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2/14] 우리말) 최선을 다하다

조회 수 3912 추천 수 0 2012.02.14 09:24:11

'최선'은 '온 힘을 다해'로
'혼신'은 '온몸'으로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서 
'그저 지금에 온 힘을 기울여(최선을 다 하며) 사는 수 밖에 없겠죠.'라고 썼습니다.

'최선'은 일본말 最善(さいぜん[세이젠])에서 왔다고 합니다.
영어 best를 일본말로 번역하면서 '가장 좋고 훌륭함'이라는 뜻으로 썼다고 합니다.
'혼신의 힘'에서 '혼신'도 일본말에서 왔다고 합니다.
(부산대학교 한국어맞춤법검사기, 한겨레신문 자료)

'최선'은 '온 힘을 다해'로
'혼신'은 '온몸'으로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벌써 2월도 반이 지나갑니다.
하루하루를 온 힘을 다해 열심히 살 일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좀더’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 제46항에 보면,
'단음절로 된 낱말이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그때, 그곳, 좀더, 큰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따위는,
본래는 띄어 쓰는데, 붙여 써도 되는 겁니다.

따라서,
'좀 더 큰 새 것'은 '좀더 큰 새것'으로 쓸 수 있고,
'그 때 한 잎 두 잎 떨어졌다'는 '그때 한잎 두잎 떨어졌다'로 쓸 수 있으며,
'이 곳 저 곳'은 '이곳 저곳'으로,
'이 말 저 말'은 '이말 저말'로 쓸 수 있습니다.

며칠 전 보내드린 편지에서, 이때, 그때 말씀드렸었죠?
'때'가 '시간의 어떤 순간이나 부분'을 뜻하는 명사로 쓰이면 띄어 써야 하지만,
일부 낱말과 결합하여 의미가 굳어지면 이때, 그대는 한 낱말로 봐서 붙여 쓴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이때, 그때가 한 낱말이라서 붙여 쓴다고 봐도 되고,
맞춤법 제46항에 따라 붙여 쓴다고 봐도 됩니다. 

이제 슬슬 띄어쓰기가 지겹죠? 


보태기)
'이곳저곳'은
''여기저기'를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로 '하루 종일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다.'처럼 붙여 써도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19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733
696 [2007/05/03] 우리말) 하고많은 사람 가운데서... id: moneyplan 2007-05-03 3952
695 [2017/02/10] 우리말) 비면식관계란? 머니북 2017-02-10 3952
694 [2011/05/25]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moneybook 2011-05-25 3953
693 [2011/04/13]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moneybook 2011-04-13 3957
692 [2011/06/15] 우리말) 따까리 머니북 2011-06-16 3960
691 [2012/03/02] 우리말) 적산가옥 갈음할 낱말은... 머니북 2012-03-02 3961
690 [2017/05/25]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머니북 2017-05-26 3961
689 [2014/02/03] 우리말) 설 잘 쇠셨나요? 머니북 2014-02-03 3962
688 [2017/02/21] 우리말) '2017년, 새롭게 인정받은 표준어는?... 머니북 2017-02-22 3962
687 [2014/02/20] 우리말) 두문불출 머니북 2014-02-20 3963
686 [2013/01/31] 우리말) 인공위성 상식 몇 가지 머니북 2013-01-31 3963
685 [2015/09/08]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5-09-08 3965
684 [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머니북 2016-11-01 3966
683 [2007/11/23] 우리말) 빗밑이 재다 id: moneyplan 2007-11-23 3969
682 [2011/1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11-09 3972
681 [2012/01/17] 우리말) 설과 구정 머니북 2012-01-17 3972
680 [2017/10/25] 우리말) 너볏이/나볏이 머니북 2017-11-06 3972
679 [2010/06/29] 우리말) 큰소리와 큰 소리 moneybook 2010-06-29 3973
678 [2012/07/09] 우리말) 빈소와 분향소 머니북 2012-07-09 3973
677 [2017/02/24] 우리말) 돌팔이와 단감 머니북 2017-02-24 3973