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2/01] 우리말) 제연경계벽

조회 수 3458 추천 수 0 2012.02.02 10:01:10

아직도 '제연경계벽'이라고 써 붙인 게 보이더군요.
'연기 막음 판'정도로 바꿔쓰면 지금보다 많은 사람이 쉽게 알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일터에 잘 나오셨나요?
아침에 정말 춥더군요. 귀가 얼어 감각이 없을 정도였습니다.

1.
어제저녁에 목동에 있는 장례식장을 다녀왔습니다.
처음 가는 길이라 지하철을 타면서도 여기저기 둘러보면서 갔는데요.
아직도 '제연경계벽'이라고 써 붙인 게 보이더군요.
'연기 막음 판'정도로 바꿔쓰면 지금보다 많은 사람이 쉽게 알 것 같습니다.

2.
아침 뉴스에서 '제설작업을 잘해서 도로가 깨끗하고, 이면도로만 눈이 좀 남아...'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제설작업은 '눈 치우기'로, 도로는 '길'로, 이면도로는 '뒷길'로 쓰면 어떨까요?
'눈을 잘 치워 길이 깨끗하고, 뒷길만 눈이 좀 남아...'정도로 써도 될 것 같습니다.

3.
뉴스에서 오늘이 올겨울 들어 가장 춥다고 했습니다.
'이번 겨울'은 2011년 11월부터 2012년 3월 정도까지 일겁니다.
'올겨울'은 2012년 1월~3월과 11월, 12월 입니다.
따라서, 
작년 겨울에 오늘만큼 추운날이 없었고, 올 들어서도 오늘이 가장 추운 날이라면,
오늘이 이번 겨울 들어 가장 춥다고 해도 되고, 올겨울 들어 가장 춥다고 해도 됩니다.

추운 날씨지만
겨울이니까 추우려니 생각하시고,
늘 즐겁게 보내시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상’ ‘하’ 띄어쓰기]

오늘은 '상(上)'과 '하(下)'의 띄어쓰기입니다.

띄어쓰기 원칙을 다시 강조하면,
우리말은 낱말별로 띄어 씁니다.
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따위)도 낱말로 보고 띄어 쓰되, 조사만 붙여 씁니다.
한 낱말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은 
그 낱말이 사전에 올라 있으면 한 낱말이고 그렇지 않으면 한 낱말이 아닙니다.

이제 '상(上)'과 '하(下)' 띄어쓰기를 보면,
'상'과 '하'에 '위'나 '아래'의 뜻이 있을 때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모양', '상태', '그것과 관계된 처지',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공간에서 한 위치'를 뜻하면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곧,
"물체의 위나 위쪽, 아래나 아래쪽을 이르는 말."로 쓰일 때는,
지구 상의 생물/지갑을 도로 상에서 주웠다처럼 띄어 씁니다.
이런 경우, '상'을 '위'로, '하'를 '아래'로 바꿔도 말이 됩니다.

그러나
"그것과 관계된 처지" 또는 "그것에 따름"의 뜻을 더하는 추상적인 의미의 접미사인 경우는, 
관계상/미관상/사실상/외관상/절차상처럼 붙여 씁니다.
"구체적인 또는 추상적인 공간에서의 한 위치"의 뜻일 때도 접미사이므로,
인터넷상/전설상/통신상처럼 붙여 씁니다.

정리하면,
'상'이나 '하'를 '위'나 '아래'로 바꿀 수 있을 때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5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22
1456 [2007/11/09]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id: moneyplan 2007-11-09 3498
1455 [2016/06/02] 우리말) 바다로 나간 우리말 머니북 2016-06-07 3499
1454 [2008/01/22] 우리말) 마다하다와 마다다 id: moneyplan 2008-01-22 3500
1453 [2007/08/13] 우리말) 고추 이야기 id: moneyplan 2007-08-13 3502
1452 [2010/08/10] 우리말) 끄물끄물과 들큰거리다 moneybook 2010-08-10 3502
1451 [2015/09/14] 우리말) 꺼메지다와 까매지다 머니북 2015-09-14 3503
1450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503
1449 [2010/10/08] 우리말) 어제 받은 편지 moneybook 2010-10-08 3504
1448 [2012/04/27] 우리말) 핼쑥하다와 해쓱하다 머니북 2012-04-27 3504
1447 [2013/04/22] 우리말) 보니 -> 천생 머니북 2013-04-22 3504
1446 [2013/09/04] 우리말) 어제 받은 댓글 머니북 2013-09-04 3505
1445 [2014/09/15] 우리말) 산책과 산보 머니북 2014-09-15 3505
1444 [2015/06/17] 우리말) 숨탄것 머니북 2015-06-22 3505
1443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506
1442 [2013/09/02] 우리말) 가슬가슬과 고슬고슬 머니북 2013-09-02 3506
1441 [2007/12/30] 우리말) 내광쓰광 id: moneyplan 2007-12-31 3507
1440 [2013/07/29]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3-07-29 3507
1439 [2010/06/08] 우리말) 새퉁이 moneybook 2010-06-08 3508
1438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3509
1437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