: moneyplan 2010-05-28 3925
1984 [2012/06/18] 우리말) 미어지다와 메어지다 머니북 2012-06-18 3924
1983 [2017/03/17] 우리말) 나무 심기 좋은 때 머니북 2017-03-17 3923
1982 [2015/01/27] 우리말) 국회 상징, 한자에서 한글로 머니북 2015-01-27 3923
1981 [2012/03/14] 우리말) 축하합니다와 축하드립니다 머니북 2012-03-14 3923
1980 [2010/11/25] 우리말) 새다와 새우다 moneybook 2010-11-25 3923
1979 [2014/02/20] 우리말) 두문불출 머니북 2014-02-20 3920
1978 [2011/07/25] 우리말) 이승잠과 영피다 머니북 2011-07-25 3920
1977 [2017/06/23] 우리말) 천장인가 천정인가 머니북 2017-06-24 3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