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1/26] 우리말) 에멜무지로

조회 수 3019 추천 수 0 2012.01.27 09:45:46

우리말에 '에멜무지로'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크게 두 가지 뜻이 있는데요,
1. 단단하게 묶지 아니한 모양.
2. 결과를 바라지 아니하고, 헛일하는 셈 치고 시험 삼아 하는 모양입니다.

안녕하세요.

설 연휴 잘 보내셨나요?
저는 설 차례 지내고 식구 모두 강원도 속초로 놀러 갔다 왔습니다.
그 바람에 어제는 하루 연가를 내고 집에서 쉬었습니다.

많은 분이 새해가 시작되면 어떤 계획을 세웁니다.
며칠 힘쓰다 잘 안 되면, 음력으로 새해부터 시작하지 뭐...라고 마음을 고쳐먹기도 합니다.

1월 1일부터 담배를 끊겠다고 했다가 잘 안 되면, 
음력 1월 1일부터 끊겠다고 하는 거죠. ^^*

우리말에 '에멜무지로'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크게 두 가지 뜻이 있는데요,
1. 단단하게 묶지 아니한 모양.
2. 결과를 바라지 아니하고, 헛일하는 셈 치고 시험 삼아 하는 모양입니다.
1번 뜻으로 쓰일 때는
거리가 가까우니 그냥 에멜무지로 안고 가도 되오, 먼 길을 떠날 것이니 에멜무지로 대충 묶지 마시오처럼 씁니다.
2번 뜻으로 쓰일 때는
한번 에멜무지로 해 본 일이 그렇게 잘될 줄은 몰랐다, 에멜무지로 보내 보는 것이니 너무 기대하지 마시오처럼 씁니다.

혹시 올해 세웠던 계획이 잘 안 되고 있으며,
지난 20일 동안은 에멜무지로 해 본 일이라 생각하시고,
지금부터 다시 다잡아서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강짜?]

아시는 것처럼 저에게는 딸이 하나 있는데요.
유아원에 다닌 지 이제 막 1주일이 넘었는데 슬슬 가기 싫다고 고집을 피우네요.

주위 분들이 애를 키워봐서 다 아니까 그러신지,
한 후배가 저를 걱정하면서,
"지금쯤 애가 한창 강짜를 피울텐데..."라는 말을 하더군요.

걱정해 주시는 것은 고마운데,
'강짜'는 별로 어울리는 낱말이 아니네요. 

흔히, '강짜'를 억지로 떼를 쓰는 것이나 몽짜나 시샘쯤으로 알고 계시는데요.
국어사전에서 '강짜'를 찾아보면,
"강샘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나와 있고,
'강샘'을 찾아보면,
"부부 사이나 사랑하는 이성(異性) 사이에서 상대되는 이성이 다른 이성을 좋아할 경우에 지나치게 시기함"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한마디로 질투(嫉妬)고 투기(妬忌)죠.

그런 '강짜'는 억지로 떼쓰는 데 쓰는 말이 아닙니다.
그냥 떼가 늘었다거나 생떼를 쓴다고 하면 될 것을...

우리가 쓰는 말 중에는,
본래의 뜻과 다르게 잘못 쓰는 게 꽤 있습니다.
심심하시면(?) 옆에 사전 한번 뒤져 보세요.
가끔 사전 뒤지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보태기)
몽짜 : 음흉하고 심술궂게 욕심을 부리는 짓. 또는 그런 사람.
시샘 : 시새움의 준말. 
시새움 : 자기보다 잘되거나 나은 사람을 공연히 미워하고 싫어함. 또는 그런 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17
2376 [2015/11/04] 우리말) 벗바리 머니북 2015-11-05 3030
2375 [2008/07/14] 우리말) 아름답다 id: moneyplan 2008-07-14 3034
2374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3034
2373 [2009/12/11] 우리말) 잎과 닢 id: moneyplan 2009-12-11 3034
2372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3034
2371 [2013/05/07] 우리말) 꽃비와 꽃보라 머니북 2013-05-07 3035
2370 [2017/03/06] 우리말) 홍두깨 머니북 2017-03-07 3035
2369 [2009/05/21] 우리말) 이모씨 id: moneyplan 2009-05-21 3036
2368 [2016/02/26] 우리말) 대보름날 윷놀이 머니북 2016-02-27 3036
2367 [2010/12/09] 우리말) 미친 존재감 moneybook 2010-12-09 3037
2366 [2012/11/26] 우리말) 흐리멍텅 -> 흐리멍덩 머니북 2012-11-26 3037
2365 [2017/03/15] 우리말) 꽃보라 머니북 2017-03-15 3037
2364 [2009/07/09] 우리말) 도리기와 도르리 id: moneyplan 2009-07-09 3038
2363 [2010/11/16] 우리말) 연패 moneybook 2010-11-17 3038
2362 [2009/03/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5 3039
2361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3039
2360 [2014/04/08] 우리말) 구름다리와 섬다리 머니북 2014-04-08 3039
2359 [2014/01/29] 우리말) 커피 나오셨습니다 머니북 2014-01-29 3040
2358 [2015/11/02] 우리말) 생무지 머니북 2015-11-02 3040
2357 [2008/08/19] 우리말) 여태와 여직 id: moneyplan 2008-08-19 3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